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안전성 r250 RAW 2022-06-22 16:20:51에 w2에서 r250판 포크됨[include(틀:북한의 행정조직)] [include(틀:북한 최고사령관 예하 기관)] ||<-2><:> {{{#36262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362622 북한}}}]]의 [[공안|{{{#362622 공안기관}}}]]'''}}}[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안전성 휘장.svg|height=60]]||'''{{{+1 사회안전성[br]社會安全省}}}[br]{{{-1 Ministry of Social Security}}}''' || }}}|| || '''설립''' ||[[1945년]] [[11월 19일]] || || '''연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내무성 정치보안국 {{{-2 (1945~1951)}}}[br]사회안전성 {{{-2 (1951~1952)}}}[br]내무성 {{{-2 (1952~1962)}}}[br]사회안전성 {{{-2 (1962~1972)}}}[br]사회안전부 {{{-2 (1972~1998)}}}[*분리 [[1973년]] 방첩 업무를 담당하던 부서가 '[[국가보위성|국가정치보위부]]{{{-2 ([[2022년]] 기준, '[[국가보위성]]')}}}'로 분리·독립되었다.][br]사회안전성 {{{-2 (1998~2000)}}}[br][[파일:인민보안성 로고.png|width=25]] 인민보안성 {{{-2 (2000~2010)}}}[br]인민보안부 {{{-2 (2010~2016)}}}[br][[파일:인민보안성 로고.png|width=25]] 인민보안성 {{{-2 (2016~2020)}}}[br][[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안전성 휘장.svg|width=25]] 사회안전성 {{{-2 (2020~ )}}}}}} || || '''사회안전상''' ||[[박수일(북한)|박수일]] || || '''상위 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 ||<|2> '''주소''' ||[[평양시]] [[서성구역]] 련못동 사회안전성 본부 || ||{{{#!wiki style="margin: -3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9.08049720458879%2c125.76797844677284, 너비=100%, 높이=250)]}}}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회안전성'''은 [[북한]]의 [[치안]]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중국 공안부]]와 유사한 점이 많다. 민주국가의 [[경찰]]과 치안 업무만 하는것이 아니라 초법적으로 가택수색, 숙박검열, 불심검문, 체포, 구금, 사형 집행을 할 권한이 있으며 국가보위성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정치범 수용소]]를 운영하고 외화벌이까지 자체로 하는 막강한 권한을 가진다. 사회안전성은 북한 5대 특수기관 ([[조선로동당]], [[조선인민군]], [[국가보위성]], [[북한 외무성|외무성]], 사회안전성)에 속하는데 특수기관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정책]] 협의를 거치지 않고 [[최고지도자]] [[김정은]]에게 직접보고가 가능하다. 국무위원회 산하라지만 [* [[공산권]]이 아닌 정상국가에서는 로동당 조직을 국가조직으로 인정치 않으므로 대외적으로 별도의 통치기구가 있음을 표방한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중앙위원회 산하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조직지도부]]가 실질적 인사권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부서는 사회안전성을 포함한 국가보위부, 중앙검찰소 등 여러 기관의 간부 인사를 담당한다. 표면적으로 [[국가]]와 [[인민]]의 [[재산]], [[생명]]을 보호한다고 하지만 현실은 [[백두혈통|김부자]]의 [[세습]] [[권력]]을 유지, 강화하고 북한 주민을 감시하는 북한판 [[질서경찰]]이나 다름 없는 [[정치경찰]] 조직이다. 사회안전성의 주 임무는 치안이 아니라 주민 감시이다. 출생신고와 혼인신고를 한국처럼 일반적 행정기관이 아니라 이곳 소속의 파출소에 비유되는 '분주소'에 하는 것이 한 예이다. [[1958년]] '주민료해사업' 이후 전 북한 주민의 성분과 토대를 분류하고 조상대까지 [[자료]]를 바탕으로 수십계의 계층으로 분류하는데 이런 개인 자료는 매년 업데이트 되어, 군입대, 로동당 입당, 대학진학, 간부사업([[인사]])과 주거지와 [[직장]] 배치에 활용한다. 