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미와 메어리 r29 RAW 2022-06-22 16:29:46에 w2에서 r29판 포크됨[include(틀:상위 문서, top1=Library of Ruina/등장인물)] ||<-2> {{{#white '''토미'''}}} ||<-2> {{{#white '''메어리'''}}} || || {{{#white '''성별'''}}} || 남성 || {{{#white '''성별'''}}} || 여성 || || {{{#white '''소속'''}}} || 토미의 꽃집[*가칭 정확한 명칭은 불명.] || {{{#white '''소속'''}}} || 어느 회사[*가칭] || || {{{#white '''직위'''}}} || 꽃집 점장 || {{{#white '''직위'''}}} || 사무직 || || {{{#white '''성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인형]][* [[핀(Project Moon 세계관)|핀]]과 중복.] || {{{#white '''성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보나]][* [[비나]]와 중복.] || [목차] == 개요 == [[Library of Ruina]]의 등장인물들. == 상세 == [[Library of Ruina/스토리/어금니 사무소|어금니 사무소 에피소드]]에서 처음 등장한 커플이며, [[라오루]]의 주조연들 중에서 몇 안되게 전투와는 거리가 먼 인물들이다.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 [[Library of Ruina]] === ==== [[Library of Ruina/스토리/어금니 사무소|어금니 사무소]] ==== 워프 열차에 탑승하면서 첫등장하는데, 정황상 휴가를 받아서 여행을 온 것으로 보인다.[* 메어리가 "얼마만에 받는 휴가"라고 언급한다.] 토미는 워프열차를 타본적이 없어서 긴장하지만, 메어리는 "도착할때까지 옆에 붙어있어도 된다며" 토미를 안심시킨다.[* 옆에서 이 둘의 애정행각을 보던 올가는 기분나빠해 했다.] 그러나, 워프열차는 31시간이 넘도록 도착하지 않았고, 어금니 사무소 해결사들이 초대장을 통해서 도서관으로 빠져나갈때, 워프열차에 남겨진다. ==== [[Library of Ruina/스토리/토머리|사랑마을]] ==== 워프 열차에 계속 갇혀있던 중 또다른 승객인 [[재헌]]과 [[엘레나(Project Moon 세계관)|엘레나]]를 만난다. 엘레나의 설명으로 워프 열차 내부에서는 어떤 짓을 해도 죽지 않는다는 것[* 한 승객은 자살하려고 직접 목을 그었는데 피와 살점이 그대로 몸에 붙어있는 채로 살아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스스로를 죽이거나 자해를 해도 고통은 그대로 느끼는 상태로 영원히 죽지 않기 때문에 더욱 빨리 미쳐버린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다른 승객들처럼 그 둘에게 의지하며 버틴다. 하지만, 오랜 시간을 견디지 못한 승객들이 폭주해 무차별적으로 다른 승객들을 습격하는 사태가 벌어졌고, 아직 멀쩡한 상태였던 승객들은 소중한 사람을 지키기 위해 엘레나와 재헌의 주도로 서로 몸을 융합해서 고깃덩이 괴물로 개조되었다. 토미와 메어리는 그 끔찍한 모습을 보고 한동안 시술을 거부하다가 결국 서로를 지키기 위해 서로의 몸을 융합한다. >토미:'''그래도 이제 안심이야... 네 심장 고동 소리가 생생하게 느껴지거든...''' >메어리:'''나도 그래...우리는 떨어지지 않을 거야...''' 