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cideboy$ r106 RAW 2022-06-22 11:00:20에 w2에서 r106판 포크됨||<-2> '''{{{#000 $uicideboy$ [br] 수어사이드 보이즈}}}'''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icideboys.jpg|width=100%]]}}} || || '''그룹명''' || $uicideboy$[* 자살소년단] || || '''멤버''' || Ruby da Cherry, $crim[* 왼쪽에서부터] || || '''국적'''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 '''장르''' || [[힙합 음악|힙합]], [[트랩(음악)#s-3.4|트랩 메탈]], 호러코어, [[멤피스 랩]] || || '''소속''' || G*59, Virgin || || '''링크''' || [[https://www.youtube.com/channel/UCU5AbNuMPGB491GcqXuzwK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suicideboy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어사이드보이즈'''(Suicideboys, $uicideboy$)는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출신의 [[힙합]] 듀오로, 2014년 사촌 지간인 루비 다 체리(Ruby da Cherry)와 스크림 ($crim)에 의해 설립되었다. 음악 공유 플랫폼 [[사운드클라우드]]를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거친 느낌의 자체 제작 비트와 약물 중독과 자살을 주제로 하는 가사가 특징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레이블인 G*59 레코드를 소유하고 운영하며, 그들의 모든 음악은 Virgin Music Label & Artist Services에 의해 배급된다. 이 듀오는 언더그라운드 랩 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이들 중 하나이며, 컬트 추종자들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수 년 동안 EP와 믹스테이프를 발매한 후, 2018년 9월 7일 데뷔 스튜디오 음반 《I Want to Die in New Orleans》을 발매하였다. 이 음반은 상업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미국 빌보드 200에서 그들의 첫 톱 10 음반이 되었다. 2019년 5월, 그들은 블링크-182 드러머 [[트래비스 바커]]와 함께 "Live Fast, Die Anyways"라는 제목의 공동 6트랙 EP를 발매했다. 콘의 기타리스트 제임스 셰퍼(James Shaffer)도 참여했다. == 멤버 == *Ruby da Cherry: 본명 Aristos Norman Petrou (아리스토스 노르만 페트루) a.k.a SLAMDUNKASAUR[*A 프로듀서로 활동할때 쓰는 랩네임] ,1990년 4월 22일생 *$crim: 본명 Scott Anthony Arceneaux Jr. (스콧 앤서니 아르세노 주니어) a.k.a [[버드 드와이어|Budd Dwyer]][* 이 랩네임의 의미는 그 우리가 아는 생방송에서 자살한 그 사람에서 따왔다...][*A],1989년 4월 11일생 == 초창기 시절 == 스크림($crim)은 1989년 4월 11일 루이지애나 주 마레로에서 태어났다. 그는 [[T-Pain]]과 [[Kanye West]]로부터 음악적 영감을 받았으며, 약을 팔아 번 돈으로 디제잉을 시작하는 데 사용한 첫 노트북을 구입했다. 디제잉에 대한 스크림의 열정은 그가 디제잉 파티에 고용된 델가도 커뮤니티 칼리지에 다니기 시작했을 때 더욱 커졌다. 그는 중고 가구를 파는 일을 했는데, 3년 만에 손에 새 타투를 새겼다는 이유로 해고 당했다. 루비 다 체리(Ruby Da Cherry)는 1990년 4월 22일, 미국계 어머니와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아버지 파블로스 페트루(Pavlos Petrou)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마운트카멜 아카데미(루이지애나)의 전 축구 감독으로, 뉴올리언스 대학에서 운동 장학금을 받고 루이지애나로 입국했다. 