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즈미 겐타 r127 RAW 2022-06-22 10:45:56에 w2에서 r127판 포크됨[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대표)] ----- || '''{{{#ffffff 현직 및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국회대책위원장)] -----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국회대책위원장)] -----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정무조사회장)] -----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지도부)] ----- [include(틀:입헌민주당 정무조사회장)] ----- [include(틀:입헌민주당 지도부)] ----- ||<-5> [[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중의원|{{{#000000 중의원}}}]] ([[교토부 제3구|{{{#000000 교토 3구}}}]])'''}}} || || '''제42대'''[br]오쿠야마 시게히코 || → || '''제43~45대[br]이즈미 겐타''' || → || '''제46~47대'''[br]미야자키 겐스케 || || '''제46~47대'''[* 불륜 사건으로 임기 중에 사퇴.][br]미야자키 겐스케 || → || '''제47~49대[br]이즈미 겐타''' || → || ''현직'' || }}} || ----- ||<-2> '''{{{#fff 제2대 입헌민주당 대표[br]{{{+1 이즈미 겐타}}}[br] 泉健太 | Izumi Kent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즈미 겐타2022_2.png|width=100%]]}}} || ||<|2> '''출생''' ||[[1974년]] [[7월 29일]] ([age(1974-07-29)]세) || ||[[홋카이도]] [[삿포로시]] [[키타구(삿포로)|키타구]] || || '''현직''' ||제49대 [[중의원]] 의원[br][[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대표[br]입헌민주당 종합선거대책본부장||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width=160]]}}} || || '''링크''' ||[[https://www.izumi-kenta.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https://twitter.com/izmkenta|[[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instagram.com/kenta.izumi.9/|[[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이시카와정립 하나카와키타 소학교 {{{-2 (졸업)}}}[br]이시카와정립 하나카와키타 중학교 {{{-2 (졸업)}}}[br]홋카이도 삿포로카이세이 고등학교 {{{-2 (졸업)}}}[br][[리츠메이칸대학]] 법학부 {{{-2 ([[법학]] / 학사)}}} || || '''정당'''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 '''파벌''' ||[[신정권연구회]] (전 회장) || || '''지역구''' ||[[교토부 제3구|교토 3구]] → 긴키 권역 비례대표 → 교토 3구 || || '''의원선수''' ||'''7''' (중) || || '''의원대수'''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3''']],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4''']],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5''']],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6''']][*A 석패율 비례대표],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7''']][*A 석패율 비례대표][* 지역구에서 당선된 미야자키 겐스케의 불륜에 따른 사직으로 치뤄진 보궐선거에 나가 당선],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8''']],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9''']] || || '''약력''' ||[[후쿠야마 데쓰로]] 참의원 비서[br][[교토부 제3구]] [[중의원]][br][[내각부]] 대신정무관[br][[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 국회대책위원장[br][[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br]국민민주당 정무조사회장[br][[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정무조사회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현재 [[교토부 제3구]] [[중의원]]이자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대표이다. == 생애 == 1974년 7월 29일, [[홋카이도]] [[삿포로시]] [[키타구(삿포로)|키타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이즈미 노리오는 [[이시카리시]]의회 의원이었다. 이시카와정립 하나카와키타 소학교, 이시카와정립 하나카와키타 중학교, 홋카이도 삿포로카이세이 고등학교[* 삿포로의 시립학교로 도쿄의 명문사학 [[카이세이 고등학교]]와는 무관하다.]를 거쳐 [[리츠메이칸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대학 졸업 후에는 [[후쿠야마 데쓰로]] 의원의 비서로 취직했다. 2000년, [[밀레니엄 총선]]에 [[교토부 제3구]]에서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공천을 받아 출마했으나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의 오쿠야마 시게히코에 겨뤘고 패배했는데, 비례대표 중복 입후보도 했으나 구원도 못 받고 낙선했다. 하지만 2003년 [[매니페스토 총선]]에서 지난번에 패배했던 오쿠야마를 꺾고 초선했다. 