토미와 메어리를 비롯한 몸을 합친 승객들은 열차 내부에 [[사랑마을]]이라는 공동체를 세운다. ||<-2> [[파일:토머리스탠딩일러스트.png|width=300]]|| ||<-2> {{{#ffffff '''토머리'''}}}[* 이름은 둘의 영어 이름인 토미(Tommy)와 메어리(Merry)가 합쳐진 '''Tomerry'''다.] || || {{{#ffffff '''나이'''}}} || 329,182일부터 세는 것을 까먹었네? || || {{{#ffffff '''성별'''}}} || 토머리! || || {{{#ffffff '''키'''}}} || 문 끝에 머리가 닿는 정도! || || {{{#ffffff '''생일'''}}} || 열차 탑승 113일째! || || {{{#ffffff '''성격 키워드'''}}} || 착함! || || {{{#ffffff '''직업'''}}} || [[사랑마을]] 지키기! || || {{{#ffffff '''취미'''}}} || 네모 접기! || || {{{#ffffff '''특기'''}}} || 세모 접기!!! || || {{{#ffffff '''좋아하는 것'''}}} || 칭찬! || || {{{#ffffff '''싫어하는 것'''}}} || 나쁜 사람들! || 그리고, '''724,284일'''[* 년으로 치면 약 '''[[1984]]'''년으로 윤년을 감안하면 2년이 줄어들지만 큰 차이는 없다.]이 흐른 뒤에는 메어리와 토미로서의 기억을 잊어버린채, '''토머리'''라는 하나의 개체가 되어버렸다. 두 명의 의식이 하나로 융합하듯 모든 말을 동시에 합창하고, 지능도 어린아이 수준으로 퇴화했다.[* 그래도, 말도 제대로 못 할 정도로 망가져버린 다른 주민들보다는 양호한 상태이다.] 엘레나의 명령으로 다른 사랑마을 주민들과 함께 도서관으로 향한다. 도서관측과의 접대에서 토미의 머리가 박살나 난동을 부리면서 도서관을 밀어붙이지만 결국 패배해서 책이 되고 말았다. ||[[파일:라오루기억사랑마을.png|width=100%]]|| >'''…어디있어. 나 너무 무서워… 곁으로 와줘. 토미… 토미.''' 이들의 무참한 말로에는 평소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앤젤라도 비슷한 경험이 있었기에 심한 충격을 받은 듯, 평소와 다르게 융합되기 전의 모습을 기억하느냐[* 정확히는 토미와 메어리를 기억하는지에 대해 물었다.] 묻기도 했으며, 접대 후 [[멘탈붕괴|자신은 저들처럼 시간에 무너지지 않았다고 되뇌이는 모습]]을 보면 상당히 큰 충격을 받은 듯 하다.[*대사2 앤젤라: 난 두 번 다시 똑같은 일을 당하지 않을 거야. 난 저 사람들과 달리 나를 지켜냈어, 난 시간에 잡아먹히지 않고 버텨냈어, 난 무너지지 않았어... 난...] === [[Leviathan(웹툰)|Leviathan]] === {{{#!folding 주의. 라이브러리 오브 루이나의 엔딩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파일:리바이어던_토머리.png|width=300]] 앤젤라가 빛을 다시 도시에 퍼트리면서 도서관에 잠들었던 손님들이 부활했고, 그에 따라 토머리 역시 도시 어딘가에서 다시 눈을 뜨게 되는데, 하필 [[베르길리우스(Project Moon 세계관)|베르길리우스]]가 돌보던 고아원에 나타났다.[* 도서관에서 싸울 당시에 토미의 머리부분이 터지는 묘사가 있었으나 부활하면서 다시 원래대로 복구되었다. 고아원의 입장에서는 더럽게 운이 없는 것인데, 도서관의 손님들 중 나타나자마자 다짜고짜 학살을 저지를만한 것은 이성 없는 괴물들이 되어버린, 토머리를 비롯한 사랑마을 주민들 뿐이었다. 다른 손님들 중 개막장 범죄조직들도 많았지만 그들은 이성이 있으니 특색 붉은시선이 보호하는 고아원 아이들을 뒷감당 생각하지 않고 공격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크리스마스 이브를 맞이해 사무소의 후배들로 추정되는 해결사들이 산타 복장도 빌려줘서 간소하게나마 산타 모자도 쓰고 선물도 받은 베르길리우스가 도착했을 땐 눈물을 흘리며[* 라오루 때와 달리 이성이 없는 괴물처럼 흉폭하게 날뛰는 이유는 아무래도 사랑마을 주민들이 그랬듯이 [[재헌]]과 [[엘레나(Project Moon 세계관)|엘레나]]가 보이지 않고 낯선 곳에 나와 멘붕한 상태에서 해결사들의 눈에 띄어 뒤틀림이라고 습격당해 날뛰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 증거 몸 곳곳에 베인 상처들이 많이 보인다.] 학살을 벌이던 도중이었다. 손에 잡힌 보육원 여성을 그대로 잡아 찢어 죽이려다가 이에 눈이 돌아간 베르길리우스에게 오른팔을 잘린다. 그 직후, [[보라눈물|이오리]]가 토머리를 회수하기 위해 토머리를 죽이려는 베르길리우스를 막아서게 된다. --해당 화 댓글중에는 덧셈, 뺄셈만 할 줄 알던 애가 드디어 '''나눗셈'''을 배웠다면서 대견해하는 댓글이 있다-- .