루이지애나주 메테리에서 자란 루비는 7살 때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10살 때 드럼을 연주하며 음악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결국 중학교 때 밴드에 합류했다. 그는 2015년까지 아버지의 식당에서 웨이터로 일했다. [[펑크 록]]계에 대한 그의 경험은 그가 밴드 "Vapo-Rats"의 드러머로 합류하면서 계속되었다. 그러나, 그의 밴드 동료들이 밴드의 미래에 대해 보여준 무관심에 환멸을 느낀 루비는 스크림과 힙합에서 경력을 쌓기 위해 떠났다. 스크림과 루비는 사촌으로, 자라면서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 둘 다 진지하게 음악 경력을 쌓는 데 관심이 있고, 둘 다 삶의 방향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아, 두 사람은 Suicideboys를 결성했다. 음악 경력이 잘 안 되면 둘 다 자살할 것이라고 약속했으며, 매스 어필과의 인터뷰에서 자세히 설명했다. 스크림은 "손목을 긋고 피를 흘리며 다른 길은 없다고 약속하는 것과 비슷했다"며 "만약 우리가 30살이 될 때까지 성공하지 못한다면, 나는 내 머리를 날려버릴 것"이라고 말했다. == 음악적 커리어 == 듀오의 첫 번째 프로젝트인 Kill Yourself Part I: The $uicide $aga라는 세 트랙 EP는 2014년 6월 사운드클라우드와 밴드캠프에서 발매되었으며, 언더그라운드 래퍼 본즈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 후 몇 달 동안, 그들은 'Kill Yourself' 시리즈의 음반 9개를 추가로 발매했다. 같은 언더그라운드 아티스트 블랙 스머프와의 수많은 콜라보레이션 EP 이후, 그들의 첫 번째 정규 프로젝트인 "Gray/Grey"가 2015년 3월 3일 발매되었다. 수어사이드보이즈의 언더그라운드 돌파는 2015년 EP 《$outh $ide $uide》의 발매와 함께 이루어졌는데, 이 음반을 통해 그들은 언더그라운드 랩 씬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018년 10월 기준으로 이 음반은 스트리밍 플랫폼 사운드클라우드에서만 7천 5백만 회 이상의 트랙 플레이를 얻었다. 2016년 여름, "Radical $uicide"의 발매와 함께 이 듀오가 처음으로 주류 음악 차트에 진입했다. EDM 뮤지션 게터(DJ)가 프로듀싱한 5곡 EP는 핫 랩 송에서 17위로 정점을 찍었다. 2018년 9월 7일, 데뷔 앨범 "I Want to Die in New Orleans" 가 발매되었다. 이 듀오의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 게시된 게시물에 의하면, 2017년 초에 이 음반을 녹음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처음에 우리는 길거리에서의 우리의 경험과 우리의 삶이 조금 더 나아진 과정을 표현하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수어사이드보이즈는 힙합 씬에서 사이비 종교 추종자들을 얻었는데, 자살, [[악마숭배]], [[우울증]]과 같은 랩에서 거의 볼 수 없는 주제를 다루는 그들의 특징 때문이다. 2021년 8월 현재, 유튜브에서 가장 조회수가 높은 뮤직비디오는 "Paris"로, 거의 1억 5천만 회를 기록했으며, "Kill Yourself (Part III)"는 그들의 [[스포티파이]] 페이지에서 3억 2천 2백만 회의 재생이 가장 많은 곡이다. 이 듀오는 빌보드의 "2017년 빌보드 댄스에서 본 15명의 아티스트" 목록에 포함되었다. 2018년 말, 이 그룹이 일련의 불길한 트윗에 이어 결별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하지만, 그들은 곧 이 트윗들이 스크림이 직면하고 있는 "개인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그들은 헤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2019년 5월, 이 그룹은 블링크-182 드러머 트래비스 바커와 함께 6곡의 EP 'Live Fast, Die Anyways'를 발매하고 콘의 기타리스트 제임스 셰퍼가 주연을 맡았다. 2019년 7월, 두 사람은 첫 전국 투어 "Grey Day Tour"를 시작했는데, 게스트 [[Germ]], [[City Morgue]], Trash Talk, [[Denzel Curry]], [[Shoreline Mafia]], Night Lovell, [[Pouya]], Turnstile이 오프너로 참여했다. 