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카피 r66 RAW 2022-06-22 16:31:43에 w2에서 r66판 포크됨||||||||||<:>[[파일:external/adlayasanimals.files.wordpress.com/okapi2.jpg|width=300]] || ||||||||||<#FF6600><:>'''오카피'''|| |||||| Okapi |||| 이명 : || ||||||||||<:><#FF9966>''' ''Okapia johnstoni'' ''' Sclater, 1901|| ||<|7><#FFCC66> 분류 || || [[계]] ||||||'''동물계'''|| ||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포유강(Mammalia)|| || [[목]] ||||||경우제목(Cetartiodactyla)|| || [[과]] ||||||기린과(Giraffidae)|| || [[속]] ||||||오카피속(''Okapia'')|| ||<-5><:><#FF9966> '''[[종]]''' || ||<-5> '''오카피'''(''O. johnstoni'') || [[파일:external/animalcorner.co.uk/okapi-2.jpg|width=400]] [[파일:external/gifts.worldwildlife.org/large-Okapi-photo.jpg|width=400]] [[영어]]: Okapi [[중국어]]: 㺢㹢狓 [[일본어]]: オカピ [목차] == 개요 ==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 해발고도 500~1500 m 고지에 위치한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어깨높이 약 1.5m, 전체길이 2.5 m, 몸무게 200~300 kg 남짓한 포유류. 분류학적으로는 '''기린과 오카피속''' 동물이지만[* 기린과 오카피는 약 1150만 년 전 공통조상으로부터 분화했다고 한다.] 털의 색상은 보통 기린과 다르고,[* 무늬가 없고 털에 윤기가 돌아서 말과 더 닮았다.] 다리의 무늬는 오히려 [[얼룩말]]과 유사하며 [[기린]]과 흡사한 [[뿔]][* 영미권에서 기린과 동물들의 뿔을 [[https://en.wikipedia.org/wiki/Ossicone|Ossicone(골축)]]이라고 부른다.]이 달렸으나, 기린과는 달리 수컷에게만 뿔이 있다. 오랫동안 아프리카의 원주민 부족들 사이에서는 전설의 동물로 구전되었는데, 1890년 유럽 열강들이 아프리카 대륙으로 진출하던 시기에 유럽인 학자들이 존재를 확인하였다. == 발견과 재분류 == 콩고민주공화국의 현지 원주민 부족들 사이에서도 전설의 동물로 통하였으나 영국인 탐험가 해리 존스턴(Harry Johnston)이 전승에 흥미를 느끼고 찾아다닌 끝에 실체를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1901년 학명을 부여받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25px-Okapi_1901.jpg]] 1901년 해리 존스턴이 그린 오카피 하지만 오카피가 발견/보고된 이후부터 당시 동물학자들은 이 오카피를 어느 분류에 넣어야 하는지를 두고 혼란을 겪었다. 이 동물을 처음으로 발견했던 해리 존스턴(Harry Johnston)은 오카피를 멸종한 기린과 동물인 헬라도테리움(''Helladotherium'')속 내지는 다른 멸종한 기린과의 동물 속으로 파악했으나, 학명의 명명자인 필립 슬레이터(Philip Sclater)는 오카피를 [[말(동물)|말]]로 묘사한 원주민들의 증언에 따라 오카피를 말속 동물로 분류하고 ''Equus johnstoni''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라틴어로 equus가 말(馬)이란 뜻이다. 하지만 영국의 동물학자 레이 렌케스터(Ray Lankester)가 오카피를 속 불명으로 재분류하고 '''오카피속(''Okapia'')'''으로 명명했다. 이후에도 오카피의 분류학적 위치를 놓고 학계에서 꾸준히 논쟁이 오갔지만, [[1980년대]]에 들면서 오카피속은 기린과에 속한 우제류 동물로 확정되었다. == 생태 == 열대우림의 깊고 습한 곳에 서식하며 낮에 주로 활동하는 주행성이다. 먹이로는 100종 이상 식물의 [[나뭇잎]], 새순, [[과일]], 종자 등을 먹고 풀, 양치식물, 이끼류 따위도 먹는데 기린처럼 60 cm가 넘는 길이의 긴 [[혀]]를 활용해 높은 곳의 나뭇잎을 먹을 수 있다. 