이후 연달아 당선되고 2009월 출범한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에서 내각부대신 정무관으로 취임해 [[간 나오토]] 내각에서도 역임한다. 허나 2012년 12월 민주당이 대패한 [[가미카제 총선]]에서 자민당의 미야자키 겐스케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 하지만 석패율제로 긴키 비례블록에서 부활했다. 역시 2014년 12월의 [[제2차 소비세 총선]]에서도 다시 미야자키에 패배했으나 비례대표로 부활했다. 2015년 1월에 열린 민주당 대표 선거에서는 [[호소노 고시]]의 추천인이 되었다. 2016년 4월 미야자키 의원의 불륜 사건으로 교토 3구가 공석이 되자 실시된 교토부 제3구 보궐선거에 [[민진당(일본)|민진당]] 공천으로 출마하게 된다. 비례에서 자동 탈퇴하고 그의 자리는 기타가미 게이로가 앞당겨 당선되고 그는 교토부 제3구에서 당선된다. 2017년 10월 3일에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에 공천을 신청했고, [[교토부 제5구]]에 배정된 [[이노우에 가즈노리]]와 함께 교토 신청자를 끝냈다. 그렇게 [[국난 돌파 총선]]에서 당선, 희망의 당 국회대책위원장에 취임했다. 2018년 5월 7일 민진당과 희망의 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에 입당하여 국회대책위원장을 역임하게 되고, 9월 11일부터 당 정무조사회장에 임명된다. 이즈미 의원은 11일,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가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과의 합류 신당 불참을 표명한 것을 두고 우리와 함께 행동할 수 있도록 설득하고 싶다라고 번의를 재촉할 생각을 나타냈다.[[https://headlines.yahoo.co.jp/hl?a=20200811-00427732-kyt-l26|#]] 이를 볼 때 이즈미는 신당에 참가하는 듯하다. 그리고 신당 대표 출마도 가진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00903/k10012599051000.html?utm_int=news-new_contents_list-items_001|#]] 하지만 [[에다노 유키오]]에게 패배했다. 이후, 정조회장에 임명되었다. [[하타 유이치로]]의 사망 후 "어찌 이런 일이.... 며칠 전에도 만났습니다. 완전히 믿을 수 없습니다....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고 밝혔다.[[https://mobile.twitter.com/office50824963?ref_src=twsrc%5Egoogle%7Ctwcamp%5Eserp%7Ctwgr%5Eauthor|#]] === 입헌민주당 대표 시절 === [[2021년 입헌민주당 대표 선거]]에 1년전 통합신당 대표선거에 이어 다시 한번 출마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11117/k10013350921000.html|#]] 이번에는 결선투표 끝에 [[오사카 세이지]] 후보를 꺾고 제2대 입헌민주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국민민주당(2018년)|舊 국민민주당]] 출신이라 그 보수 성향에 대한 당 일각에 우려가 있었음에도 승리한 것은 그만큼 의원을 비롯해 평당원 및 지지층에 이르기까지 총선 참패 이후 당에 대한 변화 요구가 크게 표출된 것으로 분석된다.[[https://nordot.app/838297901957054464?c=39546741839462401|#]] 선출 직후 자신과 대표 선거에서 다퉜던 [[오사카 세이지]] 의원을 대표대행으로, [[니시무라 지나미]] 의원을 간사장으로, [[오가와 준야]] 의원을 정무조사회장으로 지명하면서 빠르게 계파를 안배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11201/k10013369721000.html|#]] 남은 당 지도부 인사는 12월 6일, 임시국회 소집 이전까지 결정하겠다고 밝혔다.[[https://www.asahi.com/articles/ASPD16QKGPD1UTFK00Z.html|#]] 그리고 당초 공약대로 집행 임원 12명 중 절반이 여성으로 구성되게 임명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11206/k10013376431000.html|#]] 다만 신 지도부 출범 이후로 입헌민주당 지지율이 다시 하락세를 그리고 있는데 오히려 에다노란 야권의 나름 거물이 퇴장하면서 그나마 있던 여론의 관심을 벗어나기도 했고, 신 지도부가 딱히 새로운 존재감을 보여주지도 못하고 있기 때문. 4월 17일에는 원래 자민당에 우호적인 언론들까지 나서 이즈미 대표를 비롯한 야당 지도부들을 향해 투쟁심을 가지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실제로 같은 달 7일에 기시다 총리의 대표 정책 중 하나인 경제안전보장추진법안에 스스로 찬성표를 던지는 아연실색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64061|#]][* 오죽하면 기시다 총리에게 별로 인기가 없지만 아베 총리 이상으로 야당 복이 넘친다면서 비아냥거리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다.] [[2022년]] [[6월 8일]], [[인플레이션]] 대처 미흡 등을 이유로 [[제2차 기시다 내각]]에 대한 불신임안을 대표 발의했다. 물론 자민-공명 연립여당이 중의원 과반을 훨씬 넘게 확보하고 있는만큼 부결되겠지만 7월에 있을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를 앞두고 여당과의 투쟁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08_0001900093&cID=10101&pID=10100|#]] 6월 9일, 내각 불신임안이 부결된 후 본격적인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정국이 되자, 생활안전보장(生活安全保障)을 내세우며 일본에도 찾아온 고물가에도 금리 인상 등 정책적 대응을 하지 않고 있는 기시다 내각을 비판[* 특히 물가 문제와 관련하여 '기시다 인플레'라고 부르며 맹공을 펼치고 있다. 닛케이 여론조사에서도 기시다 총리를 향한 안정적인 지지율에도 불구 물가 상승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https://www.yna.co.kr/view/AKR20220622033200073|64%]]로 과반을 훌쩍 넘겼다.]