이 투어는 2019년 7월 24일 워싱턴주 시애틀의 루멘 필드에서 공연을 시작으로 2019년 8월 23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슈트리피츠 엑스포 홀에서 공연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2021년 8월, 2집 앨범 《Long Term Effects of Suffering》을 발매했다. 이 음반은 매체에서 분열을 일으킨 반면 팬들에게는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음반 발매 직후, 이 듀오는 G*59의 다른 멤버들과 함께 2021년 그레이 데이 투어를 시작했다. 2021년 11월, 이 듀오는 그들의 첫 번째 RIAA 플래티넘 싱글을 받았다. 그리고 앨범'...And to Those I Love, Thanks for Sticking Around"는 100만 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 사이드 프로젝트 === 듀오 활동과 별개로, 루비와 스크림은 다른 아티스트들과 개별적으로 작업했을 뿐 아니라 솔로 작품을 발표했다. 수어사이드보이즈(Suicideboys) 이전에, 스크림은 $crim이라는 이름으로 여러 믹스테이프를 발매하던 솔로 힙합 가수 지망생이었다. 발매된 믹스테이프는 Narcotics Anonymous, #DrugFlow2, Patron Saint of Everything Totally Fucked 등이 있는데, 이 믹스테이프들은 모두 2014년 그룹 결성 전에 발매되었다. 스크림은 리퍼블릭 레코드의 사내 프로듀서로 일했으며, 상업적으로 성공한 한 곡을 포함한 아티스트들을 위한 여러 곡을 제작했다. 2020년, 스크림은 $uicideboy$ 결성 이후 첫 솔로 앨범을 발매했다. 앨범 "A Man Rose from the Dead"는 팬들 사이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루비는 "Oddy Nuff da Snow Leopard"라는 이름으로, 2012년, 'The Jefe Tape'와 2014년, 'Pluto'라는 이름으로 솔로 믹스테이프를 발매했다. 《Pluto》는 스크림과, 루비 사이의 상업적인 프로젝트에서의 첫 번째 협업을 포함했다. 스크림은 'Smoke a Sack'이라는 곡에 피처링을 했다. === 논쟁 === 수어사이드보이즈(Suicideboys)는 그들의 이름, 가사, 그리고 행동을 포함하여 종종 거칠고 공격적인 이미지로 주류 음악 비평가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그들의 많은 노래들은 [[악마숭배]]에 대한 주제와 암시를 담고 있다. 그러나, 스크림이 Adam Grandmanison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듯이, 그들의 악마적 이미지 사용은 단지 돈, 마약과 같이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것들의 부정적인 효과에 대한 대명일 뿐이다. 2016년 9월, 캐나다의 DJ이자 음반 프로듀서인 데드마우스(Deadmau5)는 그들의 노래 "Antarctica"의 성공 이후 그들을 저작권 침해로 고소했다. 이 곡은 [[deadmau5]]의 "Remember"의 일부를 샘플링했다. 데드마우스는 수어사이드보이즈가 "동의 없이 다른 사람들의 지적 재산을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 듀오를 비난했다.1월부터 발매된 이 곡은 [[유튜브]]와 [[사운드클라우드]] 에서 수백만 번의 재생횟수에 도달했으며, 두 플랫폼에서 삭제되었고 더 이상의 조치는 취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2021년 그레이 데이 투어(Grey Day Tour 2021)에 맞춰 2021년 9월에 스트리밍 서비스가 중단된 지 거의 4년 만에 스트리밍이 허가되었다. == 음악 스타일 == 수어사이드보이즈의 음악은 랩의 하위 장르에 따라 다양하지만, 어떤 노래들은 우울증과 자살과 같은 주제에 초점을 맞춘 서정적인 내용을 가진 우울한 음색을 가지고 있는 반면, 폭력과 성적인 내용을 주제로 하여 매우 공격적인 곡들도 있다. 그들의 음악 중 일부는 뉴올리언즈에서 자란 삶에 기반을 두고 있다. Audubon, Tulane, Elysian Fields, St. Bernard 등의 곡에서는 그들의 삶에 영향을 준 거리와 이웃들을 반영하고 있다. 