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 갑 r468 RAW 2022-06-22 11:12:20에 w2에서 r468판 포크됨[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송파구 갑}}}}}}'''[br]{{{-1 {{{#fff 방이동, 송파동, 신천동, 풍납동 등[br]松坡區 甲[br]Songpa A}}}}}}}}} ||}}} || ||<-2> '''선거인 수''' ||<-2> 186,538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height=15]] [[서울특별시]] || ||<-2> '''하위 행정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송파구|{{{#000 송파구}}}]] 일부'''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 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 || ||<-2> '''신설년도''' ||<-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김웅(1970 정치인)|김웅]]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한강변·[[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생활권에 속하는 지역구이며, 고소득층이 많이 거주[* 잠실 르엘, 잠실 래미안아이파크, [[잠실 파크리오]], [[잠실 장미아파트]]는 익히 잘 알다시피 현재 평당가가 일반 월급쟁이가 사기에는 크게 무리가 있는 고가 아파트들이며, [[올림픽선수촌]]은 중대형 평형 위주의 대규모 단지로 전통의 부촌으로 예전부터 유명하고 초고가인 334억, 245억, 220억 등의 실거래가를 찍은 [[신천동]]의 [[시그니엘]] 레지던스도 송파갑 지역구에 속한다.]하는 지역이다. 송파구 갑은 우리나라 선거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모두 보수정당이 승리하며 '보수 철옹성'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데, 15대 국회 당시의 송파 갑은 지금과는 동네 구성이 꽤 달랐다. 풍납동+잠실 전체로 더 보수색채가 짙었다.[* 당시의 송파 갑/을/병은 지금과는 달리 갑 : 북부(잠실+풍납) / 을 : 중부(방이+오륜+송파+오금+석촌+삼전) / 병 : 남부(문정+가락+거여+마천)로 구성되어 있었다. 갑에서 병으로 내려갈수록 보수 성향이 약했던 셈.] 사실상 지금의 송파 갑/을은 17대 총선에서 신설된 것이나 다름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근래의 선거 구도를 보면 [[송파동]]과 [[풍납동]], [[방이동|방이2동]][* 단 [[위례성대로]]변 고급 빌라트 단지 제외]의 민주당세를 [[방이동|오륜동]], [[신천동|잠실6동]], [[신천동|잠실4동]]의 보수세가 상쇄시킨다. 인구 수로는 전자가 훨씬 많지만, 전자가 아무리 많아봐야 10% 이내 경합우세인데 반해, 후자는 거의 60~70%를 보수정당에 표를 던져서 합산하면 민주당의 열세가 된다.[* [[잠실 파크리오]] 아파트는 보수세가 강하지만 구축인 장미, 미성 크로바, 진주보다는 보수세가 약한 편인데, 왜냐하면 파크리오인 경우는 비교적 젊은 층이 많이 사는 반면, 장미, 미성 크로바, 진주는 해당 건물엔 20년 이상 사는 은퇴한 노년층이 많이 살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노년층 + 부유층이니 당연히 보수세는 최강일 수 밖에..] 주목할 점은 '''[[춘천시]] 출신이 서울에서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약 4만 3천명으로 추정되며, 송파구 전체 인구의 약 7%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문정동(서울)|문정동]], [[가락동(서울)|가락동]], [[거여동]] 일대에 많이 거주한다. 송파구만큼 강원도 출신 인구를 많이 관할하는 지자체는 없다.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개통되고 송파구와 춘천시를 오가는 교통이 원활해지자 춘천시 출신들이 송파구로 모여들기 시작했다. 춘천시 다음으로 [[속초시]] 출신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송파구 전체 인구의 약 2%를 정도를 차지한다.[* 춘천시 출신과 함께 방이동, 가락동, 거여동 일대에 많이 거주한다.] 송파구 자체가 [[중랑구]], [[도봉구]]와 함께 서울에서 강원도 출신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참고로 [[노원구]]에는 [[원주시]] 출신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약 4만 5천명으로 추정되며 이 역시 서울 최다 거주지이다. 참고로 또 다른 국민의힘 안방이자 옆동네인 [[강남구]]와 [[서초구]]에는 [[부울경|PK]] 출신[* [[부산광역시]], [[진주시]][* 경상남도 [[진주시]] 출신은 서울에서는 [[강남구]] 관내에 가장 많이 거주하며, 특히 GS, LG 임원들이 많이 산다고 한다.], [[창원시]] 출신이 상당히 많이 거주한다. 이로 인해 영남향우회 강남구지회가 상당히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대경권|TK]] 출신들이 많이 차지한다.[* 특히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포항시]], [[구미시]] 출신들이 상당히 많이 거주한다.] 게다가 서울에서 [[충청도]] 출신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기도 한데, 송파구 전체 인구의 약 33~34% 정도 된다. 특히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논산시]], 충청북도 [[청주시]], [[충주시]][* 방이동, 오금동, 잠실동 일대에 상당히 많이 거주한다.], [[음성군]], [[진천군]], [[영동군]] 출신이 상당히 많이 거주한다. 다만, 이 지역은 충청 출신이 [[송파구 을]] 지역에 비해서는 적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소속의 [[김웅(1970 정치인)|김웅]] 의원이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대수||당선자||당적||임기|| ||13대||[[김우석(정치인)|김우석]]||[include(틀:통일민주당)]||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14대||[[조순환]]||[include(틀:통일국민당)]||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2>15대||[[홍준표]]||[include(틀:신한국당)]||1996년 5월 30일 ~ 1999년 3월 8일|| ||[[이회창]]||<|5>[include(틀:한나라당)]||1999년 6월 4일 ~ 2000년 5월 29일|| ||16대||<|3>[[맹형규]]||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2>17대||2004년 5월 30일 ~ 2006년 1월 31일|| ||2006년 7월 26일 ~ 2008년 5월 