}}} == 기타 == 라오루 15금 포기선언 이후 가장 그로테스크하게 나온 손님으로 유저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선사했다.[* 15금 포기선언을 한 직후 업데이트에서 나왔기 때문에 '''토머리 때문에 심의통과가 안된 것이라는''' 추측이 많았다.] 사랑마을 두번째 무대에서 토머리가 살아있을 경우, 도서관의 배경이 사랑마을의 풍경으로 바뀌는데,[* 토머리가 죽으면 다시 원래 배경으로 돌아온다.] 피가 낭자한 배경, 내장으로 만든 사랑마을 간판, [[상황과 배경음악의 부조화|기괴한 분위기와 상반되게 발랄한]] 느낌의[* 하지만, [[Library of Ruina/스토리/토머리|토머리 에피소드]]를 보고 이 브금의 가사를 읽으면서 들으면 슬픈 느낌이 든다.] BGM인 [[From a Place of Love]] 때문에 기괴함이 더 강하게 느껴진다. 게다가, 토미와 메어리가 '''평범한 민간인'''들이며, 스스로의 선택없이 이 일에 휘말린 것이기에 스토리에 몰입한 유저들에겐 더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이는 게임을 플레이한 유저전부에게 모두 예외없이 커다란 충격을 선사했으며, 일반유저건, 공략유저건, 스트리머건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모두 가리지않고 막대한 W 데미지를 선사했다.]] 그래서 영상에 토머리나 사랑마을 접대가 등장하면 [[From a Place of Love|LOVE-LOVE]]를 댓글로 달거나 치는게 [[밈(인터넷 용어)|밈]]화 되었을정도] 이후 다시 등장한 Leviathan에서는 반대로 가해자가 되어버리는 끊어지지 않은 굴레의 희생자가 되었다. 라오루에 등장한 손님들 중에서 최초의 보스전으로 2개의 무대로 진행되고 2개의 층을 사용가능한데 토머리전의 핵심은 최대한 토머리와 주민들의 체력을 깎아서 다음 층으로 넘기는 것이다. 무대가 시작되면 주민들을 죽였다해도 토머리의 패시브로 인하여 다음 무대에 반피로 부활하므로 주민들을 절대로 죽여서는 안된다. 토머리의 경우 2페이즈가 존재하는데 피를 반 깎으면 토미였던 부분이 터지며 메어리가 난동[* 인게임 내에선 고통의 분노, 사랑의 채찍, 희미한 기억을 제외한 모든 카드들이 삭제되고 저 셋을 0코스트로 2장씩 써댄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고통으로 미친듯이 날뛰지만 그 사랑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기억 못하는 메어리를 보면 꽤나 안쓰럽다.]을 부리기 시작한다. 죽을때는 메어리의 인격이 돌아와 무섭다며 토미를 찾으며 죽는데 상당히 아련하다.[*대사1 ..어디있어. 나 너무 무서워...곁으로 와줘 토미...토미..] 괴물인데도 불구하고 다른 사랑마을 주민들이 완전히 이성을 잃어서 말도 제대로 못하고 더듬거나 하는 반면에 토머리만큼은 이성을 잃지않았지만 지능이 어린아이 수준으로 떨어져서인지 엘레나와 재헌을 엄마, 아빠라고 부른다거나 도서관을 방문한 손님들중에서도 손에 꼽을정도로 예의바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앤젤라에게 예의바른 모습을 보인건 핀, 레인, 미카, 리웨이, 시 협회, 산, 에마/노아, 청소부 정도.] 메어리를 연기한 김보나 성우의 인터뷰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botomycorporation&no=676461&exception_mode=recommend&page=1|따르면]] 토미를 연기한 김인형 성우와는 아는 선후배 사이였는데 하필 토머리 성우로 만나버렸다고(...) == 관련 문서 == * [[Library of Ruina/접대/토머리]] * [[Library of Ruina/책장/토머리]] * '''[[From a Place of Love]]''' * [[사랑마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사랑마을, version=27, paragraph=3.3)] [[분류:Library of Ruina/등장인물]]보낼 