닐라 r77 RAW 2022-06-22 16:34:38에 w2에서 r77판 포크됨[[분류: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창세기전 시리즈 등장인물, rd1=닐라(창세기전 시리즈))] ## 업데이트 전후로 문서가 분리된 챔피언 문서에 붙이는 틀입니다.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업데이트 전]] 참조.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역할군)] >'''"챔피언 대사"'''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num=161, c1=벨베스, c2=닐라, c3=미정, d1=벨베스, d2=닐라(리그 오브 레전드), d3=미정)] ## [[틀: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문서를 참조. ## 복수의 챔피언이 동시 출시될 경우, 직접 틀을 작성해주셔야 합니다. ||<-4> {{{+1 '''닐라''', ''해방된 기쁨''[br]'''Nilah''', ''The Joy Unbound''}}}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주 역할군''' || '''부 역할군''' || [[리그 오브 레전드/지역 및 국가|{{{#f0f0e7 '''소속'''}}}]] || '''가격''' || || - || - || - || {{{#f0f0e7 [[파일:롤아이콘-RP.png|width=15]] 975 [br][br] [[파일:롤아이콘-BE.png]] 6300}}} || ||<-4> '''기타 정보''' || ||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출시일|{{{#white '''출시일'''}}}]] ||<-3> [[년|{{{#white YYYY년}}}]] [[월|{{{#white MM월}}}]] [[일|{{{#white DD일}}}]] || || '''풀네임''' ||<-3> 한글 풀네임 / 영어 풀네임 || || [[리그 오브 레전드/개발자|{{{#white '''디자이너'''}}}]] ||<-3> {{{#white 스쿼드5(Squad5)}}} || || '''성우'''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김보나|{{{#fff 김보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 || || '''테마 음악''' ||<-3> {{{#!wiki style="width: 230px; margin: 0px auto;" [youtube(NSQZqVsaKWY, width=230px, height=30px)]}}} || ## 챔피언 이미지는 가급적 공식 홈페이지의 것을 사용합니다. ## 주 역할군과 부 역할군, 소속은 리그 오브 레전드 공식 홈페이지와 유니버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 역할군과 부 역할군, 소속 이미지 및 텍스트 변경은 아래의 설명 문서를 참조하세요. ## 출시일은 PBE를 제외한 서버에서 가장 먼저 출시된 날짜를 기준으로 합니다. ## 풀네임, 테마 음악이 공개되지 않거나 없을 경우, 해당 셀 자체를 삭제해 주십시오 ## 성우란에 링크 생성시 [[성우 문서명|{{{#white 성우명}}}]], 혹은 [[성우 출처 링크|{{{#white 성우명}}}]]과 같이 작성 바랍니다. ## 디자이너란에 링크 생성시 [[디자이너 문서명|{{{#white 디자이너명}}}]], 혹은 [[리그 오브 레전드/개발자#해당 디자이너 문단 앵커|{{{#white 디자이너명}}}]]과 같이 작성 바랍니다. [목차] == 배경 == 클라이언트 배경 ---- {{{#!folding 유니버스 배경(접기/펼치기) 유니버스 배경 작성. }}} ## 단, 내용이 단편 소설 등을 포함하여 길거나, 클라이언트의 것과 완전히 모순된다면 별도 하위 문서에서 작성해주십시오. ---- 배경에 대한 추가 설명 및 장문 배경 링크 작성 [clearfix] ## 배경 내용이 공백 제외 2000자 초과 시 별도 하위 문서로 분리하여 주십시오. ## 2016년 12월 기준으로 배경 내용을 표나 글상자에 삽입할 시 모바일 환경에서 해당 내용이 증발하는 위키 엔진 버그가 있습니다. 가급적 배경 내용은 텍스트만으로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 위의 틀은 이미지의 돌출 여부에 따라 유연하게 삽입합니다. ## 구 배경 및 리그의 심판은 별도 하위 문서로 작성. ===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관계#챔피언 이름|챔피언 관계]] === || [[자르반 4세|[[파일:jarvanIV_portrait.png|width=120]]]] || [[럭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lux_portrait.png|width=120]]]] || [[신 짜오|[[파일:xinZhao_portrait.png|width=120]]]] || [[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tarina_portrait.png|width=120]]]] || [[스웨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swain_portrait.png|width=120]]]] || [[우르곳|[[파일:urgot_portrait.png|width=120]]]] || || [[자르반 4세]] || [[럭스(리그 오브 레전드)|럭스]] || [[신 짜오]] || [[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카타리나]] || [[스웨인(리그 오브 레전드)|스웨인]] || [[우르곳]] || ## 챔피언 관계도는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https://universe.leagueoflegends.com/ko_KR/]])를 참고하여 수정바랍니다. ## 챔피언의 초상화 이미지는 [[:분류:파일/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초상화]]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이미지 크기는 120px로 고정입니다. ## 문단명에서 '챔피언 이름'을 해당 챔피언으로 바꾸고,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관계]]에 해당 챔피언 문단을 만들어주시기 바랍니다. ## 리워크 등으로 관계도가 바뀐다면 바뀐 관계도를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관계]]로 옮겨주시기 바랍니다. == 