29일|| ||18대||[[박영아(정치인)|박영아]]||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2>[[박인숙(정치인)|박인숙]]||<|2>[include(틀:새누리당(2012년))]||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대||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김웅(1970 정치인)|김웅]]||[include(틀:미래통합당)]||2020년 5월 30일 ~ 현재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송파구 갑'''}}}}}}[br]{{{#ffffff 풍납1동, 풍납2동, 방이동, 잠실본동, 잠실1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4동, 잠실5동, 잠실6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조순환|{{{#373a3c,#dddddd 조순환}}}]](曺淳煥) || 22,538 || 2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20.02% || 낙선 || ||<|2> {{{#ffffff {{{+5 '''2'''}}}}}} || '''[[김우석(정치인)|{{{#373a3c,#dddddd 김우석}}}]](金佑錫)''' || '''27,627''' || '''1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24.54%'''[* 13대 총선 지역구 최저득표율 당선.] || '''{{{#000000 당선}}}''' || ||<|2> {{{#000000 {{{+5 '''3'''}}}}}} || 남현식(南賢植) || 21,884 || 3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19.44% || 낙선 || ||<|2> {{{#ffffff {{{+5 '''4'''}}}}}} || [[조용직|{{{#373a3c,#dddddd 조용직}}}]](趙容直) || 18,221 || 4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6.19% || 낙선 || ||<|2> {{{#ffffff {{{+5 '''5'''}}}}}} || [[김병수(1934)|{{{#373a3c,#dddddd 김병수}}}]](金炳洙) || 3,598 || 6위 || || [include(틀:신한민주당)] || 3.19% || 낙선 || ||<|2> {{{#ffffff {{{+5 '''6'''}}}}}} || 이대용(李大鏞) || 2,329 || 7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2.06% || 낙선 || ||<|2> {{{#ffffff {{{+5 '''7'''}}}}}} || [[허경구|{{{#373a3c,#dddddd 허경구}}}]](許景九) || 16,343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4.5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3,643 ||<|3> '''투표율'''[br]69.18% || || '''투표 수''' || 113,210 || || '''무효표 수''' || 670 || 초유의 5자 구도(...)라서 25%도 안 되는 득표율을 갖고도 당선되었다.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송파구 갑'''}}}}}}[br]{{{#ffffff 풍납1동, 풍납2동, 방이동, 오륜동, 오금동, 잠실본동, 잠실1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4동, 잠실5동, 잠실6동, 잠실7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우석(정치인)|{{{#373a3c,#dddddd 김우석}}}]](金佑錫) || 47,513 || 3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1.35% || 낙선 || ||<|2> {{{#ffffff {{{+5 '''2'''}}}}}} || [[김희완|{{{#373a3c,#dddddd 김희완}}}]](金熙完) || 48,962 || 2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32.30% || 낙선 || ||<|2> {{{#ffffff {{{+5 '''3'''}}}}}} || '''[[조순환|{{{#373a3c,#dddddd 조순환}}}]](曺淳煥)''' || '''50,941''' || '''1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33.61%''' || '''{{{#000000 당선}}}''' || ||<|2> {{{#ffffff {{{+5 '''4'''}}}}}} || 황한섭(黃漢燮) || 4,137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7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20,449 ||<|3> '''투표율'''[br]69.29% || || 투표수 || 152,755 || || 무효표수 || 1,202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송파구 갑|{{{#ffffff {{{+1 '''송파구 갑'''}}}}}}]][br]{{{#ffffff 풍납1동, 풍납2동, 잠실본동, 잠실1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4동, 잠실5동, 잠실6동, 잠실7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홍준표|{{{#373a3c,#dddddd 홍준표}}}]](洪準杓)''' || '''41,257''' || '''1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43.28%''' || '''{{{#373a3c 당선}}}''' || ||<|2> {{{#ffffff {{{+5 '''2'''}}}}}} || [[김희완|{{{#373a3c,#dddddd 김희완}}}]](金熙完) || 31,630 || 2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33.18% || 낙선 || ||<|2> {{{#ffffff {{{+5 '''3'''}}}}}} || [[양문희|{{{#373a3c,#dddddd 양문희}}}]](楊文熙) || 7,890 || 4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8.27% || 낙선 || ||<|2> {{{#ffffff {{{+5 '''4'''}}}}}} || [[조순환|{{{#373a3c,#dddddd 조순환}}}]](曺淳煥) || 14,542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5.2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9,724 ||<|3> '''투표율'''[br]64.32% || || '''투표 수''' || 96,308 || || '''무효표 수''' || 989 || [[홍준표]] 검사가 당선됐으나, 1999년에 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되어 당선 무효 판결을 받기 전에 사퇴했다. === [[1999년 재보궐선거]] === ||<-4> [[송파구 갑|{{{#ffffff {{{+1 '''송파구 갑'''}}}}}}]][br]{{{#ffffff 풍납1동, 풍납2동, 잠실본동, 잠실1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4동, 잠실5동, 잠실6동, 잠실7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회창|{{{#373a3c,#dddddd 이회창}}}]](李會昌)''' || '''42,901'''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1.47%''' || '''{{{#373a3c 당선}}}''' || ||<|2> {{{#ffffff {{{+5 '''3'''}}}}}} || [[김희완|{{{#373a3c,#dddddd 김희완}}}]](金熙完) || 25,790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36.95% || 낙선 || ||<|2> {{{#ffffff {{{+5 '''4'''}}}}}} || 임동갑(林東甲) || 1,09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4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1,243 ||<|3> '''투표율'''[br]46.41% || || '''투표 수''' || 70,190 || || '''무효표 수''' || 401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송파구 갑'''}}}}}}[br]{{{#ffffff 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br]송파1동, 송파2동, 잠실본동, 잠실1동, 잠실2동,[br]잠실3동, 잠실4동, 잠실5동, 잠실6동, 잠실7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맹형규|{{{#373a3c,#dddddd 맹형규}}}]](孟亨奎)''' || '''68,272'''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4.77%''' || '''{{{#373a3c 당선}}}''' || ||<|2> {{{#ffffff {{{+5 '''2'''}}}}}} || [[김영술]](金泳述) || 46,341 || 2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37.18% || 낙선 || ||<|2> {{{#ffffff {{{+5 '''3'''}}}}}} || [[전익정]](全益政) || 4,627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3.71% || 낙선 || ||<|2> {{{#ffffff {{{+5 '''4'''}}}}}} || 김경득(金京得) || 1,073 || 6위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0.86% || 낙선 || ||<|2> {{{#ffffff {{{+5 '''5'''}}}}}} || 강인성(姜仁聖) || 2,853 || 4위 || || [include(틀:청년진보당)] || 2.28% || 낙선 || ||<|2> {{{#ffffff {{{+5 '''6'''}}}}}} || 류시권(柳時權) || 1,467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1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30,153 ||<|3> '''투표율'''[br]54.55% || || '''투표 수''' || 125,551 || || '''무효표 수''' || 918 || 지역구 통폐합을 통한 의석 수 감소에 따라서, 송파구가 3개 선거구에서 2개 선거구로 축소되었다. 이 여파로, 송파구 을의 [[맹형규]] 의원이 갑구로 왔다. 이후 재선에 성공한다.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한나라당]] 현역 맹형규는 [[SBS 8 뉴스]] 앵커 출신으로 한나라당 대변인과 [[이회창|총재]]비서실장 등을 지내고 3선 의원에 도전했다. "2선의 깨끗한 정치인으로 지역구 활동과 의정활동을 열심히 해온 점을 주민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해 주실 것"이라며 '깨끗한 정치', '경제살리기', '지역주의 타파', '평화적인 남북통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입법 추진', '교권 확립과 교육개혁', '지역 현안 실천'의 7대 공약을 제시했다. [[열린우리당]]에서는 통일 정책 전문가인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조민 후보가 나왔다. 조민 후보는 "국민의 상식과 동떨어진 ‘차떼기’ 부패정치, 지역주의에 기생해 연명하려는 패거리 정치, 정략적으로 대통령을 탄핵하고 만세 부르고 나서 국민의 뭇매에 당황하는 비상식적인 정치를 심판하는 날"이라며 "무분별한 개발로 일부 계층이 개발 이익을 독점하지 못하도록 환경과 문화 인프라를 풍성히 가꾸어 전체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영남 출신[* 송파구 인구의 약 40%, 즉 약 27만에 해당된다.]이 많고 한나라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이지만, 탄핵 역풍바람 등으로 극복하고자 했다. 그런데 사건이 하나 터졌다. 맹형규 후보측 선거운동원인 윤모씨가 조민 후보의 노모를 폭행했다는 것. 조민 후보측은 "윤모씨가 막무가내로 차키를 빼앗은 후 '불법선거운동을 하고 있다'며 김씨와 칠순의 어머니에게까지 폭력을 행사해 현재 두 사람은 모두 방이동 소재 한 병원에 입원중"이라고 주장했다. 여기에 맹형규 후보는 즉각 반박 성명을 냈다.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장면을 목격한 윤모씨가 이를 제지하자 윤씨를 집단폭행, 윤씨는 현재 가락동 서울병원에 입원했다"며 오히려 가해-피해 관계가 바뀌었다고 주장했다. "윤모씨는 장애인이고 당뇨병 환자로서 충분히 자기방어를 할 수 없는 사람"이라는 것. 이 사건으로 선거는 상대방에 대한 ~~추태~~ 비방과 폭로전으로 이어졌다. 결국 선거에서는 맹형규 후보가 54.06%의 지지를 받아 조민 후보를 15.18% 차이로 눌렀다. 조민 후보는 풍납1동과 방이2동, 송파1동에서 승리했지만 선거를 이기기엔 역부족이었다. ||<-4> {{{#ffffff {{{+1 '''송파구 갑'''}}}}}}[br]{{{#ffffff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br]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맹형규|{{{#373a3c,#dddddd 맹형규}}}]](孟亨奎)''' || '''51,247'''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4.06%''' || '''{{{#191919 당선}}}''' || ||<|2> {{{#ffffff {{{+5 '''2'''}}}}}} || 공보길(孔甫吉) || 6,689 || 3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7.06% || 낙선 || ||<|2> {{{#000000 {{{+5 '''3'''}}}}}} || 조민(曺敏) || 36,614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8.8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6,979 ||<|3> '''투표율'''[br]65.00% || || '''투표 수''' || 94,333 || || '''무효표 수''' || 738 || === [[2006년 재보궐선거]] === 현역인 [[한나라당]] [[맹형규]] 의원은 3선에 성공 후 국회 산업자원위원장을 역임했고 정책위의장에도 임명되는 등 당내 중진이 되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열리자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예비후보로 등록하기 위해 2006년 2월 의원직을 사퇴한다. 