그들의 음악에는 명백한 [[Three 6 Mafia]] 영향이 있으며, 많은 초기 곡들은 [[Three 6 Mafia]]의 노래를 샘플로 사용한다. [[Three 6 Mafia]] 샘플의 사용은 멤버들 중 일부, 특히 Gangsta Boo의 의구심을 받았지만, 다른 멤버인 [[Juicy J]]는 Suicideboys에 대한 지지와 멘토링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으며, [[A$AP Rocky]], [[Cardi B]], [[Wiz Khalifa]] 및 [[XXXTENTACION]] 등의 아티스트들이 참여한 믹스테이프 Highly Intoxicated와 ShutDaF*kUp을 제작하기 위해 듀오를 영입했다. 그들의 음악의 많은 부분이 우울증과 그 증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것은 주류적인 [[힙합]]에서 종종 받아들여지지 않는 주제이다. 게스트 프로듀서들과, 구매한 악기의 루프 사용을 제외하고, 수어사이드보이즈의 모든 음반은 스크림이 자신의 필명인 버드 드와이어(Budd Dwyer)로 제작하였다. 스크림은 [[Denzel Curry]], Dash, [[Juicy J]]를 포함한 여러 아티스트의 트랙을 제작했다. 게다가, 그는 리퍼블릭 레코드와 사내 계약을 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 개인사 == 그들은 사생활에 관해서 매우 비밀스럽다. 하지만 둘 다 노래에서 그들이 사귀었던 여성들을 언급하는데, 가장 눈에 띄는 곡은 "CLYDE"이다. 스크림은 마약에 중독되었던 과거를 가지고 있는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헤로인이다. 하지만 그는 2019년 2월 이후로 마약 중독에서 벗어났다고 한다. 그는 12개의 스탭 프로그램과 치료 세션에 참석함으로써 자신의 상태를 유지한다고 말했다. 루비 또한 약물 중독에 시달렸다. 그는 스크림처럼 자신의 중독에 대해 숨김없이 털어놓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는 'Long Term Effects of Suffering'이 공개된 이후 자신의 중독에 대해 입을 열었다. 루비는 2020년 10월 약물 재활 시설에 입원했다. 그는 그가 계속 마리화나를 피우고 있기 때문에 중독으로 부터 완전히 벗어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 디스코그래피 == === 정규 === *I Want to Die in New Orleans (2018.9.7) *Stop Staring at the Shadows (2020.2.14) === 컴필레이션 === *Songsthatwewontgetsuedforbutattheendofthedayweallgonnadieanyway (2016.9.8) === EP === *Radical $uicide (2016.7.22) === 믹스테잎 === *2015 *Gray/Grey *7th or St. Tammany *YUNGDEATHLILLIFE *High Tide in the Snake's Nest *My Liver Will Handle What My Heart Can't *Now the Moon's Rising *2016 *Dark Side of the Clouds *Eternal Grey === 싱글 === *2015 *Runnin' Thru the 7th With My Woadie *Kill Yourself (Part III) *Paris *2016 *Fuckthepopulation *2017 *For the Last Time *2nd Hand *2018 *Fuckallofyou2k18 *Either Hated Or Ignored *Carrollton *Meet Mr. Niceguy *Hung Up on the Come Up *Scrape *2019 *Nothingleftnothingleft *Aliens Are Ghosts *Scope Set *Fuck Your Culture == 여담 == * [[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 출신이다. 첫 앨범 제목에도 [[뉴올리언스]]가 들어가있다. * 스크림은 코데인, 자낙스 등의 수많은 마약을 남용했고, 약을 판매한 돈으로 노트북을 구입하는 것으로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 루비 다 체리가 가장 좋아하는 만화는 [[드래곤볼 Z]], 영화는 갓펠라라고. * 루비 다 체리와 스크림 둘은 서로 사촌지간이다. * 아이티계 미국인 래퍼 [[Germ]]과 작업을 많이 한다. * 그들은 위에 a.k.a 말고도 여러개의 a.k.a들이 있다. * [[FTP(패션 브랜드)]]를 좋아하고, 한때 힙합씬 내에 FTP 유행을 불러왔다. [[분류:남성 힙합 듀오]][[분류:2014년 데뷔]][[분류:호러코어]][[분류:멤피스 랩]][[분류:미국의 힙합 그룹]][[분류:2014년 결성된 음악 그룹]][[분류:얼터너티브 힙합]] 보낼 