원본은 [[자강도]] [[만포시]] 소재 사회안전성 총무국 기요연락소 지하갱도에 영구 보관한다. == 연혁 == ||<#c6af5f> {{{#ffffff '''연혁'''}}} ||<#c6af5f> {{{#ffffff '''상세'''}}} ||<#c6af5f> {{{#ffffff '''비고'''}}} || || [[1945년]] [[11월 29일]] ||[[내무부|내무성]] 정치보안국 창설 || || || 1951년 3월 ||사회안전성으로 독립 || || || 1952년 12월 ||내무성과 통합 || || || 1962년 10월 ||사회안전성으로 재독립|| || || 1972년 12월 ||사회안전부로 개편 ||사회주의 헌법 제정 || || 1998년 ||사회안전성으로 개편 ||[[김일성]]의 사망과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심화조 사건]]을 맡으며 주민 통제를 담당|| || 2000년 4월 || 인민보안성으로 명칭 변경 ||심화조 사건 후 김정일의 명령으로 명칭 변경 || || [[2010년]] [[4월]] ||인민보안부 승격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국방위원회]] 직속기관 편입[br][[김정은]]의 후계 체제를 안정시키고 주민들의 불만과 동요를 방지하기 위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4/07/2010040700026.html|승격]]|| || [[2016년]] [[7월]] ||인민보안성 격하 ||[* 김일성 사망 22주년, 만수대언덕에서 추모행사가 열렸을 때 북한 언론들이 인민보안부 대신 인민보안성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면서 다시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08/0200000000AKR20160708195800014.HTML|부급에서 성급으로 격하]]되었음을 간접적으로 알렸다. 이에 당시 [[최부일]] 인민보안부장의 직책도 인민보안상으로 변경되었다. 북한 전문가들은 비슷한 시기 인민무력부가 인민무력성으로 격하된 것과 함께 김정은이 종래의 국방위원회 대신 국무위원회를 내세우며 북한의 권력 체계를 변경하는 과정의 일환이라고 보고 있다.]|| || 2020년 6월 ||사회안전성 명칭 변경||국무위원회 직속|| === 역대 사회안전상 === [include(틀:역대 북한 사회안전상)] ||<#c6af5f> {{{#ffffff '''대수'''}}} ||<#c6af5f> {{{#ffffff '''성명'''}}} ||<#c6af5f> {{{#ffffff '''임기'''}}} ||<#c6af5f> {{{#ffffff '''비고'''}}} || || 제1대 || [[방학세]] || [[1951년]] ~ [[1952년]] ||1952년에 사회안전성이 내무성과 통합됨과 동시에 내무상으로 승진 || || 제2대 ||<|2> 석산 || [[1962년]] ~ [[1967년]] || || || 제3대 || [[1967년]] ~ [[1969년]] ||재임 중 해임 || || 제4대 ||<|2> [[김병하(북한)|김병하]] || [[1969년]] ~ [[1972년]] || || || 제5대 || [[1972년]] ~ [[1973년]] ||사회주의 헌법 채택으로 '''사회안전부장''' 직제 개편[br][[국가보위성|국가보위부]] 출범 후 초대 국가보위부장으로 이임 || || 제6대 || [[리진수]] || [[1973년]] ~ [[1976년]] || || || 제7대 ||<|2> [[최원익]] || [[1976년]] ~ [[1977년]] || || || 제8대 || [[1977년]] ~ [[1980년]] || || || 제9대 ||<|2> [[리진수]] || [[1980년]] ~ [[1982년]] || || || 제10대 || [[1982년]] ~ [[1984년]] ||김병하 [[숙청]] 후, 1984년 1월 2대 국가보위부장 이임 후 1987년 의문사[* 김정일에 의한 배려암살 추정] || || 제11대 || [[리철봉]] || [[1984년]] ~ [[1986년]] || || || 제12대 ||<|3> [[백학림]] || [[1986년]] ~ [[1990년]] || || || 제13대 || [[1990년]] ~ [[1998년]] || || || 제14대 || [[1998년]] ~ [[2003년]] ||[[2000년]] 인민보안상으로 직책 변경 || || 제15대 ||<|2> [[최룡수]] || [[2003년]] ~ [[2003년]] || || || 제16대 || [[2003년]] ~ [[2004년]] || || || 제17대 ||<|2> [[주상성]] || [[2004년]] ~ [[2009년]] || || || 제18대 || [[2009년]] ~ [[2011년]] ||[[2010년]] 인민보안부장으로 직책 변경 및 내각에서 국방위원회 산하로 소속 변경 [br]임기 중 자진사임 (건강상의 이유) || || 제19대 || [[리명수]] || [[2011년]] ~ [[2013년]] || || || 제20대 || [[최부일]] || [[2013년]] ~ [[2019년]] ||[[2016년]] 사회안전상으로 개편 || || 제21대 || [[김정호(북한)|김정호]] || [[2019년]] ~ [[2020년]] || || || 제22대 || [[리영길]] || [[2020년]] ~ [[2021년]] ||[[국방성(북한)|국방상]]으로 이임 || || 제23대 || [[장정남]] || [[2021년]] ~ [[2021년]] ||조선로동당 8기 4중전회에서 경질 || || 제24대 || [[리태섭]] || [[2021년]] ~ [[2022년]] ||총참모장으로 영전 || || 제25대 || [[박수일(북한)|박수일]] || [[2022년]] ~ 현재 || || == 업무 == >인민보안성의 사명은 '''표면상 체제 유지를 위한 대국민 사찰을 전문'''으로 하는 기관이다. 주민에 대한 사찰 방법은 단순한 피라미드식의 구조로써 감시자와 감시대상자, 통제하는 자와 통제받는자로 수직적 관계를 포함하여 모든 주민이 상호통제와 감시 견제를 기본으로 하는 수평적,복합적 구조 등 그물망식의 치안 체제로 사회를 통제한다. > >인민보안성의 통제 업무에서 가장 기본으로 행해지는 것은 북한 체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분자에 대한 장악·통제이다. 