RAW[include(틀:상위 문서, top1=Library of Ruina/등장인물)] ||<-2> {{{#white '''토미'''}}} ||<-2> {{{#white '''메어리'''}}} || || {{{#white '''성별'''}}} || 남성 || {{{#white '''성별'''}}} || 여성 || || {{{#white '''소속'''}}} || 토미의 꽃집[*가칭 정확한 명칭은 불명.] || {{{#white '''소속'''}}} || 어느 회사[*가칭] || || {{{#white '''직위'''}}} || 꽃집 점장 || {{{#white '''직위'''}}} || 사무직 || || {{{#white '''성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인형]][* [[핀(Project Moon 세계관)|핀]]과 중복.] || {{{#white '''성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보나]][* [[비나]]와 중복.] || [목차] == 개요 == [[Library of Ruina]]의 등장인물들. == 상세 == [[Library of Ruina/스토리/어금니 사무소|어금니 사무소 에피소드]]에서 처음 등장한 커플이며, [[라오루]]의 주조연들 중에서 몇 안되게 전투와는 거리가 먼 인물들이다.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 [[Library of Ruina]] === ==== [[Library of Ruina/스토리/어금니 사무소|어금니 사무소]] ==== 워프 열차에 탑승하면서 첫등장하는데, 정황상 휴가를 받아서 여행을 온 것으로 보인다.[* 메어리가 "얼마만에 받는 휴가"라고 언급한다.] 토미는 워프열차를 타본적이 없어서 긴장하지만, 메어리는 "도착할때까지 옆에 붙어있어도 된다며" 토미를 안심시킨다.[* 옆에서 이 둘의 애정행각을 보던 올가는 기분나빠해 했다.] 그러나, 워프열차는 31시간이 넘도록 도착하지 않았고, 어금니 사무소 해결사들이 초대장을 통해서 도서관으로 빠져나갈때, 워프열차에 남겨진다. ==== [[Library of Ruina/스토리/토머리|사랑마을]] ==== 워프 열차에 계속 갇혀있던 중 또다른 승객인 [[재헌]]과 [[엘레나(Project Moon 세계관)|엘레나]]를 만난다. 엘레나의 설명으로 워프 열차 내부에서는 어떤 짓을 해도 죽지 않는다는 것[* 한 승객은 자살하려고 직접 목을 그었는데 피와 살점이 그대로 몸에 붙어있는 채로 살아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스스로를 죽이거나 자해를 해도 고통은 그대로 느끼는 상태로 영원히 죽지 않기 때문에 더욱 빨리 미쳐버린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다른 승객들처럼 그 둘에게 의지하며 버틴다. 하지만, 오랜 시간을 견디지 못한 승객들이 폭주해 무차별적으로 다른 승객들을 습격하는 사태가 벌어졌고, 아직 멀쩡한 상태였던 승객들은 소중한 사람을 지키기 위해 엘레나와 재헌의 주도로 서로 몸을 융합해서 고깃덩이 괴물로 개조되었다. 토미와 메어리는 그 끔찍한 모습을 보고 한동안 시술을 거부하다가 결국 서로를 지키기 위해 서로의 몸을 융합한다. >토미:'''그래도 이제 안심이야... 네 심장 고동 소리가 생생하게 느껴지거든...''' >메어리:'''나도 그래...우리는 떨어지지 않을 거야...''' 토미와 메어리를 비롯한 몸을 합친 승객들은 열차 내부에 [[사랑마을]]이라는 공동체를 세운다. ||<-2> [[파일:토머리스탠딩일러스트.png|width=300]]|| ||<-2> {{{#ffffff '''토머리'''}}}[* 이름은 둘의 영어 이름인 토미(Tommy)와 메어리(Merry)가 합쳐진 '''Tomerry'''다.] || || {{{#ffffff '''나이'''}}} || 329,182일부터 세는 것을 까먹었네? || || {{{#ffffff '''성별'''}}} || 토머리! || || {{{#ffffff '''키'''}}} || 문 끝에 머리가 닿는 정도! || || {{{#ffffff '''생일'''}}} || 열차 탑승 113일째! || || {{{#ffffff '''성격 키워드'''}}} || 착함! || || {{{#ffffff '''직업'''}}} || [[사랑마을]] 지키기! || || {{{#ffffff '''취미'''}}} || 네모 접기! || || {{{#ffffff '''특기'''}}} || 세모 접기!!! || || {{{#ffffff '''좋아하는 것'''}}} || 칭찬! || || {{{#ffffff '''싫어하는 것'''}}} || 나쁜 사람들! || 그리고, '''724,284일'''[* 년으로 치면 약 '''[[1984]]'''년으로 윤년을 감안하면 2년이 줄어들지만 큰 차이는 없다.]