이로인해 재보궐 선거가 열리게 되었다. 그러나 경선에서 [[오세훈]] 후보에게 밀렸고 본인이 사퇴해서 열린 재보궐선거에 본인이 출마한다(...) 본래 종로에서 16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인봉]] 前 의원에게 공천을 주려 했는데, 성추문으로 공천이 취소되자[* 저 정인봉은 2002년에 선거법 위반으로 국회의원직을 잃으면서, 종로구 국회의원 잔혹사를 이어나갔다.], 부랴부랴 의원직을 사퇴했던 맹형규를 공천을 주었다. 그리고 76.84%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재당선되었다.[* 현재는 이러한 재당선이 아예 불가능하다. 본인의 귀책사유로 치러지는 보궐선거에는 출마가 금지되어 있다.] ||<-4> {{{#ffffff {{{+1 '''송파구 갑'''}}}}}}[br]{{{#ffffff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br]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정기영(정기영) || 6,289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3.20% || 낙선 || ||<|2> {{{#ffffff {{{+5 '''2'''}}}}}} || '''[[맹형규|{{{#373a3c,#dddddd 맹형규}}}]](孟亨奎)''' || '''20,824'''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76.80%''' || '''{{{#191919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50,215 ||<|3> '''투표율'''[br]18.05% || || '''투표 수''' || 27,215 || || '''무효표 수''' || 102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의원직을 사퇴했다가 다시 당선된 [[한나라당]] [[맹형규]] 의원은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총괄간사로 일했으나 18대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맹형규 의원은 "대의를 위해 저를 희생하겠다"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무소속 출마를 요구하는 지지자들에게 한나라당 후보를 돕자고 했다. 맹형규 의원 대신 이 지역에 공천을 받은 한나라당 후보는 박영아 교수. 원래 서울 [[서초구 갑]] 지역에 공천을 신청했지만, 당에서 이곳으로 전략공천했다. 박영아 후보는 여성 물리학자로서, 한국물리학회 부회장과 세계물리연맹 여성물리실무그룹 위원, 자유주의교육운동연합 정책위원장을 지냈다.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에서는 민주당 송파갑지역위원회 위원장이자 이 지역에서 제11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정진길]]의 장남 정직 후보가 나왔지만, 박영아 후보가 61.62%의 높은 지지율로 당선되었다. ||<-4> [[송파구 갑|{{{#ffffff {{{+1 '''송파구 갑'''}}}}}}]][br]{{{#ffffff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br]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직(鄭直) || 23,006 || 2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35.77% || 낙선 || ||<|2> {{{#ffffff {{{+5 '''2'''}}}}}} || '''[[박영아(정치인)|{{{#373a3c,#dddddd 박영아}}}]](朴英娥)''' || '''39,62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61.62%''' || '''{{{#191919 당선}}}''' || ||<|2> {{{#ffffff {{{+5 '''6'''}}}}}} || 김원근(金源根) || 1,680 || 3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2.6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1,571 ||<|3> '''투표율'''[br]43.29% || || '''투표 수''' || 65,619 || || '''무효표 수''' || 1,307 || ||<-8> {{{#ffffff '''18대 총선 서울 송파구 갑 개표결과'''}}} || || '''정당'''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include(틀:한나라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정직|{{{#ffffff '''정직'''}}}]] || [[박영아(정치인)|{{{#ffffff '''박영아'''}}}]]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23,006 [br] (35.77%)''' || {{{#ffffff '''39,626 [br] (61.62%)'''}}} || ''' - 16,590 [br] (▽25.85)''' || '''43.29''' || || '''풍납1동''' || '''43.57%''' || {{{#008cd7 52.66%}}} || ▽9.09 || 39.04 || || '''풍납2동''' || 40.02% || {{{#008cd7 57.20%}}} || ▽17.18 || 40.21 || || '''방이1동''' || 36.22% || {{{#008cd7 61.57%}}} || ▽25.32 || 43.34 || || '''방이2동''' || 42.24% || {{{#008cd7 54.86%}}} || ▽12.62 || 34.58 || || '''오륜동''' || 23.79% || {{{#008cd7 '''74.35%'''}}} || '''▽50.56''' || 50.62 || || '''송파1동''' || 42.80% || {{{#008cd7 54.30%}}} || ▽11.50 || 38.32 || || '''송파2동''' || 34.91% || {{{#008cd7 62.76%}}} || ▽27.85 || 45.96 || || '''잠실4동''' || 25.64% || {{{#008cd7 72.11%}}} || ▽46.47 || 53.31 || || '''잠실6동''' || 27.84% || {{{#008cd7 70.07%}}} || ▽42.23 || 46.88 || || '''부재자투표''' || 31.60% || {{{#008cd7 61.38%}}} || ▽29.78 ||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새누리당]]이 18대 총선에서 여성·과학기술계 정치인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박영아 의원을 이곳에 전략공천했는데, 이번에는 박영아 의원 대신 한국여자의사회 [[박인숙(정치인)|박인숙]] 회장을 전략공천했다. 