인민보안성은 주민 가옥 연합과 같은 ‘인민반’과 각 외곽단체 조직, 공장, 기업소, 협동농장 등에 정보원과 연관된 정보망을 비밀리에 운용하면서 불법행위자는 물론 체제 위험 분자도 감시한다. > >인민보안성의 주민 감시 업무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조직과 단체, 주민과 주민 사이의 감시가 일상화 되어 있고 직급에 따라 복합적으로 상호 견제와 통제가 체계화 조직화 되어있어 체제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인민보안성의 주민 감시에는 주민의 일상 감시, 인민반 생활 감시, 주민과 전과자 동향 감시, 경제생활 감시로 구분되어 있다. > >이처럼 인민보안성의 감시 체계는 사회적으로 인민반장과 같은 핵심 군중이 주민과 상인에 대한 수직적 감시 체계가 구축되었고, 공장, 기업소 등에서는 노동자나 상인에 침투한 정보원과 방조자에 의해 범죄자를 감시하는 수평적 감시가 항상 존재하며 이에 따라 전 국민에 대한 통일적 사회 감시망을 구축하고 있어 김정은을 중심으로 하는 노동당의 유일 영도 강화에 확고히 이바지하고 있다. > > [[https://www.kinu.or.kr/brd/board/726/L/menu/382?brdType=R&thisPage=8&bbIdx=57289&searchField=&searchText=|<북한 3대 통제기구 작동 메커니즘 변화 연구> 곽명일 (통일부 미래통일연구소)]] '''사회안전성의 구체적 임무''' || ① 수령 옹호 보위 ② 당과 정권 보안사업의 옹호보위 ③ 인민의 생명 · 재산 보호 ④ 사회질서 유지 등 || [[1972년]] [[12월 27일]] 사회주의 헌법 제헌과 더불어 이듬해 5월 사회안전 업무와 정치보위 업무 분담 정책으로 사회안전부 소속의 정치보위국이 분리되어 [[국가보위성|국가정치보위부]]를 신설하였다. 이로써 '사회안전부'는 치안질서 유지 등 치안업무를 담당하고 '국가정치보위부'는 인민과 국가기관에 대한 반혁명 및 반국가범죄, 방첩, 정치사찰, 대내외 정보업무, 관리소 (정치범수용소) 운영 등의 비밀경찰 업무를 담당하였다. 다만 국가정치보위부의 영역이라고 하는 정치범 수색 및 체포, 정치범수용소 운영 업무도 사회안전성이 같이 담당하고 있다. 추가로 사상범 적발과 주민 신원 조사, 외국인 방문자 감시, 기밀문서 보관 및 관리와 정치, 소방, 재난 안전관리, 철도 · 지하철 관리, 교화, 외자유치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출처 유동열, “북한 정보기구의 변천과 현황,” 『국가정보연구』 제11권 1호(2018), p. 164] 국가보위성이 은밀히 업무를 처리하면 사회안전성은 당당히 업무를 처리하는 차이가 있다. 그래서 경제사범, 경범죄도 이 부서의 담당이지만 정치범은 국가보위성과 중복된다. 비효율적으로 보이지만 업무가 중복되면 같은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들이 서로 견제하며 인민 감시는 더욱 촘촘해지기 때문이다. [[경찰]]의 호칭은 '안전원'이며 [[한국전쟁]] 당시 '내무서원', 사회안전부 당시 '사회안전원' 또는 '안전원', 인민보안성 당시 '보안원'으로 불렀다. == 제복 == || [[파일:attachment/nkpolicemen.jpg|width=100%]] || [[파일:attachment/nkpolicewomen.jpg|width=100%]] || || {{{#ffffff [[경찰|사회안전원]]}}} || {{{#ffffff [[교통경찰|교통안전원]]}}} || || [[파일:1602338417-1-vert.jpg|width=100%]] || [[파일:사회안전성기동타격대.png|width=100%]] || || {{{#ffffff [[SWAT|무장기동부대]]}}} || {{{#ffffff [[M2010 APC|장갑차에 탑승한 무장기동부대]]}}} || || [[파일:55a681e52acae719008b6cfb.jpg|width=100%]] || [[파일:북한 소방관JPG.jpg|width=100%]] || || [[철도경찰|철도보안원]] [* 교통안전원 역시 위의 제복을 착용하고 근무하기도 한다] || [[소방관|소방업무 안전원]] [* 잘 보면 소방관이 [[소총]]을 들고 있다.] || 한국전쟁 당시 내무서원([[경찰]])들은 정규군인 인민군의 군복과 같은 전투복을 입었고, 빨간색 견장을 단 인민군과 달리 파란색 견장으로 소속을 달리했다. 이로 인해 [[한국전쟁]] 당시 국군에게 붙잡힌 내무서원이나 견장이 없는 인민군 포로들은 수용소로 압송되지 못하고 월남 장병들에게 [[즉결처분]]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고 한다. == 조직 == 사회안전성은 [[조선인민군|정규군]]과 동일한 [[조선인민군#s-4|군계급]]을 가지고 있으며, 간부들은 [[조선인민군|정규군]]과 순환 근무를 하기 때문에 한국 경찰보다 전투에 익숙하다. 사실 경찰이라기보다 [[준군사조직]]에 가까운데, 조선인민군 최고사령부 제1부사령관을 맡고 있는 [[리명수]]도 이전 직책은 인민보안부장이었고, 인민보안부장이었던 [[최부일]]도 이전까지는 [[조선인민군 육군]] 대장이었다. 국경경비 및 시위진압 전담 조직인 [[조선인민군 준군사조직|조선사회안전군]][* 조선인민경비대에서 조선인민내무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다시 사회안전군으로 변경되었다.]의 지휘에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 1994년 [[백령도]] 부근에서 표류하다 우리나라에 구조된 조선인민경비대원들이 북한으로 돌아오는 환영식에 사회안전부장 백학림이 참석했기 때문에 조선인민경비대의 지휘계통에 연관성이 있다고 추정된다.]되고 있다. 실제로 보안성 소속 보안원들과 내무군 소속 장병들의 계급장은 동일한 녹색 바탕으로 되어 있고, 이들과 내무군의 순환 근무도 일상적이라고 한다. [[2020년]] [[4월]] 인민보안상으로 승진했던 [[김정호(북한)|김정호]]를 북한 매체에서 내무군 상장이라고 호칭한 점을 보아 같은 지휘계통임이 거의 확실하다. 