이 흐른 뒤에는 메어리와 토미로서의 기억을 잊어버린채, '''토머리'''라는 하나의 개체가 되어버렸다. 두 명의 의식이 하나로 융합하듯 모든 말을 동시에 합창하고, 지능도 어린아이 수준으로 퇴화했다.[* 그래도, 말도 제대로 못 할 정도로 망가져버린 다른 주민들보다는 양호한 상태이다.] 엘레나의 명령으로 다른 사랑마을 주민들과 함께 도서관으로 향한다. 도서관측과의 접대에서 토미의 머리가 박살나 난동을 부리면서 도서관을 밀어붙이지만 결국 패배해서 책이 되고 말았다. ||[[파일:라오루기억사랑마을.png|width=100%]]|| >'''…어디있어. 나 너무 무서워… 곁으로 와줘. 토미… 토미.''' 이들의 무참한 말로에는 평소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앤젤라도 비슷한 경험이 있었기에 심한 충격을 받은 듯, 평소와 다르게 융합되기 전의 모습을 기억하느냐[* 정확히는 토미와 메어리를 기억하는지에 대해 물었다.] 묻기도 했으며, 접대 후 [[멘탈붕괴|자신은 저들처럼 시간에 무너지지 않았다고 되뇌이는 모습]]을 보면 상당히 큰 충격을 받은 듯 하다.[*대사2 앤젤라: 난 두 번 다시 똑같은 일을 당하지 않을 거야. 난 저 사람들과 달리 나를 지켜냈어, 난 시간에 잡아먹히지 않고 버텨냈어, 난 무너지지 않았어... 난...] === [[Leviathan(웹툰)|Leviathan]] === {{{#!folding 주의. 라이브러리 오브 루이나의 엔딩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파일:리바이어던_토머리.png|width=300]] 앤젤라가 빛을 다시 도시에 퍼트리면서 도서관에 잠들었던 손님들이 부활했고, 그에 따라 토머리 역시 도시 어딘가에서 다시 눈을 뜨게 되는데, 하필 [[베르길리우스(Project Moon 세계관)|베르길리우스]]가 돌보던 고아원에 나타났다.[* 도서관에서 싸울 당시에 토미의 머리부분이 터지는 묘사가 있었으나 부활하면서 다시 원래대로 복구되었다. 고아원의 입장에서는 더럽게 운이 없는 것인데, 도서관의 손님들 중 나타나자마자 다짜고짜 학살을 저지를만한 것은 이성 없는 괴물들이 되어버린, 토머리를 비롯한 사랑마을 주민들 뿐이었다. 다른 손님들 중 개막장 범죄조직들도 많았지만 그들은 이성이 있으니 특색 붉은시선이 보호하는 고아원 아이들을 뒷감당 생각하지 않고 공격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크리스마스 이브를 맞이해 사무소의 후배들로 추정되는 해결사들이 산타 복장도 빌려줘서 간소하게나마 산타 모자도 쓰고 선물도 받은 베르길리우스가 도착했을 땐 눈물을 흘리며[* 라오루 때와 달리 이성이 없는 괴물처럼 흉폭하게 날뛰는 이유는 아무래도 사랑마을 주민들이 그랬듯이 [[재헌]]과 [[엘레나(Project Moon 세계관)|엘레나]]가 보이지 않고 낯선 곳에 나와 멘붕한 상태에서 해결사들의 눈에 띄어 뒤틀림이라고 습격당해 날뛰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 증거 몸 곳곳에 베인 상처들이 많이 보인다.] 학살을 벌이던 도중이었다. 손에 잡힌 보육원 여성을 그대로 잡아 찢어 죽이려다가 이에 눈이 돌아간 베르길리우스에게 오른팔을 잘린다. 그 직후, [[보라눈물|이오리]]가 토머리를 회수하기 위해 토머리를 죽이려는 베르길리우스를 막아서게 된다. --해당 화 댓글중에는 덧셈, 뺄셈만 할 줄 알던 애가 드디어 '''나눗셈'''을 배웠다면서 대견해하는 댓글이 있다-- .}}} == 기타 == 라오루 15금 포기선언 이후 가장 그로테스크하게 나온 손님으로 유저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선사했다.