소아심장학 전문의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학장과 제3대 아시아-태평양 소아심장학회 회장, [[서울아산병원]] 유전체연구센터 센터장을 지냈다.[* [[서울아산병원]]이 이 지역구다] [[민주통합당]]에서는 18대 비례대표였던 전현희 의원을 전략공천했다. 치과의사 출신 변호사로, 원래 [[강남구 을]]에 공천을 신청했으나, [[정동영]] 최고위원[* 전주 덕진구를 떠나 강남구 을에 전략공천 되었다.]에게 경선에게 패한 상황에서 전략공천되자 자진사퇴하고 만다. 승복하고 강남에 남기로 했다. 결국 의사출신 대결은 성사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민주통합당은 박성수 변호사를 공천하게 된다. 울산지방검찰청 부장검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과 법무비서관을 지냈다. 2012년 1월 [[백혜련]] 검사에 이어 정치검찰의 오명을 벗으라는 당부와 함께 검사직을 사퇴했다. 그는 "몇 가지 정치적인 사건 처리에서 검찰권을 무리하게 남용하고 형평성과 공정성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대검 중수부 폐지와 검찰권 남용 등을 비판했다. 원래는 [[강동구 을]] 지역구에서 경선했지만 [[심재권]]에 밀려 고배를 마시고 이 지역으로 부름을 받게 되었다. 이 지역에 연이어 양당의 전략공천이 계속되자 시민들의 반감도 있었다. 그러나 새누리당의 박인숙 후보는 이 지역 토박이었고, 이 지역의 전통적으로 강한 새누리당 지지세에 힘입어 52.7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개표 초반에는 박성수 후보가 앞서나갔지만 개표 20% 지점에서 박인숙 후보가 역전했다. 개표 40%대까지는 표차가 수백여표에 그치는 접전이었으나 개표 60%대부터 박인숙 후보가 표차를 벌렸다. ||<-4> [[송파구 갑|{{{#ffffff {{{+1 '''송파구 갑'''}}}}}}]][br]{{{#ffffff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br]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인숙(정치인)|{{{#373a3c,#dddddd 박인숙}}}]](朴仁淑)''' || '''51,306'''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2.76%''' || '''{{{#191919 당선}}}''' || ||<|2> {{{#3AB34A {{{+5 '''2'''}}}}}} || [[박성수(정치인)|{{{#373a3c,#dddddd 박성수}}}]](朴星洙) || 42,604 || 2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3.81% || 낙선 || ||<|2> {{{#ffffff {{{+5 '''6'''}}}}}} || 윤대희(尹大熙) || 449 || 4위 || || [include(틀:국민행복당)] || 0.46% || 낙선 || ||<|2> {{{#ffffff {{{+5 '''7'''}}}}}} || 이정현(李廷賢) || 436 || 5위 || || [include(틀:미래연합)] || 0.45% || 낙선 || ||<|2> {{{#ffffff {{{+5 '''8'''}}}}}} || 정동수(鄭東秀) || 2,453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5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9,330 ||<|3> '''투표율'''[br]57.72% || || '''투표 수''' || 97,731 || || '''무효표 수''' || 483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송파구 갑|{{{#ffffff {{{+1 '''송파구 갑'''}}}}}}]][br]{{{#ffffff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br]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인숙(정치인)|{{{#373a3c,#dddddd 박인숙}}}]](朴仁淑)''' || '''44,928'''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3.98%''' || '''{{{#191919 당선}}}''' || ||<|2> {{{#ffffff {{{+5 '''2'''}}}}}} || [[박성수(정치인)|{{{#373a3c,#dddddd 박성수}}}]](朴星洙) || 42,557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1.66% || 낙선 || ||<|2> {{{#ffffff {{{+5 '''3'''}}}}}} || 김창남(金昌南) || 14,649 || 3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4.3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7,925 ||<|3> '''투표율'''[br]61.70% || || '''투표 수''' || 103,195 || || '''무효표 수''' || 1,087 || ||<:><-9> {{{#FFFFFF '''20대 총선 서울 송파구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인숙(정치인)|{{{#FFFFFF '''박인숙'''}}}]] ||<:> [[박성수(정치인)|{{{#FFFFFF '''박성수'''}}}]] ||<:> [[김창남|{{{#FFFFFF '''김창남'''}}}]]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44,928 [br] (43.98%)'''}}} ||<:> '''42,557 [br] (41.66%)''' ||<:> '''14,649 [br] (14.34%)''' ||<:> '''+ 2,371 [br] (△2.33)''' ||<:> '''61.70%''' || || '''풍납1동''' ||<:> {{{#CA252B 44.76%}}} ||<:> 39.13% ||<:> 16.11% ||<:> △5.63 ||<:> 54.56 || || '''풍납2동'''[* 박인숙 후보가 의사 시절에 근무했던 [[서울아산병원]]이 있는 동네] ||<:> 42.23% ||<:> {{{#004EA2 42.75%}}} ||<:> 15.02% ||<:> {{{#808080 ▼0.52}}} ||<:> 59.91 || || '''방이1동''' ||<:> {{{#CA252B 45.73%}}} ||<:> 38.94% ||<:> 15.33% ||<:> △6.79 ||<:> 61.09 || || '''방이2동''' ||<:> 38.29% ||<:> {{{#004EA2 44.35%}}} ||<:> '''17.36%''' ||<:> {{{#808080 ▼6.06}}} ||<:> 52.34 || || '''오륜동'''[*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한국체대]], [[올림픽선수기자촌]]이 있는 동네] ||<:> {{{#CA252B '''54.40%'''}}} ||<:> 