사회안전성 간부급 요원들은 대부분 김정일인민보안대학 출신으로 출신성분과 당성, 충성심으로 선발된다. ||<-5> {{{+1 [[사회안전성|{{{#white '''사회안전성 사령 조직'''}}}]]}}} || ||<-5> '''[[본부|{{{#white 본부}}}]]''' || || 정치국 || 경비총국 || 경비훈련국 || [[주민등록증|공민등록국]] || [[공병|공병총국]] || || 교화국 || 도로총국 || 외사국 || 제4공병국 || 조직부 || || 조사국 || 감찰부 || [[경찰대학|김정일인민보안대학]] || || || ||<-5> '''{{{#white 참모부}}}''' || || 감찰국 || 수사국 || 작전국 || 예심국 || 교화국 || || [[대한민국 소방청|호안국]] || 통신국 || 병기국 || 재정국 || 후방국 || || 국토총국 || 경비훈련국 || 자재관리국 || 금광관리국 || 답사관리국 || || [[평양 지하철|지하철도관리국]] || 외사처 || 교육처 || 운수처 || 군의처 || || 반항공처 || 경리처 || 상표인쇄처 || [[CERT|제116기동대]] || 경비중대 || || [[국립경찰병원|병원]] || 압록강체육단 || 전자계산기연구소 || 기요연락소 || [[검찰|검찰소]] || ||<-5> '''{{{#white 중앙기관 및 철도 파견 보안}}}''' || || 인민위원회 || [[외무성]] || [[대사관]] || [[국가과학원]] || [[북한 내각|내각]] || || [[대학교|종합대학]] || [[철도경찰|철도보안국]] || || || ||<-5> '''{{{#white 정치국}}}''' || || 간부부 || 청년사업부 || 근로단체부 || 당원등록과 || 당생활지도과 || || 적위대사업부 || [[주체사상|김일성사상연구실]] || 선물사적관 || 미술창작과 || 문예창작과 || || 도서실 || 출판물보급실 || ||<-3> {{{+1 [[사회안전성|{{{#white '''사회안전성 지방 조직'''}}}]]}}} || ||<#024FA2> {{{#fff '''전국'''}}} || 사회안전성 || || ||<#024FA2>[[광역자치단체|{{{#fff '''광역행정단위'''}}}]] {{{#fff ([[도(행정구역)|{{{#fff '''도'''}}}]], [[직할시|{{{#fff '''직할시'''}}}]], [[특별시|{{{#fff '''특별시'''}}}]])}}} || [[지방경찰청|보안국]] ||<|2>[[수사(법률)|수사과]], [[감찰|감찰과]], 예심과, 경리과, 호안과, 병기과, [[소방서|소방과]] || ||<#024FA2>[[기초자치단체|{{{#fff '''기초행정단위'''}}}]] {{{#fff ([[시(행정구역)|{{{#fff '''일반시'''}}}]], [[군(행정구역)|{{{#fff '''일반군'''}}}]], [[구(행정구역)|{{{#fff '''구역'''}}}]])}}} || [[경찰서|보안부]] || ||<#024FA2>{{{#fff '''세포행정단위'''}}} {{{#fff ([[읍|{{{#fff '''읍'''}}}]], [[로동자구|{{{#fff '''로동자구'''}}}]], [[동|{{{#fff '''동'''}}}]], [[리|{{{#fff '''리'''}}}]])}}} || [[파출소|분주소]] || == 관련 문서 == * [[조선인민군 준군사조직]] * [[경찰]] * [[국가보위성]] * [[보위사령부]] * [[호위사령부]] *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 여담 == *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는 사회안전원을 '''왜리'''라는 은어로 지칭한다. 이는 북한에서 '''개를 부를 때''' 내는 소리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워르르르.. 워리워리 식으로 부른단다.] 당연히 긍정적인 뉘앙스보다는 부정적인 뉘앙스가 더 많은 멸칭이다. 남한으로 치자면 '''[[짭새]]'''정도 뉘앙스가 되겠다. 일제강점기에도 경찰들을 '''개나리'''(개나으리)라고 부른 바가 있다. * 비슷한 표현으로는 '''창새끼'''가 있는데, 후방에서 복무하는 사회안전부대 특성상 캐피형태의 전투모 보다는 챙이 높은 소련식 정모를 쓰고 다니는 모습에서 비롯된 표현이다. * 2010년대 들어 그 이전보다 위세가 많이 줄은 편이다. 외국인들이 몰래 찍어 올리는 북한 풍경을 담은 동영상들 중, 안전원들이 한 여성과 다투는 모습이 있는데, 여성이 성질 내며 따지는데 안전원들이 쩔쩔 매는 형국이었다. 오래 전에 탈북한 이들이 이 영상을 접하곤 "안전원한테 개기다간 그자리에서 맞아죽어도 할 말 없었는데, 이게 말이 되냐?"며 기겁해했다. * 실제로 2018년 자강도에서 사회안전원들이 공사를 이유로 다리를 폐쇄했다가 주민들에게 돌을 맞고 무서워서 길을 열어주기도 했다. 돌을 던지며 항의한 주민 6명은 고작 6개월의 노동단련형에 처해지는데 그쳤다고 한다. [[https://www.dailynk.com/20210730-3/|#]] * 남한 주도의 통일이 일어날 경우 이 기관의 전현직 근무자들은 [[슈타지]]가 그랬듯 장기간, 혹은 평생 [[국가정보원]], [[대한민국 검찰청|검찰청]], [[군사안보지원사령부]](구 [[국군기무사령부]]), 경찰청의 감시 대상이 될 확률이 높다. 