능력치 == ## [[틀:리그 오브 레전드/라이엇 제공 챔피언 능력치]] 문서를 참조하여 해당 틀의 문법을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라이엇 제공 챔피언 능력치, Type=물리, Atktype=06, Difficulty=1, Damage=2, Armor=2, Crowd=2, Mobility=2, Utility=2)] || '''구분''' || '''기본 능력'''[br]'''(+레벨 당 상승)''' || '''최종 수치''' || ||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width=20]] '''체력''' || 0(+0) || 0 || || [[파일:롤아이콘-체력재생_신규.png|width=20]] '''체력 재생''' || 0(+0) || 0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자원''' || 0(+0) || 0 || || [[파일:롤아이콘-마나재생.png|width=20]] '''자원 재생''' || 0(+0) || 0 || ||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width=20]] '''공격력''' || 0(+0) || 0 || ||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width=20]] '''공격 속도''' || 0(+0%) || 0 || ||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width=20]] '''방어력''' || 0(+0) || 0 || ||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width=20]] '''마법 저항력''' || 0(+0) || 0 ||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사거리''' || 0(+0) || 0 || ||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width=20]] '''이동 속도''' || 0(+0) || 0 || ## 능력치는 게임 클라이언트의 것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단, 레벨 당 성장 차이가 있다는 것에 유의해주세요. 그외에는 신뢰성 있는 타 사이트를 참조합니다. ## 체력/마나 재생은 5초 당 단위로 서술합니다. 게임 클라이언트는 초 당 단위로 되어있습니다. ## 능력치를 색을 입힌 볼드체로 표기하는 것은 더 이상 권장하지 않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능력치]]에서 따로 다루어주세요. ## 챔피언의 도발/농담 등을 포함한 모션 등에 대한 서술도 이곳에서 합니다. 단, 기본 스킨 한정. 그 외에는 각 스킨 문단에서 다뤄주세요. == 대사 == ## 대사가 80줄 이상일 시 [[템플릿: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대사]] 양식에 따라 별도 문서로 분리 바랍니다. >'''선택''' >"대사" >'''게임 시작''' >"대사" >'''공격''' >"대사" >'''이동''' >"대사" >'''도발''' >"대사" >'''특정 챔피언 전용 도발''' >"대사 ('''챔피언 이름''')" >'''농담''' >"대사" >'''특정 챔피언 전용 농담''' >"대사 ('''챔피언 이름''')" >'''웃음''' >"대사" >'''춤''' >"대사" >'''귀환''' >"대사" >'''스킬(단축키) 사용''' >"대사" >'''사망''' >"대사" >'''부활''' >"대사" >'''(스킨 이름) 스킨 추가 대사''' >"대사" >'''아이템 구매''' >"대사 ('''아이템 이름''') " >'''와드 설치''' >"대사" >'''특수 조건 충족''' >"대사" == 스킬 == [[파일:jhin_S.png]] ## 공식 챔피언 스킬 요약 이미지를 올립니다. ## 각 스킬에서 사용하는 스킬 표는 아래의 설명 문서를 참조 바랍니다. ## 특정 아이템 및 버프 형식으로 된 특수한 스킬셋은 기본 지속 효과의 하위 문단으로 합니다.(예: [[렝가]], [[칼리스타]]) ## 스킬 설명 문단에 판정 등으로 (필요하지만) 기계적이고 비대한 정보를 올릴 경우 해당 스킬 문단에 하위 문단을 만들 수 있습니다.(예: [[우르곳]]) === 패시브 - 이름(영어 이름) === || [[파일:jhin_P.png|width=64]] || || === Q - 이름(영어 이름) === || [[파일:jhin_Q.jpg|width=64]] || || === W - 이름(영어 이름) === || [[파일:jhin_W.jpg|width=64]] || || === E - 이름(영어 이름) === || [[파일:jhin_E.jpg|width=64]] || || === R - 이름(영어 이름) === || [[파일:jhin_R1.jpg|width=64]] || || == 영원석 == === 시리즈 1 === [[파일:인도자_영원석.png|width=50]] {{{+4 '''영원석 명칭'''}}} > '''영원석 조건 서술''' >---- > '''달성 목표''' : ? / ? / ? / ? / ? + 업적 단계 당 ? [[파일:심판자_영원석.png|width=50]] {{{+4 '''영원석 명칭'''}}} > '''영원석 조건 서술''' >---- > '''달성 목표''' : ? / ? / ? / ? / ? + 업적 단계 당 ? [[파일:수호자_영원석.png|width=50]] {{{+4 '''영원석 명칭'''}}} > '''영원석 조건 서술''' >---- > '''달성 목표''' : ? / ? / ? / ? / ? + 업적 단계 당 ? ## [[리그 오브 레전드/시스템#s-5.1]] 내용을 참조하여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 평가 == 비 원거리 딜러형 근접 바텀 라이너를 설계 목표로 한 챔피언.[* 이러한 초기 컨셉이 나왔을 당시에는 바텀 근딜 챔피언을 새롭게 출시한다는 점에서 여러 추측들이 나왔을 정도였다. 예를 들어 EU 스타일이 메타로써 정립된 이후부터 매우 오랫동안 바텀에 꼭 AD 원거리 챔피언만을 기용한다라는 뿌리깊게 박혀버린 관념과 인식들을 라이엇이 직접 깨부수려는 것 같다라는 예상과 바텀 라이너로 출시되지만 타 포지션 라인에도 충분히 기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추측 등등.] [[모데카이저/9.12 업데이트 전|리메이크 전 모데카이저]] 이후 처음으로 등장하는 '''바텀 근접 딜러'''. 물론 이제까지 야스오를 비롯한 근접 딜러들이 바텀에 선 적이 있으나, 비원딜 전략의 수혜를 입고 등장한 것이고 주력 포지션은 엄연히 다른 라인이었다.