RAW||<-2> '''{{{#000 $uicideboy$ [br] 수어사이드 보이즈}}}'''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icideboys.jpg|width=100%]]}}} || || '''그룹명''' || $uicideboy$[* 자살소년단] || || '''멤버''' || Ruby da Cherry, $crim[* 왼쪽에서부터] || || '''국적'''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 '''장르''' || [[힙합 음악|힙합]], [[트랩(음악)#s-3.4|트랩 메탈]], 호러코어, [[멤피스 랩]] || || '''소속''' || G*59, Virgin || || '''링크''' || [[https://www.youtube.com/channel/UCU5AbNuMPGB491GcqXuzwK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suicideboy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어사이드보이즈'''(Suicideboys, $uicideboy$)는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출신의 [[힙합]] 듀오로, 2014년 사촌 지간인 루비 다 체리(Ruby da Cherry)와 스크림 ($crim)에 의해 설립되었다. 음악 공유 플랫폼 [[사운드클라우드]]를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거친 느낌의 자체 제작 비트와 약물 중독과 자살을 주제로 하는 가사가 특징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레이블인 G*59 레코드를 소유하고 운영하며, 그들의 모든 음악은 Virgin Music Label & Artist Services에 의해 배급된다. 이 듀오는 언더그라운드 랩 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이들 중 하나이며, 컬트 추종자들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수 년 동안 EP와 믹스테이프를 발매한 후, 2018년 9월 7일 데뷔 스튜디오 음반 《I Want to Die in New Orleans》을 발매하였다. 이 음반은 상업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미국 빌보드 200에서 그들의 첫 톱 10 음반이 되었다. 2019년 5월, 그들은 블링크-182 드러머 [[트래비스 바커]]와 함께 "Live Fast, Die Anyways"라는 제목의 공동 6트랙 EP를 발매했다. 콘의 기타리스트 제임스 셰퍼(James Shaffer)도 참여했다. == 멤버 == *Ruby da Cherry: 본명 Aristos Norman Petrou (아리스토스 노르만 페트루) a.k.a SLAMDUNKASAUR[*A 프로듀서로 활동할때 쓰는 랩네임] ,1990년 4월 22일생 *$crim: 본명 Scott Anthony Arceneaux Jr. (스콧 앤서니 아르세노 주니어) a.k.a [[버드 드와이어|Budd Dwyer]][* 이 랩네임의 의미는 그 우리가 아는 생방송에서 자살한 그 사람에서 따왔다...][*A],1989년 4월 11일생 == 초창기 시절 == 스크림($crim)은 1989년 4월 11일 루이지애나 주 마레로에서 태어났다. 그는 [[T-Pain]]과 [[Kanye West]]로부터 음악적 영감을 받았으며, 약을 팔아 번 돈으로 디제잉을 시작하는 데 사용한 첫 노트북을 구입했다. 디제잉에 대한 스크림의 열정은 그가 디제잉 파티에 고용된 델가도 커뮤니티 칼리지에 다니기 시작했을 때 더욱 커졌다. 그는 중고 가구를 파는 일을 했는데, 3년 만에 손에 새 타투를 새겼다는 이유로 해고 당했다. 루비 다 체리(Ruby Da Cherry)는 1990년 4월 22일, 미국계 어머니와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아버지 파블로스 페트루(Pavlos Petrou)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마운트카멜 아카데미(루이지애나)의 전 축구 감독으로, 뉴올리언스 대학에서 운동 장학금을 받고 루이지애나로 입국했다. 루이지애나주 메테리에서 자란 루비는 7살 때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10살 때 드럼을 연주하며 음악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결국 중학교 때 밴드에 합류했다. 