이 기관의 기능과 시설, 장비 등은 [[행정안전부]] 산하의 [[경찰청]]과 [[소방청]]에 인수될 가능성이 높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북한의 공공청사)]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조선인민군 준군사조직, version=152, paragraph=2.8)] [[분류:공안부]][[분류:준군사조직]][[분류:조선인민군]][[분류:정보기관]][[분류:경찰]][[분류:외국 소방기관]][[분류:북한의 국가행정조직]][[분류:국무위원회 직속기관]]보낼 RAW[include(틀:북한의 행정조직)] [include(틀:북한 최고사령관 예하 기관)] ||<-2><:> {{{#36262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362622 북한}}}]]의 [[공안|{{{#362622 공안기관}}}]]'''}}}[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안전성 휘장.svg|height=60]]||'''{{{+1 사회안전성[br]社會安全省}}}[br]{{{-1 Ministry of Social Security}}}''' || }}}|| || '''설립''' ||[[1945년]] [[11월 19일]] || || '''연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내무성 정치보안국 {{{-2 (1945~1951)}}}[br]사회안전성 {{{-2 (1951~1952)}}}[br]내무성 {{{-2 (1952~1962)}}}[br]사회안전성 {{{-2 (1962~1972)}}}[br]사회안전부 {{{-2 (1972~1998)}}}[*분리 [[1973년]] 방첩 업무를 담당하던 부서가 '[[국가보위성|국가정치보위부]]{{{-2 ([[2022년]] 기준, '[[국가보위성]]')}}}'로 분리·독립되었다.][br]사회안전성 {{{-2 (1998~2000)}}}[br][[파일:인민보안성 로고.png|width=25]] 인민보안성 {{{-2 (2000~2010)}}}[br]인민보안부 {{{-2 (2010~2016)}}}[br][[파일:인민보안성 로고.png|width=25]] 인민보안성 {{{-2 (2016~2020)}}}[br][[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안전성 휘장.svg|width=25]] 사회안전성 {{{-2 (2020~ )}}}}}} || || '''사회안전상''' ||[[박수일(북한)|박수일]] || || '''상위 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 ||<|2> '''주소''' ||[[평양시]] [[서성구역]] 련못동 사회안전성 본부 || ||{{{#!wiki style="margin: -3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9.08049720458879%2c125.76797844677284, 너비=100%, 높이=250)]}}}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회안전성'''은 [[북한]]의 [[치안]]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중국 공안부]]와 유사한 점이 많다. 민주국가의 [[경찰]]과 치안 업무만 하는것이 아니라 초법적으로 가택수색, 숙박검열, 불심검문, 체포, 구금, 사형 집행을 할 권한이 있으며 국가보위성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정치범 수용소]]를 운영하고 외화벌이까지 자체로 하는 막강한 권한을 가진다. 사회안전성은 북한 5대 특수기관 ([[조선로동당]], [[조선인민군]], [[국가보위성]], [[북한 외무성|외무성]], 사회안전성)에 속하는데 특수기관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정책]] 협의를 거치지 않고 [[최고지도자]] [[김정은]]에게 직접보고가 가능하다. 국무위원회 산하라지만 [* [[공산권]]이 아닌 정상국가에서는 로동당 조직을 국가조직으로 인정치 않으므로 대외적으로 별도의 통치기구가 있음을 표방한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중앙위원회 산하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조직지도부]]가 실질적 인사권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부서는 사회안전성을 포함한 국가보위부, 중앙검찰소 등 여러 기관의 간부 인사를 담당한다. 표면적으로 [[국가]]와 [[인민]]의 [[재산]], [[생명]]을 보호한다고 하지만 현실은 [[백두혈통|김부자]]의 [[세습]] [[권력]]을 유지, 강화하고 북한 주민을 감시하는 북한판 [[질서경찰]]이나 다름 없는 [[정치경찰]] 조직이다. 사회안전성의 주 임무는 치안이 아니라 주민 감시이다. 출생신고와 혼인신고를 한국처럼 일반적 행정기관이 아니라 이곳 소속의 파출소에 비유되는 '분주소'에 하는 것이 한 예이다. [[1958년]] '주민료해사업' 이후 전 북한 주민의 성분과 토대를 분류하고 조상대까지 [[자료]]를 바탕으로 수십계의 계층으로 분류하는데 이런 개인 자료는 매년 업데이트 되어, 군입대, 로동당 입당, 대학진학, 간부사업([[인사]])과 주거지와 [[직장]] 배치에 활용한다. 원본은 [[자강도]] [[만포시]] 소재 사회안전성 총무국 기요연락소 지하갱도에 영구 보관한다. == 연혁 == ||<#c6af5f> {{{#ffffff '''연혁'''}}} ||<#c6af5f> {{{#ffffff '''상세'''}}} ||<#c6af5f> {{{#ffffff '''비고'''}}} || || [[1945년]] [[11월 29일]] ||[[내무부|내무성]] 정치보안국 창설 || || || 1951년 3월 ||사회안전성으로 독립 || || || 1952년 12월 ||내무성과 통합 || || || 1962년 10월 ||사회안전성으로 재독립|| || || 1972년 12월 ||사회안전부로 개편 ||사회주의 헌법 제정 || || 1998년 ||사회안전성으로 개편 ||[[김일성]]의 사망과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심화조 사건]]을 맡으며 주민 통제를 담당|| || 2000년 4월 || 인민보안성으로 명칭 변경 ||심화조 사건 후 