[* 라이엇 공식 바텀 근접 비원딜의 시초 격 챔피언으로는 5.16 패치 리워크 모데카이저가 있었으나, 설계 미스를 지적받고 9.12 패치에서 대규모 리메이크가 진행된 이후에 명맥이 끊겼으며 [[야스오(리그 오브 레전드)|야스오]]를 비롯한 8.11 패치로 등장한 근접 비원딜들은 본래 의도된 포지션이 아니었기에 공식 바텀 비원딜은 사실상 닐라가 유일하다.][* 라이엇에 의해 근접 바텀 라이너 비스무리하게 설계된 챔피언으로는 돌격형 전사 업데이트 당시의 [[모데카이저/9.12 업데이트 전|모데카이저]] 정도가 있지만 당시 모데카이저는 리워크였고 챔피언 설계 자체가 근접 바텀 챔피언으로 설계된 것은 아니기에 설정, 서사, 테마, 게임플레이 측면에서 이질감이 있다. 또한 이후에 또 한번 리메이크 되었다는 점에서 사실상 현재까지 해당 챔피언이 기획부터 근접 바텀 라이너로 설계된 최초의 사례이다.] === 장점 === === 단점 === === 상성 === * '해당 챔피언'이(가) 상대하기 힘든 챔피언 * 특징 분류: 설명 * 대표적인 챔피언들 * 하드 카운터 챔피언 서술 * 특징 분류: 설명 * 대표적인 챔피언들 * 하드 카운터 챔피언 서술: * 기타(특징이 겹치거나 특징에 해당 안되는 경우인데 하드 카운터일 경우) * 해당 챔피언 서술: * '해당 챔피언'이(가)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 특징 분류: 설명 * 대표적인 챔피언들 == 역사 == ## 각 시즌은 프리시즌을 포함해서 서술합니다. 가령 2018 시즌은 8.1이 아닌, 7.22부터 시작합니다. === 2022 시즌 === == [[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아이템]], [[리그 오브 레전드/룬|룬]] == 모든 아이템, 룬에 관한 정보는 통계상의 유의미한 근거 자료에 기반하여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포지션 혹은 육성법 등의 이유로 챔피언의 아이템 빌드가 두 가지 카테고리 이상에서 최소 2개 이상의 아이템 차이를 보일 경우, 각각의 빌드를 아래와 같이 분리합니다. 하나의 빌드만이 사용되는 챔피언은 굳이 빌드를 나누지 않으며, 핵심 아이템만이 약간 다를 경우 빌드 B의 예시를 따릅니다. 어떠한 빌드가 유의미한 가치를 가지는지는 통계에 기반하여 판단합니다. 룬 빌드의 경우 가장 많이 쓰이는 룬 1개만 대표로 틀에서 다루며, 나머지는 아래에 글로만 서술합니다. 비등하게 쓰일 경우 빌드 문단을 분리해주시기 바랍니다. 틀의 사용법은 [[:틀:룬/설명 문서]]와 [[:틀:리그 오브 레전드/추천 아이템/설명문서]] 참조바랍니다. === A 빌드 === '''룬''' || [include(틀:핵심 룬-정밀, 핵심1=10, 핵심2=20, 핵심3=30, 핵심4=40, 일일=33, 일이=33, 일삼=33, 이일=100, 이이=0, 이삼=0, 삼일=0, 삼이=0, 삼삼=0 )] ||<^|2> [include(틀:보조 룬-지배, 일일=50, 일이=50, 일삼=0, 이일=0, 이이=10, 이삼=0, 삼일=100, 삼이=0, 삼삼=100, 삼사=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추천 능력치, 1=적, 2=공속, 3=쿨)] || ---- *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추천 아이템, 시작1=도란의 검, 시작2=도란의 방패, 시작3=장화, 추천1=월식, 추천2=징수의 총, 추천3=고속 연사포, 추천4=요우무의 유령검, 추천5=밤의 끝자락, 추천6=신속의 장화 )] ---- '''시작 아이템''' ---- '''핵심 아이템''' ---- '''공격 아이템''' ---- '''방어 아이템''' === B 빌드 === '''룬''' || [include(틀:핵심 룬-정밀, 핵심1=10, 핵심2=20, 핵심3=30, 핵심4=40, 일일=33, 일이=33, 일삼=33, 이일=100, 이이=0, 이삼=0, 삼일=0, 삼이=0, 삼삼=0 )] ||<^|2> [include(틀:보조 룬-지배, 일일=50, 일이=50, 일삼=0, 이일=0, 이이=10, 이삼=0, 삼일=100, 삼이=0, 삼삼=100, 삼사=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추천 능력치, 1=방, 2=마저, 3=체)] || ---- *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추천 아이템2, 시작1=도란의 검, 시작2=도란의 반지, 시작3=도란의 방패, 추천1=처형인의 대검, 추천2=망각의 구, 추천3=덤불 조끼,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추천8=, 추천9=)] ---- '''시작 아이템''' ---- '''신화 아이템''' ---- '''핵심 아이템 (a 빌드 or 포지션)''' ---- '''핵심 아이템 (b 빌드 or 포지션)''' ---- '''공격 아이템''' ---- '''방어 아이템''' === 비추천 아이템 === 예능형 빌드가 아닌 이상, 챔피언에게 전혀 어울리지 않는 속성이 있거나, 효율이 추천 아이템에 비해 떨어지는 아이템을 게시하는 문단입니다. 가령 [[문도 박사]]에게 마나 관련 아이템은 전혀 쓸모가 없으니, 해당 문서에서는 이 곳에 기재하였습니다. 여기에는 각각의 아이템을 나열하거나, [[문도 박사]] 문서 처럼 "~관련 아이템"이라고 뭉뚱그려 표현해도 됩니다. == [[소환사의 협곡]]에서의 플레이 == === 상단 (탑) === === 정글 === === 중단 (미드) === === 하단 (봇) === 라이엇에서 제시한 주 포지션. === 서포터 === == 다른 모드/게임에서의 플레이 == === [[칼바람 나락]] === === [[U.R.F 모드]] === === [[리그 오브 레전드/특별한 게임 모드#s-2.1|단일 챔피언]] === === [[리그 오브 레전드/전략적 팀 전투|전략적 팀 전투]] === ## 전략적 팀 전투에서의 평가 및 패치 내역을 작성해주세요. ===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와일드 리프트]] === == 스킨 == ## 각 스킨에서 바뀌는 모션도 서술해주세요. ## 이미지 파일은 나무위키에 올리기 전에 포토샵 등의 적절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로를 1215픽셀로 변환해주세요. 변환하지 않고 파일을 업로드할 경우 해상도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본 스킨 === ||<-4> 이미지 추가 || || '''가격''' || - || '''동영상''' || - || || '''구 일러스트''' || - || '''중국 일러스트''' || - || 간략한 설명을 적되, 대부분 특징이 없는 390, 520, 750 RP 가격대 스킨의 경우는 설명을 적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한정판 스킨인 경우에는 반드시 몇년도에 무엇 때문에 한정판으로 출시 되었는지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첨부는 반드시 [[http://www.youtube.com/user/SkinSpotlights|SkinSpotlights]] 링크로 달아주세요. 