또한 강이나 하천 가의 염분이 있는 붉은 [[진흙]]을 먹음으로써 몸에 필요한 [[무기질]]을 보충한다고 한다. [[파일:external/farm2.static.flickr.com/3171302559_455c172b03.jpg]] [[혀]]를 이용해 얼굴과 몸 곳곳을 닦아내며 털을 정리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단독생활을 하고, 무리를 지음은 번식기에 어미와 새끼가 함께 다니는 것 정도이다. [[파일:external/www.stlzoo.org/Okapi_calf_Umeme1_Kim_Downey_Saint_Louis_Zoo_8-8-13_web.jpg|width=400]] 어미 오카피와 새끼 오카피 암컷이 한마리의 새끼를 [[임신]]하는데, 임신기간은 440~450일 정도이며 갓 태어난 새끼의 무게는 14~30 kg이다. 새끼는 태어난 지 30분 정도 지나면 일어설 수 있고 생후 6개월이 지나면 젖을 뗀다. [[뿔]]은 생후 1년부터 자라기 시작하는데 수컷의 뿔이 더 크다. 암수 모두 생후 3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완전히 성숙한 성체가 되는데 [[수명]]은 약 20~30년 정도로 알려졌다. 천적으로는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표범]] 정도가 있으나 야생에 서식하는 오카피의 수가 적고 서식지에서 관찰된 사례 또한 적기 때문에 야생의 생태는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다. [[멸종위기 동물]]에 속한다. 단계는 위기. 여러 이유에서의 서식지 파괴와[* 사람들의 열대우림 개척, 서식지 내에서의 불법 채굴 작업 등등.] 불법 사냥 등으로 인해 숫자가 줄고 있으며 보호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일단 오카피의 주된 서식지인 [[콩고민주공화국]]의 치안이 불안한 것도 오카피 보호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콩고는 내전의 영향으로 야생동물은 고사하고 국민 인권과 치안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한다. 또한 콩고에는 [[다이아몬드]], [[구리]], [[희토류]] 등 돈이 될 자원이 많기 때문에 그 자원을 얻기 위해 사람들이 인력으로 갈려나감은 물론 자연도 함께 파괴당한다. 오카피뿐만 아니라 콩고민주공화국을 서식지로 삼는 다른 여러 야생동물들도 돈이 될 자원을 얻을 목적으로 저질러지는 자연파괴에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야생동물들의 서식지 파괴는 물론, 개발이나 채굴에 방해된답시고 사람들이 이 동물들을 학살까지 하기 때문.] 현재 콩고민주공화국의 야생에선 오카피가 약 5천 마리 정도 생존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밖에 미국이나 유럽 등 서방권 여러 곳의 동물원에서도 오카피를 사육하거나 번식 시도도 진행 중이다. 대략 북아프리카의 [[긴칼뿔오릭스]]나 서아시아의 [[아라비아오릭스]], 동아시아의 [[사불상]], [[프르제발스키말]] 등 야생에서 멸종되어 동물원의 사육 개체들만 남아있었던 일부 유제류 동물들의 사례와 같이 야생에서 멸종될 시 해외 동물원에서라도 개체수를 늘리거나 혹은 야생 멸종 이후에 원산지인 콩고민주공화국의 야생에 다시 재방사하려는 목적이 있는 듯하다. == 기타 == 미국이나 유럽 등 서방권과는 달리, 대한민국에는 보유하는 동물원이 전무하다. 1997년 [[서울동물원]]에서 [[봉고(동물)|봉고]]와 함께 영입할 계획이 있음을 밝혔으나 무산되었다.([[https://mnews.joins.com/article/3521920|#]]) [[이사야마 하지메]]의 만화 [[진격의 거인]]에 [[최종장]]인 [[천지전]]에서 [[시조의 거인]]에 의해 선대 [[아홉 거인]]들이 등장했는데, 그 중 오카피의 모습을 한 [[짐승 거인]]이 등장해 [[아르민 알레르토|아르민]]을 납치했다가 [[연합(진격의 거인)|연합]] 일행한테 호되게 당해버리고, 아르민을 빼앗기며 등장 종료. 작중 등장한 선대 아홉 거인 중 중요 인물인 아르민을 납치하는 역할을 맡아 다른 아홉 거인들의 비해 비교적 비중이 높았던 거인이다. 여담으로 현실이나 진격의 거인 세계관이나 오카피의 낮은 인지도 때문에 오카피 거인을 본 연합 일행이나 독자들이나 ''저게 무슨 거인이지?'' 라는 반응이였고, 일행 중 한 명이 오카피라고 알려준 후에도 ''오카피가 뭐야?'' 