33.33% ||<:> 12.27% ||<:> △'''21.07''' ||<:> 67.38 || || '''송파1동''' ||<:> 38.90% ||<:> {{{#004EA2 44.28%}}} ||<:> 16.82% ||<:> {{{#808080 ▼5.38}}} ||<:> 55.56 || || '''송파2동''' ||<:> {{{#CA252B 45.59%}}} ||<:> 39.34% ||<:> 15.07% ||<:> △6.25 ||<:> 62.64 || || '''잠실4동'''[* [[잠실 파크리오]]가 있는 동네] ||<:> 40.25% ||<:> {{{#004EA2 '''50.26%'''}}} ||<:> 9.49% ||<:> {{{#808080 ▼'''10.01'''}}} ||<:> 67.10 || || '''잠실6동'''[* [[송파구청]], [[롯데월드몰]], [[롯데월드타워]]가 있는 동네] ||<:> {{{#CA252B 53.07%}}} ||<:> 34.75% ||<:> 12.18% ||<:> △18.32 ||<:> 62.92 || || '''후보''' ||<:> [[박인숙(정치인)|{{{#CA252B '''박인숙'''}}}]] ||<:> [[박성수(정치인)|{{{#004EA2 '''박성수'''}}}]] ||<:> [[김창남|{{{#046240 '''김창남'''}}}]]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CA252B '''54.60%'''}}} ||<:> 28.22% ||<:> 17.18% ||<:> △'''26.38''' ||<:> || || '''관외사전투표''' ||<:> {{{#CA252B 42.18%}}} ||<:> 41.10% ||<:> 16.71% ||<:> △1.08 ||<:> || || '''국외부재자투표''' ||<:> 35.18% ||<:> {{{#004EA2 '''55.35%'''}}} ||<:> 9.47% ||<:> {{{#808080 ▼'''20.17'''}}} ||<:> || 이번에 더불어민주당이 오륜동과 잠실 4, 6동에서 어느 정도로 득표를 하나에 따라서 당락이 결정되는 지역이 될 것이다. '''특히 이 선거구에서 인구가 제일 많은 잠실4동에서 얼마나 선전을 하느냐에 따라서 당락이 결정될 것이다.'''[* 오륜동, 잠실6동도 인구가 많지만, 잠실4동의 인구에는 못 미친다. 잠실4동은 송파 재건축 5대장 중 [[잠실 파크리오]]가 속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박인숙(정치인)|박인숙]]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박성수(정치인)|박성수]] 전 부장검사의 리턴매치가 이루어질 전망. 더불어민주당은 단수추천으로 박성수 후보를 공천하였고, 새누리당에서는 박인숙 의원과 [[안형환]] 전 의원의 경선에서 박인숙 의원이 승리하였다. 안형환 전 의원은 18대 총선 [[금천구(선거구)|금천구]]에서 당선되었으나 19대 총선에서 불출마했다가 이번에 이 지역에 공천을 신청한 것. 그러나 박인숙 의원은 이 지역 현역 의원으로서 의정활동을 잘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림픽공원 내 화상경륜장을 폐지하고 도서관을 개관했으며, 풍납토성 예산 확보로 지난 4년여 동안 총 2166억원 예산을 확보했다. 싱크홀방지법, 희귀질환관리법, 생명윤리법 등 대표 발의한 법안만 131개에 이른다. 하지만 박성수 후보도 19대 총선에서 패한 이후 지역 기반을 잘 다져 송파갑에서 야당이 꼭 승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각오다.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은 후보 등록 마감 직전에 김창남 전 한국신당 진주지구당위원장을 공천했다. 박인숙 의원이 근소한 차이로 박성수 후보를 꺾고 승리하였다. 하지만 잠실4동을 박성수 후보에게 우위를 빼앗기고, 오륜동, 잠실6동에서도 50%대 지지율에 머물렀다. 그것마저 출구조사에서도 박성수 후보가 박인숙 후보에 근소하게 앞선 결과가 나왔다. 참고로 이 정도 격차는 송파구 갑에선 가장 적은 격차였는데, 이렇게 된 이유로는 국민의당이 보수표를 일정부분 잠식했는데다,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에 대한 반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송파2동에서 격차를 줄였다면 당선이 가능했을텐데 거기서 줄이지 못해서 석패를 한 것이다. 이후 이 선거에서 낙선했던 박성수 후보는 2년 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송파구청장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송파구 갑|{{{#ffffff {{{+1 '''송파구 갑'''}}}}}}]][br]{{{#ffffff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br]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조재희|{{{#373a3c,#dddddd 조재희}}}]](趙在喜) || 54,703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8.02% || 낙선 || ||<|2> {{{#ffffff {{{+5 '''2'''}}}}}} || '''[[김웅(1970 정치인)|{{{#373a3c,#dddddd 김웅}}}]](金雄)''' || '''58,318''' || '''1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51.20%''' || '''{{{#191919 당선}}}''' || ||<|2> {{{#ffffff {{{+5 '''7'''}}}}}} || 조은정(曺恩정) || 874 || 3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7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9,514 ||<|3> '''투표율'''[br]72.08% || || '''투표 수''' || 114,985 || || '''무효표 수''' || 1,088 || ||<:><-5> {{{#FFFFFF '''21대 총선 서울 송파구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조재희|{{{#FFFFFF 조재희}}}]] ||<:> [[김웅(1970 정치인)|{{{#FFFFFF '''김웅'''}}}]]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54,704[br](48.02%)'''||<:>{{{#FFFFFF '''58,318[br](51.20%)'''}}}||<:>'''- 3,614[br](▼3.18)'''||<:>'''114,985 [br] (72.08%)'''|| || '''풍납1동''' ||<:> {{{#004EA2 52.80%}}} ||<:> 46.02% ||<:> △6.78 ||<:> 64.42 || || '''풍납2동'''[* [[서울아산병원]]이 있는 동네] ||<:> {{{#004EA2 51.78%}}} ||<:> 47.36% ||<:> △4.42 ||<:> 69.39 || || '''방이1동''' ||<:> 49.22% ||<:> {{{#EF426F 50.06%}}} ||<:> ▼0.84 ||<:> 72.37 || || '''방이2동''' ||<:> {{{#004EA2 '''56.00%'''}}} ||<:> {{{#696969 42.89%}}} ||<:> '''△13.11''' ||<:> {{{#696969 