자신의 유튜브 사이트 홍보를 위한 개인 채널 링크는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스킨 이름(영어 이름) === == 기타 == [[https://youtu.be/CfBParpPI9M|닐라: 해방된 기쁨 | 챔피언 트레일러]] 서사 작가인 CarnivalKnights의 말에 따르면 현재 거주지는 빌지워터지만, 출신지는 한때 비에고가 다스렸던 카마보르가 속해있는 동쪽 대륙이라고 한다. 출신 국가는 카마보르가 아닌 같은 대륙의 다른 국가라고 한다.[[https://twitter.com/carnivalnites/status/1537871744370823168|#]] 닐라의 디자인은 남아시아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닐라의 무기는 인도에서 기원한 [[우르미]](Urumi)라는 무기라고 한다.[[https://www.reddit.com/r/NilahMains/comments/ve8586/guessing_what_nilahs_weapons_are_because_i_have/icqk9io/?context=3|#]] 옷의 장식이나 능력 등을 보면 유령 손들이 떠다니는데, 닐라는 이들을 [[악마(리그 오브 레전드)|악마]]라고 부른다. 농담모션에서 하이파이브도 하는 걸 보면 꽤나 친한 듯. === 출시 전 정보 === || [[파일:신비로운 손길.png|width=100%]] || [[파일:Oyster_Bill_nicetry.png|width=100%]] || || 신비로운 손길 || 굴잡이 빌의 굴 오두막 || 바텀 포지션을 필두로 하는 근접 챔피언으로, [[https://www.reddit.com/r/leagueoflegends/comments/rxqef0/comment/hrpasxg/?utm_source=share&utm_medium=web2x&context=3|Reav3의 레딧 코멘트]]에 의하면 개발자로는 게임플레이 기획자는 [[리그 오브 레전드/개발자#Squad5(스쿼드5)|Squad5]], 컨셉 아티스트는 Sojyoo[* 한국계 미국인으로 여성이다.], 서사 작가는 CarnivalKnights가 맡았다. [[https://youtu.be/Gq_54Lcd0aA?t=332|2022 시즌 챔피언 영상]][* 원문 영상에서는 "bot lane"으로 포지션에 중점을 둔 반면, 한국어 자막본에서는 바텀 라이너가 아닌 "원거리 딜러"로 사실상 오역되었다. 그리고 이후 2022 시즌 오프닝 데이 개요 영상에서는 근접 봇 챔피언(melee bot) 즉, 원딜이 아닌 근딜=비원딜 챔피언이라 칭하였다.]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고, 기존 바텀 라이너의 틀을 뒤흔들 신비로운 챔피언으로 소개되었다. [[https://www.leagueoflegends.com/ko-kr/news/dev/champion-roadmap-april-2022/|2022년 4월 챔피언 업데이트 현황]]에서 전투 중에 '안개가 자욱해졌다', '빛나는 웅덩이', '물이 첨벙거리는 소리가 들린다'라는 표현을 보면 은신과 어떠한 액체를 사용하는 스킬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바다 건너편에서 룬테라로 찾아온, 다채롭고 치명적인 이방인'이라는 언급으로 보아 아예 지금까지 공개되지 않은 국가와 대륙의 외국인 혹은 타 행성에서 온 외계인일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간주되었다. 프로 유출러 'Big Bad Bear'가 [[논바이너리]] 챔피언이 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그 근거 중 하나로 4월 챔피언 업데이트 현황 원문에서 이 챔피언을 지칭할 때 Them(그들)이라는 대명사를 사용하기 때문. 또한 챔피언의 소개문에 사용되었던 [[굴(어패류)|굴]]은 자웅동체에 속하는 동물이며, 이를 미루어보아 이전까지는 그냥 굴 요리를 좋아하는 사람 종족일 수도 있지만 자웅동체가 가능한 비인간 종족이 아니냐는 예측도 존재했었다. 그리고 이러한 추측은 챔피언 이름과 챔피언 형상이 공인되기 이전까지 해당 챔피언의 개발자들이 Joy가 들어가는 표현을[* 한글판에선 "흥겹다"로 번역.] 쓰는 점과 원문의 소개문에서도 Joy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챔피언 이름 중에 Joy가 필히 들어갈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추측들 중 굴과 관련한 연관성은 오리무중인 상황이고, Joy는 챔피언 이름이 아닌 챔피언 이명에 들어갔으며, 챔피언 트레일러 설명문에선 her라고 지칭하면서 논 바이너리일 가능성에 대한 여부에 대한 설득력은 크게 잃게 되었다. [* 원문: Evil falls to joyous strength. You will know '''her''' name.] Reav3의 말에 따르면 벨베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출시될 것이라는 코멘트를 남겼다. 단편 소설인 "철부지들과 봄볼로니" 후반부에서 "웃는 항아리를 가지고 있는 여자"가 언급되는데, 트페가 그녀를 두고 옷에 '''손이 많다'''고 언급되었다. 이 여자가 해당 챔피언이라면 신비로운 손길 티저 이미지와 관계가 있는 듯. 트위스티드 페이트가 베인과 더불어 그 여자와도 꽤나 친한 것 같다고 그레이브즈에게 따진 것을 보면 이 둘과 그 여자는 안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나름 한 싸움 하는 그브와 트페에게 무섭다는 말을 듣는 것과 개발자 블로그에서 웃으면서 자신에게 시비를 건 녹서스인 10명을 끔살시켰다는 내용이 언급되면서 보통내기가 아닌 것으로도 표현되었다. 이름인 Nilah는 아랍어로 [[부레옥잠]]이란 뜻이다. 공개된 영상에서 트위스티드 페이트의 기절과 평타를 무시하는 것을 보아 면역 상태가 되는 스킬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것 때문인지 [[그웬(리그 오브 레전드)|그면상]]에 이은 닐면상, 닐라는 면역 상태입니다라는 드립을 치고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 version=3014, paragraph=7)] == 컨셉 아트 == ##챔피언 제작 과정에서의 공식 컨셉 이미지, gif파일만을 사용합니다. 