김정일의 명령으로 명칭 변경 || || [[2010년]] [[4월]] ||인민보안부 승격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국방위원회]] 직속기관 편입[br][[김정은]]의 후계 체제를 안정시키고 주민들의 불만과 동요를 방지하기 위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4/07/2010040700026.html|승격]]|| || [[2016년]] [[7월]] ||인민보안성 격하 ||[* 김일성 사망 22주년, 만수대언덕에서 추모행사가 열렸을 때 북한 언론들이 인민보안부 대신 인민보안성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면서 다시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08/0200000000AKR20160708195800014.HTML|부급에서 성급으로 격하]]되었음을 간접적으로 알렸다. 이에 당시 [[최부일]] 인민보안부장의 직책도 인민보안상으로 변경되었다. 북한 전문가들은 비슷한 시기 인민무력부가 인민무력성으로 격하된 것과 함께 김정은이 종래의 국방위원회 대신 국무위원회를 내세우며 북한의 권력 체계를 변경하는 과정의 일환이라고 보고 있다.]|| || 2020년 6월 ||사회안전성 명칭 변경||국무위원회 직속|| === 역대 사회안전상 === [include(틀:역대 북한 사회안전상)] ||<#c6af5f> {{{#ffffff '''대수'''}}} ||<#c6af5f> {{{#ffffff '''성명'''}}} ||<#c6af5f> {{{#ffffff '''임기'''}}} ||<#c6af5f> {{{#ffffff '''비고'''}}} || || 제1대 || [[방학세]] || [[1951년]] ~ [[1952년]] ||1952년에 사회안전성이 내무성과 통합됨과 동시에 내무상으로 승진 || || 제2대 ||<|2> 석산 || [[1962년]] ~ [[1967년]] || || || 제3대 || [[1967년]] ~ [[1969년]] ||재임 중 해임 || || 제4대 ||<|2> [[김병하(북한)|김병하]] || [[1969년]] ~ [[1972년]] || || || 제5대 || [[1972년]] ~ [[1973년]] ||사회주의 헌법 채택으로 '''사회안전부장''' 직제 개편[br][[국가보위성|국가보위부]] 출범 후 초대 국가보위부장으로 이임 || || 제6대 || [[리진수]] || [[1973년]] ~ [[1976년]] || || || 제7대 ||<|2> [[최원익]] || [[1976년]] ~ [[1977년]] || || || 제8대 || [[1977년]] ~ [[1980년]] || || || 제9대 ||<|2> [[리진수]] || [[1980년]] ~ [[1982년]] || || || 제10대 || [[1982년]] ~ [[1984년]] ||김병하 [[숙청]] 후, 1984년 1월 2대 국가보위부장 이임 후 1987년 의문사[* 김정일에 의한 배려암살 추정] || || 제11대 || [[리철봉]] || [[1984년]] ~ [[1986년]] || || || 제12대 ||<|3> [[백학림]] || [[1986년]] ~ [[1990년]] || || || 제13대 || [[1990년]] ~ [[1998년]] || || || 제14대 || [[1998년]] ~ [[2003년]] ||[[2000년]] 인민보안상으로 직책 변경 || || 제15대 ||<|2> [[최룡수]] || [[2003년]] ~ [[2003년]] || || || 제16대 || [[2003년]] ~ [[2004년]] || || || 제17대 ||<|2> [[주상성]] || [[2004년]] ~ [[2009년]] || || || 제18대 || [[2009년]] ~ [[2011년]] ||[[2010년]] 인민보안부장으로 직책 변경 및 내각에서 국방위원회 산하로 소속 변경 [br]임기 중 자진사임 (건강상의 이유) || || 제19대 || [[리명수]] || [[2011년]] ~ [[2013년]] || || || 제20대 || [[최부일]] || [[2013년]] ~ [[2019년]] ||[[2016년]] 사회안전상으로 개편 || || 제21대 || [[김정호(북한)|김정호]] || [[2019년]] ~ [[2020년]] || || || 제22대 || [[리영길]] || [[2020년]] ~ [[2021년]] ||[[국방성(북한)|국방상]]으로 이임 || || 제23대 || [[장정남]] || [[2021년]] ~ [[2021년]] ||조선로동당 8기 4중전회에서 경질 || || 제24대 || [[리태섭]] || [[2021년]] ~ [[2022년]] ||총참모장으로 영전 || || 제25대 || [[박수일(북한)|박수일]] || [[2022년]] ~ 현재 || || == 업무 == >인민보안성의 사명은 '''표면상 체제 유지를 위한 대국민 사찰을 전문'''으로 하는 기관이다. 주민에 대한 사찰 방법은 단순한 피라미드식의 구조로써 감시자와 감시대상자, 통제하는 자와 통제받는자로 수직적 관계를 포함하여 모든 주민이 상호통제와 감시 견제를 기본으로 하는 수평적,복합적 구조 등 그물망식의 치안 체제로 사회를 통제한다. > >인민보안성의 통제 업무에서 가장 기본으로 행해지는 것은 북한 체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분자에 대한 장악·통제이다. 