62.37}}} || || '''오륜동'''[*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한국체대]], [[올림픽선수기자촌]]이 있는 동네] ||<:> {{{#696969 33.80%}}} ||<:> {{{#EF426F '''65.75%'''}}} ||<:> {{{#696969 ▼31.94}}} ||<:> '''79.03''' || || '''송파1동''' ||<:> {{{#004EA2 55.11%}}} ||<:> 43.95% ||<:> △11.15 ||<:> 65.99 || || '''송파2동''' ||<:> 45.58% ||<:> {{{#EF426F 53.81%}}} ||<:> ▼8.23 ||<:> 74.51 || || '''잠실4동'''[* [[잠실 파크리오]]가 있는 동네] ||<:> 41.79% ||<:> {{{#EF426F 57.87%}}} ||<:> ▼16.08 ||<:> 76.60 || || '''잠실6동'''[* [[송파구청]], [[롯데월드몰]], [[롯데월드타워]]가 있는 동네] ||<:> 35.36% ||<:> {{{#EF426F 64.14%}}} ||<:> ▼28.78 ||<:> 75.12 || || '''후보''' ||<:> [[조재희|{{{#004EA2 '''조재희'''}}}]] ||<:> [[김웅(1970 정치인)|{{{#EF426F 김웅}}}]]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46.83% ||<:> {{{#EF426F 50.00%}}} ||<:> ▼3.16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6.75%'''}}} ||<:> '''42.20%''' ||<:> △14.55 ||<:>|| || '''재외투표''' ||<:> {{{#004EA2 50.00%}}} ||<:> 49.21% ||<:> △0.78 ||<:>|| ||<-4> {{{#ffffff '''송파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 '''후보''' || [[조재희|{{{#ffffff 조재희}}}]] || [[김웅(1970 정치인)|{{{#ffffff '''김웅'''}}}]] || (1위/2위) || || '''[[잠실 장미아파트]]''' || 30.65% || {{{#ef426f,#bc103c '''68.76%'''}}} || ▼38.11 || || '''[[올림픽선수기자촌]]''' || 33.80% || {{{#ef426f,#bc103c 65.75%}}} || ▼39.46 || || '''송파삼성래미안''' || 36.29% || {{{#ef426f,#bc103c 62.95%}}} || ▼26.66 || || '''[[잠실 파크리오]]''' || 36.85% || {{{#ef426f,#bc103c 62.37%}}} || ▼25.52 || || '''가락삼익맨숀''' || 37.75% || {{{#ef426f,#bc103c 61.98%}}} || ▼24.23 || || '''현대리버빌아파트''' || {{{#004ea2,#5dabff '''52.16%'''}}} || 46.78% || △5.38 || 현역 박인숙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하고 박성수 후보는 [[송파구청장]]에 당선되었기에 양 당 모두 새로운 인물을 내세워 맞붙을 예정이다. 민주당에서는 [[조재희]] 지역위원장과 [[문미옥]] 전 과기부 차관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지도부는 이곳을 전략공천 지역으로 선정되었으나 이후 기존 예비후보들의 경선지역으로 선정했다. 다만 국민경선 100%로만 진행되었고, 조재희 전 지역위원장이 공천되었다. 미래통합당은 [[박춘희]] 전 구청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한 가운데 <[[검사내전]]> 저자로 잘 알려졌으며 [[새보수당]] 시절 유승민을 통해 영입된 [[김웅(1970 정치인)|김웅]] 전 부장검사가 이곳에 공천을 신청했다. 아무래도 지역기반이 탄탄한 박춘희 전 구청장이 경선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보였으나, 예상을 뒤엎고 김웅 전 부장검사가 단수 공천을 받았다. 이후 [[박춘희]] 전 구청장이 컷오프에 반발해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으나, 결국 사퇴하고 김웅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이후 투표결과 김웅 후보가 3,615표 차이로 당선되었는데, 세부적으로 보면 조재희 후보가 풍납2동, 방이2동, 송파1동을 지키고, 풍납1동을 빼앗아 오는데는 성공했지만, 거꾸로 송파2동과 잠실4동을 김웅 후보에게 헌납했고, 오륜동과 잠실6동에서 더블스코어 차이로 뒤지는 바람에 표차가 이전 총선 때보다 더 벌어지게 됐고, 빼앗아 온 풍납1동보다 빼앗긴 송파2동과 잠실4동의 인구의 합이 두 배 정도 많았고, 송파1동과 풍납2동에서 표차를 더 벌렸지만, 이의 두 배이상을 오륜동과 잠실6동, 송파2동, 잠실4동에서 벌어지는 바람에 결국 이번에도 패하고 말았다. 특히 잠실4동에서 패한 것이 결정타를 줬다. 아파트별로 보면, [[올림픽선수기자촌]](69.54%), 장미아파트(68.77%), 송파삼성래미안(62.96%) 등에서 김웅 후보에게 몰표를 던졌다. 선거 전까진 조재희 후보가 지역기반이 있었다고는 해도 김웅 후보 인지도가 높았고 이전 지역구 현역이었던 박인숙 의원의 지원까지 등에 업었던지라 김웅 후보의 낙승을 예상했던 분위기였다. 실제로 여론조사 조차 없이 [[미래통합당]] 우세 지역으로 꼽힐 정도였으니... 선거 당일 출구조사에서도 45.9% : 53.4%로 김웅 후보의 7.5% 차 우세로 예측되었고 경합지로 분류되지도 않았다. 그러나 막상 개표를 해보니 무려 개표율 60%까지 더불어민주당 조재희 후보의 우세가 지속되었다. 개표율 60%를 넘어서야 간신히 승부를 뒤집는데 성공했고 그리하여 최종 결과는 51.2% : 48.02%로 김웅 후보가 득표율 3.18%, 득표율 3,614표 차이로 간신히 승리했다. 이는 [[강남 3구]]에서 당선된 [[미래통합당]] 후보들 중 가장 적은 격차로 승리한 것이었다. 오히려 대표적 격전지로 꼽혔던 [[송파구 을|바로 옆 지역구]]보다도 적은 차이로 승리를 거둔 셈. 보수 텃밭으로 분류되는 강남 벨트 지역구 가운데 [[강남구 을]]과 [[송파구 을]]에서는 현역이 민주당 의원이었음에도 4.4~4.5% 차로 미래통합당 후보가 승리했다. 사실 송파 갑이 보수 진영 텃밭이라고는 하나, 18대 총선 이후, 진보 진영은 격차를 꾸준히 좁혀 왔으며, 20대 총선에서는 당선된 박인숙 후보의 득표율은 43%대에 머무르며 승리를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리고 이는 이번에도 3.18% 격차로 [[송파구 을]]보다도 더 격차가 적었다. 이것은 [[신천동|잠실4동]]의 잠실 미성크로바 아파트와 잠실 진주 아파트가 재건축으로 이주 중이라 잠실 4동에서 투표권을 행사하지 못했던 이유도 있다.