[* 15금 포기선언을 한 직후 업데이트에서 나왔기 때문에 '''토머리 때문에 심의통과가 안된 것이라는''' 추측이 많았다.] 사랑마을 두번째 무대에서 토머리가 살아있을 경우, 도서관의 배경이 사랑마을의 풍경으로 바뀌는데,[* 토머리가 죽으면 다시 원래 배경으로 돌아온다.] 피가 낭자한 배경, 내장으로 만든 사랑마을 간판, [[상황과 배경음악의 부조화|기괴한 분위기와 상반되게 발랄한]] 느낌의[* 하지만, [[Library of Ruina/스토리/토머리|토머리 에피소드]]를 보고 이 브금의 가사를 읽으면서 들으면 슬픈 느낌이 든다.] BGM인 [[From a Place of Love]] 때문에 기괴함이 더 강하게 느껴진다. 게다가, 토미와 메어리가 '''평범한 민간인'''들이며, 스스로의 선택없이 이 일에 휘말린 것이기에 스토리에 몰입한 유저들에겐 더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이는 게임을 플레이한 유저전부에게 모두 예외없이 커다란 충격을 선사했으며, 일반유저건, 공략유저건, 스트리머건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모두 가리지않고 막대한 W 데미지를 선사했다.]] 그래서 영상에 토머리나 사랑마을 접대가 등장하면 [[From a Place of Love|LOVE-LOVE]]를 댓글로 달거나 치는게 [[밈(인터넷 용어)|밈]]화 되었을정도] 이후 다시 등장한 Leviathan에서는 반대로 가해자가 되어버리는 끊어지지 않은 굴레의 희생자가 되었다. 라오루에 등장한 손님들 중에서 최초의 보스전으로 2개의 무대로 진행되고 2개의 층을 사용가능한데 토머리전의 핵심은 최대한 토머리와 주민들의 체력을 깎아서 다음 층으로 넘기는 것이다. 무대가 시작되면 주민들을 죽였다해도 토머리의 패시브로 인하여 다음 무대에 반피로 부활하므로 주민들을 절대로 죽여서는 안된다. 토머리의 경우 2페이즈가 존재하는데 피를 반 깎으면 토미였던 부분이 터지며 메어리가 난동[* 인게임 내에선 고통의 분노, 사랑의 채찍, 희미한 기억을 제외한 모든 카드들이 삭제되고 저 셋을 0코스트로 2장씩 써댄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고통으로 미친듯이 날뛰지만 그 사랑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기억 못하는 메어리를 보면 꽤나 안쓰럽다.]을 부리기 시작한다. 죽을때는 메어리의 인격이 돌아와 무섭다며 토미를 찾으며 죽는데 상당히 아련하다.[*대사1 ..어디있어. 나 너무 무서워...곁으로 와줘 토미...토미..] 괴물인데도 불구하고 다른 사랑마을 주민들이 완전히 이성을 잃어서 말도 제대로 못하고 더듬거나 하는 반면에 토머리만큼은 이성을 잃지않았지만 지능이 어린아이 수준으로 떨어져서인지 엘레나와 재헌을 엄마, 아빠라고 부른다거나 도서관을 방문한 손님들중에서도 손에 꼽을정도로 예의바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앤젤라에게 예의바른 모습을 보인건 핀, 레인, 미카, 리웨이, 시 협회, 산, 에마/노아, 청소부 정도.] 메어리를 연기한 김보나 성우의 인터뷰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botomycorporation&no=676461&exception_mode=recommend&page=1|따르면]] 토미를 연기한 김인형 성우와는 아는 선후배 사이였는데 하필 토머리 성우로 만나버렸다고(...) == 관련 문서 == * [[Library of Ruina/접대/토머리]] * [[Library of Ruina/책장/토머리]] * '''[[From a Place of Love]]''' * [[사랑마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사랑마을, version=27, paragraph=3.3)] [[분류:Library of Ruina/등장인물]] [include(틀:포크됨, title=토미와 메어리, version=29)]더위키에 나무위키판으로 포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