그는 2015년까지 아버지의 식당에서 웨이터로 일했다. [[펑크 록]]계에 대한 그의 경험은 그가 밴드 "Vapo-Rats"의 드러머로 합류하면서 계속되었다. 그러나, 그의 밴드 동료들이 밴드의 미래에 대해 보여준 무관심에 환멸을 느낀 루비는 스크림과 힙합에서 경력을 쌓기 위해 떠났다. 스크림과 루비는 사촌으로, 자라면서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 둘 다 진지하게 음악 경력을 쌓는 데 관심이 있고, 둘 다 삶의 방향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아, 두 사람은 Suicideboys를 결성했다. 음악 경력이 잘 안 되면 둘 다 자살할 것이라고 약속했으며, 매스 어필과의 인터뷰에서 자세히 설명했다. 스크림은 "손목을 긋고 피를 흘리며 다른 길은 없다고 약속하는 것과 비슷했다"며 "만약 우리가 30살이 될 때까지 성공하지 못한다면, 나는 내 머리를 날려버릴 것"이라고 말했다. == 음악적 커리어 == 듀오의 첫 번째 프로젝트인 Kill Yourself Part I: The $uicide $aga라는 세 트랙 EP는 2014년 6월 사운드클라우드와 밴드캠프에서 발매되었으며, 언더그라운드 래퍼 본즈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 후 몇 달 동안, 그들은 'Kill Yourself' 시리즈의 음반 9개를 추가로 발매했다. 같은 언더그라운드 아티스트 블랙 스머프와의 수많은 콜라보레이션 EP 이후, 그들의 첫 번째 정규 프로젝트인 "Gray/Grey"가 2015년 3월 3일 발매되었다. 수어사이드보이즈의 언더그라운드 돌파는 2015년 EP 《$outh $ide $uide》의 발매와 함께 이루어졌는데, 이 음반을 통해 그들은 언더그라운드 랩 씬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018년 10월 기준으로 이 음반은 스트리밍 플랫폼 사운드클라우드에서만 7천 5백만 회 이상의 트랙 플레이를 얻었다. 2016년 여름, "Radical $uicide"의 발매와 함께 이 듀오가 처음으로 주류 음악 차트에 진입했다. EDM 뮤지션 게터(DJ)가 프로듀싱한 5곡 EP는 핫 랩 송에서 17위로 정점을 찍었다. 2018년 9월 7일, 데뷔 앨범 "I Want to Die in New Orleans" 가 발매되었다. 이 듀오의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 게시된 게시물에 의하면, 2017년 초에 이 음반을 녹음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처음에 우리는 길거리에서의 우리의 경험과 우리의 삶이 조금 더 나아진 과정을 표현하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수어사이드보이즈는 힙합 씬에서 사이비 종교 추종자들을 얻었는데, 자살, [[악마숭배]], [[우울증]]과 같은 랩에서 거의 볼 수 없는 주제를 다루는 그들의 특징 때문이다. 2021년 8월 현재, 유튜브에서 가장 조회수가 높은 뮤직비디오는 "Paris"로, 거의 1억 5천만 회를 기록했으며, "Kill Yourself (Part III)"는 그들의 [[스포티파이]] 페이지에서 3억 2천 2백만 회의 재생이 가장 많은 곡이다. 이 듀오는 빌보드의 "2017년 빌보드 댄스에서 본 15명의 아티스트" 목록에 포함되었다. 2018년 말, 이 그룹이 일련의 불길한 트윗에 이어 결별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하지만, 그들은 곧 이 트윗들이 스크림이 직면하고 있는 "개인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그들은 헤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2019년 5월, 이 그룹은 블링크-182 드러머 트래비스 바커와 함께 6곡의 EP 'Live Fast, Die Anyways'를 발매하고 콘의 기타리스트 제임스 셰퍼가 주연을 맡았다. 2019년 7월, 두 사람은 첫 전국 투어 "Grey Day Tour"를 시작했는데, 게스트 [[Germ]], [[City Morgue]], Trash Talk, [[Denzel Curry]], [[Shoreline Mafia]], Night Lovell, [[Pouya]], Turnstile이 오프너로 참여했다. 이 투어는 2019년 7월 24일 워싱턴주 시애틀의 루멘 필드에서 공연을 시작으로 2019년 8월 23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슈트리피츠 엑스포 홀에서 공연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2021년 8월, 2집 앨범 《Long Term Effects of Suffering》을 발매했다. 