보낼 RAW[[분류: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창세기전 시리즈 등장인물, rd1=닐라(창세기전 시리즈))] ## 업데이트 전후로 문서가 분리된 챔피언 문서에 붙이는 틀입니다.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업데이트 전]] 참조.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역할군)] >'''"챔피언 대사"'''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num=161, c1=벨베스, c2=닐라, c3=미정, d1=벨베스, d2=닐라(리그 오브 레전드), d3=미정)] ## [[틀: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문서를 참조. ## 복수의 챔피언이 동시 출시될 경우, 직접 틀을 작성해주셔야 합니다. ||<-4> {{{+1 '''닐라''', ''해방된 기쁨''[br]'''Nilah''', ''The Joy Unbound''}}}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주 역할군''' || '''부 역할군''' || [[리그 오브 레전드/지역 및 국가|{{{#f0f0e7 '''소속'''}}}]] || '''가격''' || || - || - || - || {{{#f0f0e7 [[파일:롤아이콘-RP.png|width=15]] 975 [br][br] [[파일:롤아이콘-BE.png]] 6300}}} || ||<-4> '''기타 정보''' || ||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출시일|{{{#white '''출시일'''}}}]] ||<-3> [[년|{{{#white YYYY년}}}]] [[월|{{{#white MM월}}}]] [[일|{{{#white DD일}}}]] || || '''풀네임''' ||<-3> 한글 풀네임 / 영어 풀네임 || || [[리그 오브 레전드/개발자|{{{#white '''디자이너'''}}}]] ||<-3> {{{#white 스쿼드5(Squad5)}}} || || '''성우'''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김보나|{{{#fff 김보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 || || '''테마 음악''' ||<-3> {{{#!wiki style="width: 230px; margin: 0px auto;" [youtube(NSQZqVsaKWY, width=230px, height=30px)]}}} || ## 챔피언 이미지는 가급적 공식 홈페이지의 것을 사용합니다. ## 주 역할군과 부 역할군, 소속은 리그 오브 레전드 공식 홈페이지와 유니버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 역할군과 부 역할군, 소속 이미지 및 텍스트 변경은 아래의 설명 문서를 참조하세요. ## 출시일은 PBE를 제외한 서버에서 가장 먼저 출시된 날짜를 기준으로 합니다. ## 풀네임, 테마 음악이 공개되지 않거나 없을 경우, 해당 셀 자체를 삭제해 주십시오 ## 성우란에 링크 생성시 [[성우 문서명|{{{#white 성우명}}}]], 혹은 [[성우 출처 링크|{{{#white 성우명}}}]]과 같이 작성 바랍니다. ## 디자이너란에 링크 생성시 [[디자이너 문서명|{{{#white 디자이너명}}}]], 혹은 [[리그 오브 레전드/개발자#해당 디자이너 문단 앵커|{{{#white 디자이너명}}}]]과 같이 작성 바랍니다. [목차] == 배경 == 클라이언트 배경 ---- {{{#!folding 유니버스 배경(접기/펼치기) 유니버스 배경 작성. }}} ## 단, 내용이 단편 소설 등을 포함하여 길거나, 클라이언트의 것과 완전히 모순된다면 별도 하위 문서에서 작성해주십시오. ---- 배경에 대한 추가 설명 및 장문 배경 링크 작성 [clearfix] ## 배경 내용이 공백 제외 2000자 초과 시 별도 하위 문서로 분리하여 주십시오. ## 2016년 12월 기준으로 배경 내용을 표나 글상자에 삽입할 시 모바일 환경에서 해당 내용이 증발하는 위키 엔진 버그가 있습니다. 가급적 배경 내용은 텍스트만으로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 위의 틀은 이미지의 돌출 여부에 따라 유연하게 삽입합니다. ## 구 배경 및 리그의 심판은 별도 하위 문서로 작성. ===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관계#챔피언 이름|챔피언 관계]] === || [[자르반 4세|[[파일:jarvanIV_portrait.png|width=120]]]] || [[럭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lux_portrait.png|width=120]]]] || [[신 짜오|[[파일:xinZhao_portrait.png|width=120]]]] || [[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tarina_portrait.png|width=120]]]] || [[스웨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swain_portrait.png|width=120]]]] || [[우르곳|[[파일:urgot_portrait.png|width=120]]]] || || [[자르반 4세]] || [[럭스(리그 오브 레전드)|럭스]] || [[신 짜오]] || [[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카타리나]] || [[스웨인(리그 오브 레전드)|스웨인]] || [[우르곳]] || ## 챔피언 관계도는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https://universe.leagueoflegends.com/ko_KR/]])를 참고하여 수정바랍니다. ## 챔피언의 초상화 이미지는 [[:분류:파일/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초상화]]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이미지 크기는 120px로 고정입니다. ## 문단명에서 '챔피언 이름'을 해당 챔피언으로 바꾸고,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관계]]에 해당 챔피언 문단을 만들어주시기 바랍니다. ## 리워크 등으로 관계도가 바뀐다면 바뀐 관계도를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관계]]로 옮겨주시기 바랍니다. == 능력치 == ## [[틀:리그 오브 레전드/라이엇 제공 챔피언 능력치]] 문서를 참조하여 해당 틀의 