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미성크로바와 진주 아파트는 잠실내에서 아시아 선수촌, 갤러리아 팰리스에 이어 홍준표 득표율[* 아시아선수촌 45.8%, 갤러리아 팰리스 43.8%, 미성 진주 35.7%, 레이크팰리스 33.5%, 장미 32.3%, 우성 30.7%]이 가장 높을만큼 강한 보수세를 보이던 곳이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잠실 미성크로바와 잠실 진주 아파트는 재건축 때문에 여전히 부재 중인 상황일 것이고[* 잠실 르엘-2026년 준공 예정, 잠실 래미안아이파크-2025년 준공 예정], [[잠실 장미아파트]]가 [[공공재건축]]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데다 보수정당의 초강세 지역이자, 송파구 재건축 기대주 5대장중 하나인 [[올림픽선수기자촌]][* 오륜동을 보수정당 득표율이 65% 이상 나오게 만든 요인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아파트는 2020년 10월 현재 정밀안전진단이 진행 중인데 통과 가능성도 불투명하고, 5,000세대가 넘는 초거대 단지라서 서울시 차원에서 재건축을 쉽게 허락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하지만 [[2021 재보궐선거|재보선]]에서 오세훈이 당선되어 재건축·재개발에 대해 적극적 태도를 견지하는 오세훈 특성상 재건축 떡밥이 많은 구룡마을, 은마아파트, 목동신시가지, 올림픽선수기자촌은 재건축에 허락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재건축 특성상 올림픽선수촌이 5년 내에 재건축 절차를 완료해서 철거나 이주를 시작할 가능성은 전혀 없으며, 현실적으로 재건축이 아무리 사업성이 좋다고 해도 10년 이내에 이주나 철거까지 마무리되면 매우 빨리 된 거다.''' 도곡, 영동, 개포주공, 반포주공, 잠실주공 모두 다 용적률이 낮고 대지지분이 많은 각각 강남, 서초, 송파구의 재건축 대장주들이였고 서울시 차원에서 밀어준 단지들이지만, 저 중 10년 이내로 관리처분인가를 받은 단지가 없다. 오세훈이 재건축 단계 자체를 간소화하지 않으면 2024년까지 올림픽선수촌 이주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여담으로 올림픽선수촌의 재건축에 걸림돌이 되는 의외의 문제는 5500세대라는 대단지에 평수가 천차만별이라는 점인데, ''' 소유주들[* 일부 대형 평수, 복층 소유주들 --솔직히 대형평수에 복층이면 진짜 살기 편하긴 하다--] 중 의외로 재건축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의외로 안전진단 신청도 반대한 소유주들도 은근 된다. '''--추가로 이 글을 보고 있는 올림픽선수촌 소유주라면 부동산 가두리에 당하지 말자.--''' 헬리오시티와 둔촌주공 재건축이 매머드 단지였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빨리 진행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소유주들이 단합이 잘 되었기 때문이다. 빨리 진행된 가락시영[* 헬리오시티], 둔촌주공[* 둔촌올림픽애비뉴포레], 잠실주공1, 2, 3, 4단지 [* 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레이크팰리스, 파크리오], 반포주공 2, 3단지[* 반포래미안퍼스티지, 반포자이], 개포주공1, 2, 3, 4단지 [* 개포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개포래미안블레스티지, 개포디에이치아너힐즈, 개포프레시던스자이] 같은 단지들의 공통점을 보면 소형 평수만 있었다는 것이다. 소유주들 중 다수가 실거주가 아닌 재건축을 목표로 구매해서 재건축에 대한 열의와 관심이 당연히 높을 수 밖에 없다. 반면 중대형 평수만 있거나 그 위주로 구성되어있는 재건축 (여의도, 압구정현대, 한양, 반포주공1단지)들을 보면 대부분 거의 다 내부 조합 분열때문에 재건축이 상당히 지체되었다. 특히 여의도는 일부 아파트들을 제외하고 소유주간 갈등이 심각하고[* 광장은 1, 2동 주민들과 나머지, 삼부는 대형평수 소유주들과 나머지], 압구정은 그나마 지금 나아졌지만 한양아파트 일부 소유주가 재건축을 반대해서 지체되었다. 물론 오세훈 시장 때 기부채납 조건을 거부한것도 크지만, 그 후로 10년 이상 한 단계도 진척이 없었던 이유는 소유주들의 내분 때문이였다. 더군다나 올림픽선수촌은 1, 2, 3단지 타입별로 대지지분이 천차만별이라서[* 올림픽선수촌의 용적률은 138%지만, 타입과 단지에 따라 같은 평수라도 용적률과 대지지분이 제각각이다. 비슷한 용적률인 반포주공과 목동신시가지도 다양한 타입과 저층, 고층이 혼재하지만 타입별로 지분에서 별로 차이가 안난다.] 소유주 이익 배분 단계에서 큰 갈등이 생긴다면 재건축 단계가 스톱된다. --하지만 최근 문재인 정부의 재건축 규제 때문에 소유주들이 어떻게든 빨리 시작하고 빨리 끝내려고 단결했을 수도 있다-- 인구 구성 뿐만 아니라 풍납동, 송파동 등 기존에 종부세에 영향을 받지 않았던 아파트들도 하나둘씩 종부세 과세대상이 되고 있고, [[2021년 재보궐선거]]만 봐도 올림픽선수촌과 [[잠실 파크리오]]에서 오세훈 후보에게 70~80%에 가까운 유례없는 몰표를 주었다. 종부세 이슈가 해결되지 않으면 다음 선거는 어떻게 될지 뻔한 일. 참고로 현재 송파 3선거구 가운데 갑이 인구가 가장 적은데, 균형을 맞추는 차원에서 병의 오금동을 갑으로 넘길 가능성도 있다. 오금동이 현재 병 선거구에서 가장 보수적인 지역인데다(오륜동이나 잠실6동만큼은 아니지만) 인구도 38,000명에 달하는 만큼 보수세가 더 강해지는 건 자명하다. 그리고 제20대 대선에서 60%의 육박한 보수진영의 지지율 보여 차기 총선에서 보수 진영이 유리해진 점과 민주당이 제기했던 채널a 검언유착, 조성은 위원장의 고발사주 의혹제기 등 김웅의원에게 제기됐던 사법적 리스크에도 자유로워 진것으로 보아 재선을 도전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김웅 의원 개인에 대한 지역구 여론이 썩 좋은 편만은 아니기 때문에[* 제8회 지방선거에 구청장에 재선에 실패한 [[박성수(정치인)|박성수]]가 구청장시절에 평가가 좋아서 강남 3구인데도 불구하고 41%득표율에 선전해서 이 지역구에 출마할 가능성이 높아 김웅 의원의 재선에 장담할 수 없다.] 상황에 따라서는 비례대표로 재선에 도전할 수 있다. ==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 === [[제16대 대통령 선거]] === ||<-4> [[송파구|{{{#ffffff {{{+1 '''송파구'''}}}}}}]][br]{{{#ffffff 송파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include(틀:민주노동당)] || || '''후보''' || [[이회창|{{{#ffffff '''이회창'''}}}]] || [[노무현|{{{#ffffff '''노무현'''}}}]] || [[권영길|{{{#ffffff '''권영길'''}}}]] || || '''득표수''' || 165,335 || '''166,340''' || 10,145 || || '''득표율''' || 48.18% || '''48.47%''' || 2.95% || || '''순위''' || 2위 || '''1위''' || 3위 || ||<|4> '''계''' ||<-2> '''선거인 수''' || 475,764 || ||<-2> '''투표 수''' || 344,824 || ||<-2> '''무효표 수''' || 1,698 || ||<-2> '''투표율''' || 72.48% || === [[제17대 대통령 선거]] === ||<-6> [[송파구|{{{#ffffff {{{+1 '''송파구'''}}}}}}]][br]{{{#ffffff 송파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민주노동당)] || [include(틀:창조한국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