라는 반응이었다. [[분류:오카피속]][[분류:크립티드/실존]]보낼 RAW||||||||||<:>[[파일:external/adlayasanimals.files.wordpress.com/okapi2.jpg|width=300]] || ||||||||||<#FF6600><:>'''오카피'''|| |||||| Okapi |||| 이명 : || ||||||||||<:><#FF9966>''' ''Okapia johnstoni'' ''' Sclater, 1901|| ||<|7><#FFCC66> 분류 || || [[계]] ||||||'''동물계'''|| ||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포유강(Mammalia)|| || [[목]] ||||||경우제목(Cetartiodactyla)|| || [[과]] ||||||기린과(Giraffidae)|| || [[속]] ||||||오카피속(''Okapia'')|| ||<-5><:><#FF9966> '''[[종]]''' || ||<-5> '''오카피'''(''O. johnstoni'') || [[파일:external/animalcorner.co.uk/okapi-2.jpg|width=400]] [[파일:external/gifts.worldwildlife.org/large-Okapi-photo.jpg|width=400]] [[영어]]: Okapi [[중국어]]: 㺢㹢狓 [[일본어]]: オカピ [목차] == 개요 ==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 해발고도 500~1500 m 고지에 위치한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어깨높이 약 1.5m, 전체길이 2.5 m, 몸무게 200~300 kg 남짓한 포유류. 분류학적으로는 '''기린과 오카피속''' 동물이지만[* 기린과 오카피는 약 1150만 년 전 공통조상으로부터 분화했다고 한다.] 털의 색상은 보통 기린과 다르고,[* 무늬가 없고 털에 윤기가 돌아서 말과 더 닮았다.] 다리의 무늬는 오히려 [[얼룩말]]과 유사하며 [[기린]]과 흡사한 [[뿔]][* 영미권에서 기린과 동물들의 뿔을 [[https://en.wikipedia.org/wiki/Ossicone|Ossicone(골축)]]이라고 부른다.]이 달렸으나, 기린과는 달리 수컷에게만 뿔이 있다. 오랫동안 아프리카의 원주민 부족들 사이에서는 전설의 동물로 구전되었는데, 1890년 유럽 열강들이 아프리카 대륙으로 진출하던 시기에 유럽인 학자들이 존재를 확인하였다. == 발견과 재분류 == 콩고민주공화국의 현지 원주민 부족들 사이에서도 전설의 동물로 통하였으나 영국인 탐험가 해리 존스턴(Harry Johnston)이 전승에 흥미를 느끼고 찾아다닌 끝에 실체를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1901년 학명을 부여받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25px-Okapi_1901.jpg]] 1901년 해리 존스턴이 그린 오카피 하지만 오카피가 발견/보고된 이후부터 당시 동물학자들은 이 오카피를 어느 분류에 넣어야 하는지를 두고 혼란을 겪었다. 이 동물을 처음으로 발견했던 해리 존스턴(Harry Johnston)은 오카피를 멸종한 기린과 동물인 헬라도테리움(''Helladotherium'')속 내지는 다른 멸종한 기린과의 동물 속으로 파악했으나, 학명의 명명자인 필립 슬레이터(Philip Sclater)는 오카피를 [[말(동물)|말]]로 묘사한 원주민들의 증언에 따라 오카피를 말속 동물로 분류하고 ''Equus johnstoni''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라틴어로 equus가 말(馬)이란 뜻이다. 하지만 영국의 동물학자 레이 렌케스터(Ray Lankester)가 오카피를 속 불명으로 재분류하고 '''오카피속(''Okapia'')'''으로 명명했다. 이후에도 오카피의 분류학적 위치를 놓고 학계에서 꾸준히 논쟁이 오갔지만, [[1980년대]]에 들면서 오카피속은 기린과에 속한 우제류 동물로 확정되었다. == 생태 == 열대우림의 깊고 습한 곳에 서식하며 낮에 주로 활동하는 주행성이다. 먹이로는 100종 이상 식물의 [[나뭇잎]], 새순, [[과일]], 종자 등을 먹고 풀, 양치식물, 이끼류 따위도 먹는데 기린처럼 60 cm가 넘는 길이의 긴 [[혀]]를 활용해 높은 곳의 나뭇잎을 먹을 수 있다. 