이 음반은 매체에서 분열을 일으킨 반면 팬들에게는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음반 발매 직후, 이 듀오는 G*59의 다른 멤버들과 함께 2021년 그레이 데이 투어를 시작했다. 2021년 11월, 이 듀오는 그들의 첫 번째 RIAA 플래티넘 싱글을 받았다. 그리고 앨범'...And to Those I Love, Thanks for Sticking Around"는 100만 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 사이드 프로젝트 === 듀오 활동과 별개로, 루비와 스크림은 다른 아티스트들과 개별적으로 작업했을 뿐 아니라 솔로 작품을 발표했다. 수어사이드보이즈(Suicideboys) 이전에, 스크림은 $crim이라는 이름으로 여러 믹스테이프를 발매하던 솔로 힙합 가수 지망생이었다. 발매된 믹스테이프는 Narcotics Anonymous, #DrugFlow2, Patron Saint of Everything Totally Fucked 등이 있는데, 이 믹스테이프들은 모두 2014년 그룹 결성 전에 발매되었다. 스크림은 리퍼블릭 레코드의 사내 프로듀서로 일했으며, 상업적으로 성공한 한 곡을 포함한 아티스트들을 위한 여러 곡을 제작했다. 2020년, 스크림은 $uicideboy$ 결성 이후 첫 솔로 앨범을 발매했다. 앨범 "A Man Rose from the Dead"는 팬들 사이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루비는 "Oddy Nuff da Snow Leopard"라는 이름으로, 2012년, 'The Jefe Tape'와 2014년, 'Pluto'라는 이름으로 솔로 믹스테이프를 발매했다. 《Pluto》는 스크림과, 루비 사이의 상업적인 프로젝트에서의 첫 번째 협업을 포함했다. 스크림은 'Smoke a Sack'이라는 곡에 피처링을 했다. === 논쟁 === 수어사이드보이즈(Suicideboys)는 그들의 이름, 가사, 그리고 행동을 포함하여 종종 거칠고 공격적인 이미지로 주류 음악 비평가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그들의 많은 노래들은 [[악마숭배]]에 대한 주제와 암시를 담고 있다. 그러나, 스크림이 Adam Grandmanison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듯이, 그들의 악마적 이미지 사용은 단지 돈, 마약과 같이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것들의 부정적인 효과에 대한 대명일 뿐이다. 2016년 9월, 캐나다의 DJ이자 음반 프로듀서인 데드마우스(Deadmau5)는 그들의 노래 "Antarctica"의 성공 이후 그들을 저작권 침해로 고소했다. 이 곡은 [[deadmau5]]의 "Remember"의 일부를 샘플링했다. 데드마우스는 수어사이드보이즈가 "동의 없이 다른 사람들의 지적 재산을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 듀오를 비난했다.1월부터 발매된 이 곡은 [[유튜브]]와 [[사운드클라우드]] 에서 수백만 번의 재생횟수에 도달했으며, 두 플랫폼에서 삭제되었고 더 이상의 조치는 취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2021년 그레이 데이 투어(Grey Day Tour 2021)에 맞춰 2021년 9월에 스트리밍 서비스가 중단된 지 거의 4년 만에 스트리밍이 허가되었다. == 음악 스타일 == 수어사이드보이즈의 음악은 랩의 하위 장르에 따라 다양하지만, 어떤 노래들은 우울증과 자살과 같은 주제에 초점을 맞춘 서정적인 내용을 가진 우울한 음색을 가지고 있는 반면, 폭력과 성적인 내용을 주제로 하여 매우 공격적인 곡들도 있다. 그들의 음악 중 일부는 뉴올리언즈에서 자란 삶에 기반을 두고 있다. Audubon, Tulane, Elysian Fields, St. Bernard 등의 곡에서는 그들의 삶에 영향을 준 거리와 이웃들을 반영하고 있다. 그들의 음악에는 명백한 [[Three 6 Mafia]] 영향이 있으며, 많은 초기 곡들은 [[Three 6 Mafia]]의 노래를 샘플로 사용한다. [[Three 6 Mafia]] 샘플의 사용은 멤버들 중 일부, 특히 Gangsta Boo의 의구심을 받았지만, 다른 멤버인 [[Juicy J]]는 Suicideboys에 대한 지지와 멘토링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으며, [[A$AP Rocky]], [[Cardi B]], [[Wiz Khalifa]] 및 [[XXXTENTACION]] 등의 아티스트들이 참여한 믹스테이프 Highly Intoxicated와 ShutDaF*kUp을 제작하기 위해 듀오를 영입했다. 