문법을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라이엇 제공 챔피언 능력치, Type=물리, Atktype=06, Difficulty=1, Damage=2, Armor=2, Crowd=2, Mobility=2, Utility=2)] || '''구분''' || '''기본 능력'''[br]'''(+레벨 당 상승)''' || '''최종 수치''' || ||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width=20]] '''체력''' || 0(+0) || 0 || || [[파일:롤아이콘-체력재생_신규.png|width=20]] '''체력 재생''' || 0(+0) || 0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자원''' || 0(+0) || 0 || || [[파일:롤아이콘-마나재생.png|width=20]] '''자원 재생''' || 0(+0) || 0 || ||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width=20]] '''공격력''' || 0(+0) || 0 || ||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width=20]] '''공격 속도''' || 0(+0%) || 0 || ||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width=20]] '''방어력''' || 0(+0) || 0 || ||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width=20]] '''마법 저항력''' || 0(+0) || 0 ||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사거리''' || 0(+0) || 0 || ||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width=20]] '''이동 속도''' || 0(+0) || 0 || ## 능력치는 게임 클라이언트의 것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단, 레벨 당 성장 차이가 있다는 것에 유의해주세요. 그외에는 신뢰성 있는 타 사이트를 참조합니다. ## 체력/마나 재생은 5초 당 단위로 서술합니다. 게임 클라이언트는 초 당 단위로 되어있습니다. ## 능력치를 색을 입힌 볼드체로 표기하는 것은 더 이상 권장하지 않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능력치]]에서 따로 다루어주세요. ## 챔피언의 도발/농담 등을 포함한 모션 등에 대한 서술도 이곳에서 합니다. 단, 기본 스킨 한정. 그 외에는 각 스킨 문단에서 다뤄주세요. == 대사 == ## 대사가 80줄 이상일 시 [[템플릿: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대사]] 양식에 따라 별도 문서로 분리 바랍니다. >'''선택''' >"대사" >'''게임 시작''' >"대사" >'''공격''' >"대사" >'''이동''' >"대사" >'''도발''' >"대사" >'''특정 챔피언 전용 도발''' >"대사 ('''챔피언 이름''')" >'''농담''' >"대사" >'''특정 챔피언 전용 농담''' >"대사 ('''챔피언 이름''')" >'''웃음''' >"대사" >'''춤''' >"대사" >'''귀환''' >"대사" >'''스킬(단축키) 사용''' >"대사" >'''사망''' >"대사" >'''부활''' >"대사" >'''(스킨 이름) 스킨 추가 대사''' >"대사" >'''아이템 구매''' >"대사 ('''아이템 이름''') " >'''와드 설치''' >"대사" >'''특수 조건 충족''' >"대사" == 스킬 == [[파일:jhin_S.png]] ## 공식 챔피언 스킬 요약 이미지를 올립니다. ## 각 스킬에서 사용하는 스킬 표는 아래의 설명 문서를 참조 바랍니다. ## 특정 아이템 및 버프 형식으로 된 특수한 스킬셋은 기본 지속 효과의 하위 문단으로 합니다.(예: [[렝가]], [[칼리스타]]) ## 스킬 설명 문단에 판정 등으로 (필요하지만) 기계적이고 비대한 정보를 올릴 경우 해당 스킬 문단에 하위 문단을 만들 수 있습니다.(예: [[우르곳]]) === 패시브 - 이름(영어 이름) === || [[파일:jhin_P.png|width=64]] || || === Q - 이름(영어 이름) === || [[파일:jhin_Q.jpg|width=64]] || || === W - 이름(영어 이름) === || [[파일:jhin_W.jpg|width=64]] || || === E - 이름(영어 이름) === || [[파일:jhin_E.jpg|width=64]] || || === R - 이름(영어 이름) === || [[파일:jhin_R1.jpg|width=64]] || || == 영원석 == === 시리즈 1 === [[파일:인도자_영원석.png|width=50]] {{{+4 '''영원석 명칭'''}}} > '''영원석 조건 서술''' >---- > '''달성 목표''' : ? / ? / ? / ? / ? + 업적 단계 당 ? [[파일:심판자_영원석.png|width=50]] {{{+4 '''영원석 명칭'''}}} > '''영원석 조건 서술''' >---- > '''달성 목표''' : ? / ? / ? / ? / ? + 업적 단계 당 ? [[파일:수호자_영원석.png|width=50]] {{{+4 '''영원석 명칭'''}}} > '''영원석 조건 서술''' >---- > '''달성 목표''' : ? / ? / ? / ? / ? + 업적 단계 당 ? ## [[리그 오브 레전드/시스템#s-5.1]] 내용을 참조하여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 평가 == 비 원거리 딜러형 근접 바텀 라이너를 설계 목표로 한 챔피언.[* 이러한 초기 컨셉이 나왔을 당시에는 바텀 근딜 챔피언을 새롭게 출시한다는 점에서 여러 추측들이 나왔을 정도였다. 예를 들어 EU 스타일이 메타로써 정립된 이후부터 매우 오랫동안 바텀에 꼭 AD 원거리 챔피언만을 기용한다라는 뿌리깊게 박혀버린 관념과 인식들을 라이엇이 직접 깨부수려는 것 같다라는 예상과 바텀 라이너로 출시되지만 타 포지션 라인에도 충분히 기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추측 등등.] [[모데카이저/9.12 업데이트 전|리메이크 전 모데카이저]] 이후 처음으로 등장하는 '''바텀 근접 딜러'''. 물론 이제까지 야스오를 비롯한 근접 딜러들이 바텀에 선 적이 있으나, 비원딜 전략의 수혜를 입고 등장한 것이고 주력 포지션은 엄연히 다른 라인이었다.