또한 강이나 하천 가의 염분이 있는 붉은 [[진흙]]을 먹음으로써 몸에 필요한 [[무기질]]을 보충한다고 한다. [[파일:external/farm2.static.flickr.com/3171302559_455c172b03.jpg]] [[혀]]를 이용해 얼굴과 몸 곳곳을 닦아내며 털을 정리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단독생활을 하고, 무리를 지음은 번식기에 어미와 새끼가 함께 다니는 것 정도이다. [[파일:external/www.stlzoo.org/Okapi_calf_Umeme1_Kim_Downey_Saint_Louis_Zoo_8-8-13_web.jpg|width=400]] 어미 오카피와 새끼 오카피 암컷이 한마리의 새끼를 [[임신]]하는데, 임신기간은 440~450일 정도이며 갓 태어난 새끼의 무게는 14~30 kg이다. 새끼는 태어난 지 30분 정도 지나면 일어설 수 있고 생후 6개월이 지나면 젖을 뗀다. [[뿔]]은 생후 1년부터 자라기 시작하는데 수컷의 뿔이 더 크다. 암수 모두 생후 3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완전히 성숙한 성체가 되는데 [[수명]]은 약 20~30년 정도로 알려졌다. 천적으로는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표범]] 정도가 있으나 야생에 서식하는 오카피의 수가 적고 서식지에서 관찰된 사례 또한 적기 때문에 야생의 생태는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다. [[멸종위기 동물]]에 속한다. 단계는 위기. 여러 이유에서의 서식지 파괴와[* 사람들의 열대우림 개척, 서식지 내에서의 불법 채굴 작업 등등.] 불법 사냥 등으로 인해 숫자가 줄고 있으며 보호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일단 오카피의 주된 서식지인 [[콩고민주공화국]]의 치안이 불안한 것도 오카피 보호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콩고는 내전의 영향으로 야생동물은 고사하고 국민 인권과 치안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한다. 또한 콩고에는 [[다이아몬드]], [[구리]], [[희토류]] 등 돈이 될 자원이 많기 때문에 그 자원을 얻기 위해 사람들이 인력으로 갈려나감은 물론 자연도 함께 파괴당한다. 오카피뿐만 아니라 콩고민주공화국을 서식지로 삼는 다른 여러 야생동물들도 돈이 될 자원을 얻을 목적으로 저질러지는 자연파괴에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야생동물들의 서식지 파괴는 물론, 개발이나 채굴에 방해된답시고 사람들이 이 동물들을 학살까지 하기 때문.] 현재 콩고민주공화국의 야생에선 오카피가 약 5천 마리 정도 생존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밖에 미국이나 유럽 등 서방권 여러 곳의 동물원에서도 오카피를 사육하거나 번식 시도도 진행 중이다. 대략 북아프리카의 [[긴칼뿔오릭스]]나 서아시아의 [[아라비아오릭스]], 동아시아의 [[사불상]], [[프르제발스키말]] 등 야생에서 멸종되어 동물원의 사육 개체들만 남아있었던 일부 유제류 동물들의 사례와 같이 야생에서 멸종될 시 해외 동물원에서라도 개체수를 늘리거나 혹은 야생 멸종 이후에 원산지인 콩고민주공화국의 야생에 다시 재방사하려는 목적이 있는 듯하다. == 기타 == 미국이나 유럽 등 서방권과는 달리, 대한민국에는 보유하는 동물원이 전무하다. 1997년 [[서울동물원]]에서 [[봉고(동물)|봉고]]와 함께 영입할 계획이 있음을 밝혔으나 무산되었다.([[https://mnews.joins.com/article/3521920|#]]) [[이사야마 하지메]]의 만화 [[진격의 거인]]에 [[최종장]]인 [[천지전]]에서 [[시조의 거인]]에 의해 선대 [[아홉 거인]]들이 등장했는데, 그 중 오카피의 모습을 한 [[짐승 거인]]이 등장해 [[아르민 알레르토|아르민]]을 납치했다가 [[연합(진격의 거인)|연합]] 일행한테 호되게 당해버리고, 아르민을 빼앗기며 등장 종료. 작중 등장한 선대 아홉 거인 중 중요 인물인 아르민을 납치하는 역할을 맡아 다른 아홉 거인들의 비해 비교적 비중이 높았던 거인이다. 여담으로 현실이나 진격의 거인 세계관이나 오카피의 낮은 인지도 때문에 오카피 거인을 본 연합 일행이나 독자들이나 ''저게 무슨 거인이지?'' 라는 반응이였고, 일행 중 한 명이 오카피라고 알려준 후에도 ''오카피가 뭐야?'' 라는 반응이었다. [[분류:오카피속]][[분류:크립티드/실존]] [include(틀:포크됨, title=오카피, version=66)]더위키에 나무위키판으로 포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