인민보안성은 주민 가옥 연합과 같은 ‘인민반’과 각 외곽단체 조직, 공장, 기업소, 협동농장 등에 정보원과 연관된 정보망을 비밀리에 운용하면서 불법행위자는 물론 체제 위험 분자도 감시한다. > >인민보안성의 주민 감시 업무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조직과 단체, 주민과 주민 사이의 감시가 일상화 되어 있고 직급에 따라 복합적으로 상호 견제와 통제가 체계화 조직화 되어있어 체제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인민보안성의 주민 감시에는 주민의 일상 감시, 인민반 생활 감시, 주민과 전과자 동향 감시, 경제생활 감시로 구분되어 있다. > >이처럼 인민보안성의 감시 체계는 사회적으로 인민반장과 같은 핵심 군중이 주민과 상인에 대한 수직적 감시 체계가 구축되었고, 공장, 기업소 등에서는 노동자나 상인에 침투한 정보원과 방조자에 의해 범죄자를 감시하는 수평적 감시가 항상 존재하며 이에 따라 전 국민에 대한 통일적 사회 감시망을 구축하고 있어 김정은을 중심으로 하는 노동당의 유일 영도 강화에 확고히 이바지하고 있다. > > [[https://www.kinu.or.kr/brd/board/726/L/menu/382?brdType=R&thisPage=8&bbIdx=57289&searchField=&searchText=|<북한 3대 통제기구 작동 메커니즘 변화 연구> 곽명일 (통일부 미래통일연구소)]] '''사회안전성의 구체적 임무''' || ① 수령 옹호 보위 ② 당과 정권 보안사업의 옹호보위 ③ 인민의 생명 · 재산 보호 ④ 사회질서 유지 등 || [[1972년]] [[12월 27일]] 사회주의 헌법 제헌과 더불어 이듬해 5월 사회안전 업무와 정치보위 업무 분담 정책으로 사회안전부 소속의 정치보위국이 분리되어 [[국가보위성|국가정치보위부]]를 신설하였다. 이로써 '사회안전부'는 치안질서 유지 등 치안업무를 담당하고 '국가정치보위부'는 인민과 국가기관에 대한 반혁명 및 반국가범죄, 방첩, 정치사찰, 대내외 정보업무, 관리소 (정치범수용소) 운영 등의 비밀경찰 업무를 담당하였다. 다만 국가정치보위부의 영역이라고 하는 정치범 수색 및 체포, 정치범수용소 운영 업무도 사회안전성이 같이 담당하고 있다. 추가로 사상범 적발과 주민 신원 조사, 외국인 방문자 감시, 기밀문서 보관 및 관리와 정치, 소방, 재난 안전관리, 철도 · 지하철 관리, 교화, 외자유치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출처 유동열, “북한 정보기구의 변천과 현황,” 『국가정보연구』 제11권 1호(2018), p. 164] 국가보위성이 은밀히 업무를 처리하면 사회안전성은 당당히 업무를 처리하는 차이가 있다. 그래서 경제사범, 경범죄도 이 부서의 담당이지만 정치범은 국가보위성과 중복된다. 비효율적으로 보이지만 업무가 중복되면 같은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들이 서로 견제하며 인민 감시는 더욱 촘촘해지기 때문이다. [[경찰]]의 호칭은 '안전원'이며 [[한국전쟁]] 당시 '내무서원', 사회안전부 당시 '사회안전원' 또는 '안전원', 인민보안성 당시 '보안원'으로 불렀다. == 제복 == || [[파일:attachment/nkpolicemen.jpg|width=100%]] || [[파일:attachment/nkpolicewomen.jpg|width=100%]] || || {{{#ffffff [[경찰|사회안전원]]}}} || {{{#ffffff [[교통경찰|교통안전원]]}}} || || [[파일:1602338417-1-vert.jpg|width=100%]] || [[파일:사회안전성기동타격대.png|width=100%]] || || {{{#ffffff [[SWAT|무장기동부대]]}}} || {{{#ffffff [[M2010 APC|장갑차에 탑승한 무장기동부대]]}}} || || [[파일:55a681e52acae719008b6cfb.jpg|width=100%]] || [[파일:북한 소방관JPG.jpg|width=100%]] || || [[철도경찰|철도보안원]] [* 교통안전원 역시 위의 제복을 착용하고 근무하기도 한다] || [[소방관|소방업무 안전원]] [* 잘 보면 소방관이 [[소총]]을 들고 있다.] || 한국전쟁 당시 내무서원([[경찰]])들은 정규군인 인민군의 군복과 같은 전투복을 입었고, 빨간색 견장을 단 인민군과 달리 파란색 견장으로 소속을 달리했다. 이로 인해 [[한국전쟁]] 당시 국군에게 붙잡힌 내무서원이나 견장이 없는 인민군 포로들은 수용소로 압송되지 못하고 월남 장병들에게 [[즉결처분]]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고 한다. == 조직 == 사회안전성은 [[조선인민군|정규군]]과 동일한 [[조선인민군#s-4|군계급]]을 가지고 있으며, 간부들은 [[조선인민군|정규군]]과 순환 근무를 하기 때문에 한국 경찰보다 전투에 익숙하다. 사실 경찰이라기보다 [[준군사조직]]에 가까운데, 조선인민군 최고사령부 제1부사령관을 맡고 있는 [[리명수]]도 이전 직책은 인민보안부장이었고, 인민보안부장이었던 [[최부일]]도 이전까지는 [[조선인민군 육군]] 대장이었다. 국경경비 및 시위진압 전담 조직인 [[조선인민군 준군사조직|조선사회안전군]][* 조선인민경비대에서 조선인민내무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다시 사회안전군으로 변경되었다.]의 지휘에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 1994년 [[백령도]] 부근에서 표류하다 우리나라에 구조된 조선인민경비대원들이 북한으로 돌아오는 환영식에 사회안전부장 백학림이 참석했기 때문에 조선인민경비대의 지휘계통에 연관성이 있다고 추정된다.]되고 있다. 실제로 보안성 소속 보안원들과 내무군 소속 장병들의 계급장은 동일한 녹색 바탕으로 되어 있고, 이들과 내무군의 순환 근무도 일상적이라고 한다. [[2020년]] [[4월]] 인민보안상으로 승진했던 [[김정호(북한)|김정호]]를 북한 매체에서 내무군 상장이라고 호칭한 점을 보아 같은 지휘계통임이 거의 확실하다. 