[* 라이엇 공식 바텀 근접 비원딜의 시초 격 챔피언으로는 5.16 패치 리워크 모데카이저가 있었으나, 설계 미스를 지적받고 9.12 패치에서 대규모 리메이크가 진행된 이후에 명맥이 끊겼으며 [[야스오(리그 오브 레전드)|야스오]]를 비롯한 8.11 패치로 등장한 근접 비원딜들은 본래 의도된 포지션이 아니었기에 공식 바텀 비원딜은 사실상 닐라가 유일하다.][* 라이엇에 의해 근접 바텀 라이너 비스무리하게 설계된 챔피언으로는 돌격형 전사 업데이트 당시의 [[모데카이저/9.12 업데이트 전|모데카이저]] 정도가 있지만 당시 모데카이저는 리워크였고 챔피언 설계 자체가 근접 바텀 챔피언으로 설계된 것은 아니기에 설정, 서사, 테마, 게임플레이 측면에서 이질감이 있다. 또한 이후에 또 한번 리메이크 되었다는 점에서 사실상 현재까지 해당 챔피언이 기획부터 근접 바텀 라이너로 설계된 최초의 사례이다.] === 장점 === === 단점 === === 상성 === * '해당 챔피언'이(가) 상대하기 힘든 챔피언 * 특징 분류: 설명 * 대표적인 챔피언들 * 하드 카운터 챔피언 서술 * 특징 분류: 설명 * 대표적인 챔피언들 * 하드 카운터 챔피언 서술: * 기타(특징이 겹치거나 특징에 해당 안되는 경우인데 하드 카운터일 경우) * 해당 챔피언 서술: * '해당 챔피언'이(가)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 특징 분류: 설명 * 대표적인 챔피언들 == 역사 == ## 각 시즌은 프리시즌을 포함해서 서술합니다. 가령 2018 시즌은 8.1이 아닌, 7.22부터 시작합니다. === 2022 시즌 === == [[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아이템]], [[리그 오브 레전드/룬|룬]] == 모든 아이템, 룬에 관한 정보는 통계상의 유의미한 근거 자료에 기반하여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포지션 혹은 육성법 등의 이유로 챔피언의 아이템 빌드가 두 가지 카테고리 이상에서 최소 2개 이상의 아이템 차이를 보일 경우, 각각의 빌드를 아래와 같이 분리합니다. 하나의 빌드만이 사용되는 챔피언은 굳이 빌드를 나누지 않으며, 핵심 아이템만이 약간 다를 경우 빌드 B의 예시를 따릅니다. 어떠한 빌드가 유의미한 가치를 가지는지는 통계에 기반하여 판단합니다. 룬 빌드의 경우 가장 많이 쓰이는 룬 1개만 대표로 틀에서 다루며, 나머지는 아래에 글로만 서술합니다. 비등하게 쓰일 경우 빌드 문단을 분리해주시기 바랍니다. 틀의 사용법은 [[:틀:룬/설명 문서]]와 [[:틀:리그 오브 레전드/추천 아이템/설명문서]] 참조바랍니다. === A 빌드 === '''룬''' || [include(틀:핵심 룬-정밀, 핵심1=10, 핵심2=20, 핵심3=30, 핵심4=40, 일일=33, 일이=33, 일삼=33, 이일=100, 이이=0, 이삼=0, 삼일=0, 삼이=0, 삼삼=0 )] ||<^|2> [include(틀:보조 룬-지배, 일일=50, 일이=50, 일삼=0, 이일=0, 이이=10, 이삼=0, 삼일=100, 삼이=0, 삼삼=100, 삼사=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추천 능력치, 1=적, 2=공속, 3=쿨)] || ---- *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추천 아이템, 시작1=도란의 검, 시작2=도란의 방패, 시작3=장화, 추천1=월식, 추천2=징수의 총, 추천3=고속 연사포, 추천4=요우무의 유령검, 추천5=밤의 끝자락, 추천6=신속의 장화 )] ---- '''시작 아이템''' ---- '''핵심 아이템''' ---- '''공격 아이템''' ---- '''방어 아이템''' === B 빌드 === '''룬''' || [include(틀:핵심 룬-정밀, 핵심1=10, 핵심2=20, 핵심3=30, 핵심4=40, 일일=33, 일이=33, 일삼=33, 이일=100, 이이=0, 이삼=0, 삼일=0, 삼이=0, 삼삼=0 )] ||<^|2> [include(틀:보조 룬-지배, 일일=50, 일이=50, 일삼=0, 이일=0, 이이=10, 이삼=0, 삼일=100, 삼이=0, 삼삼=100, 삼사=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추천 능력치, 1=방, 2=마저, 3=체)] || ---- *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추천 아이템2, 시작1=도란의 검, 시작2=도란의 반지, 시작3=도란의 방패, 추천1=처형인의 대검, 추천2=망각의 구, 추천3=덤불 조끼,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추천8=, 추천9=)] ---- '''시작 아이템''' ---- '''신화 아이템''' ---- '''핵심 아이템 (a 빌드 or 포지션)''' ---- '''핵심 아이템 (b 빌드 or 포지션)''' ---- '''공격 아이템''' ---- '''방어 아이템''' === 비추천 아이템 === 예능형 빌드가 아닌 이상, 챔피언에게 전혀 어울리지 않는 속성이 있거나, 효율이 추천 아이템에 비해 떨어지는 아이템을 게시하는 문단입니다. 가령 [[문도 박사]]에게 마나 관련 아이템은 전혀 쓸모가 없으니, 해당 문서에서는 이 곳에 기재하였습니다. 여기에는 각각의 아이템을 나열하거나, [[문도 박사]] 문서 처럼 "~관련 아이템"이라고 뭉뚱그려 표현해도 됩니다. == [[소환사의 협곡]]에서의 플레이 == === 상단 (탑) === === 정글 === === 중단 (미드) === === 하단 (봇) === 라이엇에서 제시한 주 포지션. === 서포터 === == 다른 모드/게임에서의 플레이 == === [[칼바람 나락]] === === [[U.R.F 모드]] === === [[리그 오브 레전드/특별한 게임 모드#s-2.1|단일 챔피언]] === === [[리그 오브 레전드/전략적 팀 전투|전략적 팀 전투]] === ## 전략적 팀 전투에서의 평가 및 패치 내역을 작성해주세요. ===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와일드 리프트]] === == 스킨 == ## 각 스킨에서 바뀌는 모션도 서술해주세요. ## 이미지 파일은 나무위키에 올리기 전에 포토샵 등의 적절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로를 1215픽셀로 변환해주세요. 변환하지 않고 파일을 업로드할 경우 해상도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본 스킨 === ||<-4> 이미지 추가 || || '''가격''' || - || '''동영상''' || - || || '''구 일러스트''' || - || '''중국 일러스트''' || - || 간략한 설명을 적되, 대부분 특징이 없는 390, 520, 750 RP 가격대 스킨의 경우는 설명을 적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한정판 스킨인 경우에는 반드시 몇년도에 무엇 때문에 한정판으로 출시 되었는지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첨부는 반드시 [[http://www.youtube.com/user/SkinSpotlights|SkinSpotlights]] 링크로 달아주세요. 