하고 물가 안정, 교육 무상화 등 민생 이슈를 전면으로 세웠다. 2012년 [[아베 신조]] 2차 내각 출범 이후 이후 주로 [[평화헌법]] 수호를 명분으로 내세웠던 앞선 참원선 선거운동과는 대비되는 모습. 참원선 이후 패배를 이유로 [[에다노 유키오]] 전 대표를 비롯해 [[오카다 가쓰야]] 전 부총리, [[노다 요시히코]] 전 총리 등 당 원로들이 지도부 교체를 고려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어,[* 당대표 선출 이후 반짝했던 지지율이 이후 이즈미 지도부의 갈지자 행보에 실망해 빠지면서 관서 지역정당인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와 2위 경쟁을 펼치고 있는 [[안습]]한 상황이 되었기 때문.] 이즈미 대표로서는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사활을 걸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정치 성향 == 舊 민주당 시절에는 [[마에하라 세이지]]가 이끄는 료운카이에 속한 당내 대표적인 보수파 정치인으로 [[일본국 헌법]] 개정도 찬성하는 입장이었지만, 2021년 10월에 열린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9회 중원선]]을 앞두고 열린 앙게이트 조사에 따르면 호헌파로 선회했다. 그 외 핵무장에도 반대하며, 선택적 부부별성 제도 도입과 동성혼 합법화, 여성 덴노제, 탈원전 등에 찬성 입장을 밝혔다. 한국 관련해선 '재일 한국인을 비롯한 영주 외국인 주민의 법적 지위 향상을 추진하는 의원 연맹'에 가입되어 있으며, [[외국인 참정권]]도 찬성하는 입장이다. [[집단적 자위권]]을 반대하는 입장이어서 [[다마키 유이치로]], [[쓰지모토 기요미]]와 함께 플래카드를 들고 반대하기도 했다. == 소속 정당 == || '''{{{#ffffff 소속}}}''' || '''{{{#ffffff 기간}}}''' || '''{{{#ffffff 비고}}}'''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000 - 2016 || 정계 입문 || || [include(틀:민진당(일본))] || 2016 - 2017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희망의 당 합류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2017 - 2018 || 창당 || ||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 2018 - 2020 || 합당[* [[민진당(일본)|민진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020 - || 합당[*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과 신설 합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0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 [[교토 3구]] ||<|6> [include(틀:민주당(일본))] || 57,536 (31.54%) || 낙선 (2위) || || || 2003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4,052 (46.79%)''' ||<|3> '''당선 (1위)''' || '''초선''' || || 2005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92,249 (42.72%)''' || '''재선''' || || 2009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21,834 (54.58%)''' || '''3선''' || || 2012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8,735 (31.52%)''' ||<|2> 낙선 (2위)[br]'''석패율제 당선''' || '''4선''' || || 2014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4,900 (33.11%)''' ||<|2> '''5선'''[* 2016.04.12 사퇴 (중원선 보궐선거 출마)] || || 2016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 || [include(틀:민진당(일본))] || '''65,051 (65.43%)''' ||<|3> '''당선 (1위)''' || || 2017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63,013 (38.30%)''' || '''6선''' || || 2021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89,259 (48.19%)''' || '''7선''' || == 기타 == *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의 유튜브에 출연했다.[[https://youtu.be/7gk2pxEgPW8|#]] == 둘러보기 == [include(틀:일본의 원내정당대표)] [include(틀:일본 제49대 중의원 의원/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일본 제48대 중의원 의원/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민주당(일본)의 계파 분류)] [include(틀:민진당(일본)의 계파 분류)]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의 계파 분류)]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의 계파 분류)] [include(틀:입헌민주당의 계파 분류)] [include(틀:긴키 지방의 국회의원)] [[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당 대표/일본]][[분류: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민진당(일본) 국회의원]][[분류:희망의 당(2017년) 국회의원]][[분류:국민민주당(2018년) 국회의원]][[분류:입헌민주당(2020년) 