사회안전성 간부급 요원들은 대부분 김정일인민보안대학 출신으로 출신성분과 당성, 충성심으로 선발된다. ||<-5> {{{+1 [[사회안전성|{{{#white '''사회안전성 사령 조직'''}}}]]}}} || ||<-5> '''[[본부|{{{#white 본부}}}]]''' || || 정치국 || 경비총국 || 경비훈련국 || [[주민등록증|공민등록국]] || [[공병|공병총국]] || || 교화국 || 도로총국 || 외사국 || 제4공병국 || 조직부 || || 조사국 || 감찰부 || [[경찰대학|김정일인민보안대학]] || || || ||<-5> '''{{{#white 참모부}}}''' || || 감찰국 || 수사국 || 작전국 || 예심국 || 교화국 || || [[대한민국 소방청|호안국]] || 통신국 || 병기국 || 재정국 || 후방국 || || 국토총국 || 경비훈련국 || 자재관리국 || 금광관리국 || 답사관리국 || || [[평양 지하철|지하철도관리국]] || 외사처 || 교육처 || 운수처 || 군의처 || || 반항공처 || 경리처 || 상표인쇄처 || [[CERT|제116기동대]] || 경비중대 || || [[국립경찰병원|병원]] || 압록강체육단 || 전자계산기연구소 || 기요연락소 || [[검찰|검찰소]] || ||<-5> '''{{{#white 중앙기관 및 철도 파견 보안}}}''' || || 인민위원회 || [[외무성]] || [[대사관]] || [[국가과학원]] || [[북한 내각|내각]] || || [[대학교|종합대학]] || [[철도경찰|철도보안국]] || || || ||<-5> '''{{{#white 정치국}}}''' || || 간부부 || 청년사업부 || 근로단체부 || 당원등록과 || 당생활지도과 || || 적위대사업부 || [[주체사상|김일성사상연구실]] || 선물사적관 || 미술창작과 || 문예창작과 || || 도서실 || 출판물보급실 || ||<-3> {{{+1 [[사회안전성|{{{#white '''사회안전성 지방 조직'''}}}]]}}} || ||<#024FA2> {{{#fff '''전국'''}}} || 사회안전성 || || ||<#024FA2>[[광역자치단체|{{{#fff '''광역행정단위'''}}}]] {{{#fff ([[도(행정구역)|{{{#fff '''도'''}}}]], [[직할시|{{{#fff '''직할시'''}}}]], [[특별시|{{{#fff '''특별시'''}}}]])}}} || [[지방경찰청|보안국]] ||<|2>[[수사(법률)|수사과]], [[감찰|감찰과]], 예심과, 경리과, 호안과, 병기과, [[소방서|소방과]] || ||<#024FA2>[[기초자치단체|{{{#fff '''기초행정단위'''}}}]] {{{#fff ([[시(행정구역)|{{{#fff '''일반시'''}}}]], [[군(행정구역)|{{{#fff '''일반군'''}}}]], [[구(행정구역)|{{{#fff '''구역'''}}}]])}}} || [[경찰서|보안부]] || ||<#024FA2>{{{#fff '''세포행정단위'''}}} {{{#fff ([[읍|{{{#fff '''읍'''}}}]], [[로동자구|{{{#fff '''로동자구'''}}}]], [[동|{{{#fff '''동'''}}}]], [[리|{{{#fff '''리'''}}}]])}}} || [[파출소|분주소]] || == 관련 문서 == * [[조선인민군 준군사조직]] * [[경찰]] * [[국가보위성]] * [[보위사령부]] * [[호위사령부]] *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 여담 == *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는 사회안전원을 '''왜리'''라는 은어로 지칭한다. 이는 북한에서 '''개를 부를 때''' 내는 소리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워르르르.. 워리워리 식으로 부른단다.] 당연히 긍정적인 뉘앙스보다는 부정적인 뉘앙스가 더 많은 멸칭이다. 남한으로 치자면 '''[[짭새]]'''정도 뉘앙스가 되겠다. 일제강점기에도 경찰들을 '''개나리'''(개나으리)라고 부른 바가 있다. * 비슷한 표현으로는 '''창새끼'''가 있는데, 후방에서 복무하는 사회안전부대 특성상 캐피형태의 전투모 보다는 챙이 높은 소련식 정모를 쓰고 다니는 모습에서 비롯된 표현이다. * 2010년대 들어 그 이전보다 위세가 많이 줄은 편이다. 외국인들이 몰래 찍어 올리는 북한 풍경을 담은 동영상들 중, 안전원들이 한 여성과 다투는 모습이 있는데, 여성이 성질 내며 따지는데 안전원들이 쩔쩔 매는 형국이었다. 오래 전에 탈북한 이들이 이 영상을 접하곤 "안전원한테 개기다간 그자리에서 맞아죽어도 할 말 없었는데, 이게 말이 되냐?"며 기겁해했다. * 실제로 2018년 자강도에서 사회안전원들이 공사를 이유로 다리를 폐쇄했다가 주민들에게 돌을 맞고 무서워서 길을 열어주기도 했다. 돌을 던지며 항의한 주민 6명은 고작 6개월의 노동단련형에 처해지는데 그쳤다고 한다. [[https://www.dailynk.com/20210730-3/|#]] * 남한 주도의 통일이 일어날 경우 이 기관의 전현직 근무자들은 [[슈타지]]가 그랬듯 장기간, 혹은 평생 [[국가정보원]], [[대한민국 검찰청|검찰청]], [[군사안보지원사령부]](구 [[국군기무사령부]]), 경찰청의 감시 대상이 될 확률이 높다. 이 기관의 기능과 시설, 장비 등은 [[행정안전부]] 산하의 [[경찰청]]과 [[소방청]]에 인수될 가능성이 높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북한의 공공청사)]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조선인민군 준군사조직, version=152, paragraph=2.8)] [[분류:공안부]][[분류:준군사조직]][[분류:조선인민군]][[분류:정보기관]][[분류:경찰]][[분류:외국 소방기관]][[분류:북한의 국가행정조직]][[분류:국무위원회 직속기관]] [include(틀:포크됨, title=사회안전성, version=250)]더위키에 나무위키판으로 포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