자신의 유튜브 사이트 홍보를 위한 개인 채널 링크는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스킨 이름(영어 이름) === == 기타 == [[https://youtu.be/CfBParpPI9M|닐라: 해방된 기쁨 | 챔피언 트레일러]] 서사 작가인 CarnivalKnights의 말에 따르면 현재 거주지는 빌지워터지만, 출신지는 한때 비에고가 다스렸던 카마보르가 속해있는 동쪽 대륙이라고 한다. 출신 국가는 카마보르가 아닌 같은 대륙의 다른 국가라고 한다.[[https://twitter.com/carnivalnites/status/1537871744370823168|#]] 닐라의 디자인은 남아시아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닐라의 무기는 인도에서 기원한 [[우르미]](Urumi)라는 무기라고 한다.[[https://www.reddit.com/r/NilahMains/comments/ve8586/guessing_what_nilahs_weapons_are_because_i_have/icqk9io/?context=3|#]] 옷의 장식이나 능력 등을 보면 유령 손들이 떠다니는데, 닐라는 이들을 [[악마(리그 오브 레전드)|악마]]라고 부른다. 농담모션에서 하이파이브도 하는 걸 보면 꽤나 친한 듯. === 출시 전 정보 === || [[파일:신비로운 손길.png|width=100%]] || [[파일:Oyster_Bill_nicetry.png|width=100%]] || || 신비로운 손길 || 굴잡이 빌의 굴 오두막 || 바텀 포지션을 필두로 하는 근접 챔피언으로, [[https://www.reddit.com/r/leagueoflegends/comments/rxqef0/comment/hrpasxg/?utm_source=share&utm_medium=web2x&context=3|Reav3의 레딧 코멘트]]에 의하면 개발자로는 게임플레이 기획자는 [[리그 오브 레전드/개발자#Squad5(스쿼드5)|Squad5]], 컨셉 아티스트는 Sojyoo[* 한국계 미국인으로 여성이다.], 서사 작가는 CarnivalKnights가 맡았다. [[https://youtu.be/Gq_54Lcd0aA?t=332|2022 시즌 챔피언 영상]][* 원문 영상에서는 "bot lane"으로 포지션에 중점을 둔 반면, 한국어 자막본에서는 바텀 라이너가 아닌 "원거리 딜러"로 사실상 오역되었다. 그리고 이후 2022 시즌 오프닝 데이 개요 영상에서는 근접 봇 챔피언(melee bot) 즉, 원딜이 아닌 근딜=비원딜 챔피언이라 칭하였다.]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고, 기존 바텀 라이너의 틀을 뒤흔들 신비로운 챔피언으로 소개되었다. [[https://www.leagueoflegends.com/ko-kr/news/dev/champion-roadmap-april-2022/|2022년 4월 챔피언 업데이트 현황]]에서 전투 중에 '안개가 자욱해졌다', '빛나는 웅덩이', '물이 첨벙거리는 소리가 들린다'라는 표현을 보면 은신과 어떠한 액체를 사용하는 스킬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바다 건너편에서 룬테라로 찾아온, 다채롭고 치명적인 이방인'이라는 언급으로 보아 아예 지금까지 공개되지 않은 국가와 대륙의 외국인 혹은 타 행성에서 온 외계인일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간주되었다. 프로 유출러 'Big Bad Bear'가 [[논바이너리]] 챔피언이 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그 근거 중 하나로 4월 챔피언 업데이트 현황 원문에서 이 챔피언을 지칭할 때 Them(그들)이라는 대명사를 사용하기 때문. 또한 챔피언의 소개문에 사용되었던 [[굴(어패류)|굴]]은 자웅동체에 속하는 동물이며, 이를 미루어보아 이전까지는 그냥 굴 요리를 좋아하는 사람 종족일 수도 있지만 자웅동체가 가능한 비인간 종족이 아니냐는 예측도 존재했었다. 그리고 이러한 추측은 챔피언 이름과 챔피언 형상이 공인되기 이전까지 해당 챔피언의 개발자들이 Joy가 들어가는 표현을[* 한글판에선 "흥겹다"로 번역.] 쓰는 점과 원문의 소개문에서도 Joy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챔피언 이름 중에 Joy가 필히 들어갈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추측들 중 굴과 관련한 연관성은 오리무중인 상황이고, Joy는 챔피언 이름이 아닌 챔피언 이명에 들어갔으며, 챔피언 트레일러 설명문에선 her라고 지칭하면서 논 바이너리일 가능성에 대한 여부에 대한 설득력은 크게 잃게 되었다. [* 원문: Evil falls to joyous strength. You will know '''her''' name.] Reav3의 말에 따르면 벨베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출시될 것이라는 코멘트를 남겼다. 단편 소설인 "철부지들과 봄볼로니" 후반부에서 "웃는 항아리를 가지고 있는 여자"가 언급되는데, 트페가 그녀를 두고 옷에 '''손이 많다'''고 언급되었다. 이 여자가 해당 챔피언이라면 신비로운 손길 티저 이미지와 관계가 있는 듯. 트위스티드 페이트가 베인과 더불어 그 여자와도 꽤나 친한 것 같다고 그레이브즈에게 따진 것을 보면 이 둘과 그 여자는 안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나름 한 싸움 하는 그브와 트페에게 무섭다는 말을 듣는 것과 개발자 블로그에서 웃으면서 자신에게 시비를 건 녹서스인 10명을 끔살시켰다는 내용이 언급되면서 보통내기가 아닌 것으로도 표현되었다. 이름인 Nilah는 아랍어로 [[부레옥잠]]이란 뜻이다. 공개된 영상에서 트위스티드 페이트의 기절과 평타를 무시하는 것을 보아 면역 상태가 되는 스킬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것 때문인지 [[그웬(리그 오브 레전드)|그면상]]에 이은 닐면상, 닐라는 면역 상태입니다라는 드립을 치고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 version=3014, paragraph=7)] == 컨셉 아트 == ##챔피언 제작 과정에서의 공식 컨셉 이미지, gif파일만을 사용합니다. [include(틀:포크됨, title=닐라, version=77)]더위키에 나무위키판으로 포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