그들의 음악의 많은 부분이 우울증과 그 증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것은 주류적인 [[힙합]]에서 종종 받아들여지지 않는 주제이다. 게스트 프로듀서들과, 구매한 악기의 루프 사용을 제외하고, 수어사이드보이즈의 모든 음반은 스크림이 자신의 필명인 버드 드와이어(Budd Dwyer)로 제작하였다. 스크림은 [[Denzel Curry]], Dash, [[Juicy J]]를 포함한 여러 아티스트의 트랙을 제작했다. 게다가, 그는 리퍼블릭 레코드와 사내 계약을 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 개인사 == 그들은 사생활에 관해서 매우 비밀스럽다. 하지만 둘 다 노래에서 그들이 사귀었던 여성들을 언급하는데, 가장 눈에 띄는 곡은 "CLYDE"이다. 스크림은 마약에 중독되었던 과거를 가지고 있는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헤로인이다. 하지만 그는 2019년 2월 이후로 마약 중독에서 벗어났다고 한다. 그는 12개의 스탭 프로그램과 치료 세션에 참석함으로써 자신의 상태를 유지한다고 말했다. 루비 또한 약물 중독에 시달렸다. 그는 스크림처럼 자신의 중독에 대해 숨김없이 털어놓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는 'Long Term Effects of Suffering'이 공개된 이후 자신의 중독에 대해 입을 열었다. 루비는 2020년 10월 약물 재활 시설에 입원했다. 그는 그가 계속 마리화나를 피우고 있기 때문에 중독으로 부터 완전히 벗어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 디스코그래피 == === 정규 === *I Want to Die in New Orleans (2018.9.7) *Stop Staring at the Shadows (2020.2.14) === 컴필레이션 === *Songsthatwewontgetsuedforbutattheendofthedayweallgonnadieanyway (2016.9.8) === EP === *Radical $uicide (2016.7.22) === 믹스테잎 === *2015 *Gray/Grey *7th or St. Tammany *YUNGDEATHLILLIFE *High Tide in the Snake's Nest *My Liver Will Handle What My Heart Can't *Now the Moon's Rising *2016 *Dark Side of the Clouds *Eternal Grey === 싱글 === *2015 *Runnin' Thru the 7th With My Woadie *Kill Yourself (Part III) *Paris *2016 *Fuckthepopulation *2017 *For the Last Time *2nd Hand *2018 *Fuckallofyou2k18 *Either Hated Or Ignored *Carrollton *Meet Mr. Niceguy *Hung Up on the Come Up *Scrape *2019 *Nothingleftnothingleft *Aliens Are Ghosts *Scope Set *Fuck Your Culture == 여담 == * [[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 출신이다. 첫 앨범 제목에도 [[뉴올리언스]]가 들어가있다. * 스크림은 코데인, 자낙스 등의 수많은 마약을 남용했고, 약을 판매한 돈으로 노트북을 구입하는 것으로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 루비 다 체리가 가장 좋아하는 만화는 [[드래곤볼 Z]], 영화는 갓펠라라고. * 루비 다 체리와 스크림 둘은 서로 사촌지간이다. * 아이티계 미국인 래퍼 [[Germ]]과 작업을 많이 한다. * 그들은 위에 a.k.a 말고도 여러개의 a.k.a들이 있다. * [[FTP(패션 브랜드)]]를 좋아하고, 한때 힙합씬 내에 FTP 유행을 불러왔다. [[분류:남성 힙합 듀오]][[분류:2014년 데뷔]][[분류:호러코어]][[분류:멤피스 랩]][[분류:미국의 힙합 그룹]][[분류:2014년 결성된 음악 그룹]][[분류:얼터너티브 힙합]] [include(틀:포크됨, title=$uicideboy$, version=106)]더위키에 나무위키판으로 포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