국회의원]][[분류:제43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4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5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6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7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8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9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1974년 출생]][[분류:키타구(삿포로시) 출신 인물]][[분류:홋카이도 삿포로카이세이 고등학교 출신]][[분류:리츠메이칸대학 출신]][[분류:일본의 정치인 자녀]][[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보낼 RAW[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대표)] ----- || '''{{{#ffffff 현직 및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국회대책위원장)] -----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국회대책위원장)] -----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정무조사회장)] -----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지도부)] ----- [include(틀:입헌민주당 정무조사회장)] ----- [include(틀:입헌민주당 지도부)] ----- ||<-5> [[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중의원|{{{#000000 중의원}}}]] ([[교토부 제3구|{{{#000000 교토 3구}}}]])'''}}} || || '''제42대'''[br]오쿠야마 시게히코 || → || '''제43~45대[br]이즈미 겐타''' || → || '''제46~47대'''[br]미야자키 겐스케 || || '''제46~47대'''[* 불륜 사건으로 임기 중에 사퇴.][br]미야자키 겐스케 || → || '''제47~49대[br]이즈미 겐타''' || → || ''현직'' || }}} || ----- ||<-2> '''{{{#fff 제2대 입헌민주당 대표[br]{{{+1 이즈미 겐타}}}[br] 泉健太 | Izumi Kent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즈미 겐타2022_2.png|width=100%]]}}} || ||<|2> '''출생''' ||[[1974년]] [[7월 29일]] ([age(1974-07-29)]세) || ||[[홋카이도]] [[삿포로시]] [[키타구(삿포로)|키타구]] || || '''현직''' ||제49대 [[중의원]] 의원[br][[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대표[br]입헌민주당 종합선거대책본부장||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width=160]]}}} || || '''링크''' ||[[https://www.izumi-kenta.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https://twitter.com/izmkenta|[[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instagram.com/kenta.izumi.9/|[[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이시카와정립 하나카와키타 소학교 {{{-2 (졸업)}}}[br]이시카와정립 하나카와키타 중학교 {{{-2 (졸업)}}}[br]홋카이도 삿포로카이세이 고등학교 {{{-2 (졸업)}}}[br][[리츠메이칸대학]] 법학부 {{{-2 ([[법학]] / 학사)}}} || || '''정당'''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 '''파벌''' ||[[신정권연구회]] (전 회장) || || '''지역구''' ||[[교토부 제3구|교토 3구]] → 긴키 권역 비례대표 → 교토 3구 || || '''의원선수''' ||'''7''' (중) || || '''의원대수'''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3''']],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4''']],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5''']],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6''']][*A 석패율 비례대표],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7''']][*A 석패율 비례대표][* 지역구에서 당선된 미야자키 겐스케의 불륜에 따른 사직으로 치뤄진 보궐선거에 나가 당선],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8''']],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9''']] || || '''약력''' ||[[후쿠야마 데쓰로]] 참의원 비서[br][[교토부 제3구]] [[중의원]][br][[내각부]] 대신정무관[br][[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 국회대책위원장[br][[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br]국민민주당 정무조사회장[br][[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정무조사회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현재 [[교토부 제3구]] [[중의원]]이자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대표이다. == 생애 == 1974년 7월 29일, [[홋카이도]] [[삿포로시]] [[키타구(삿포로)|키타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이즈미 노리오는 [[이시카리시]]의회 의원이었다. 이시카와정립 하나카와키타 소학교, 이시카와정립 하나카와키타 중학교, 홋카이도 삿포로카이세이 고등학교[* 삿포로의 시립학교로 도쿄의 명문사학 [[카이세이 고등학교]]와는 무관하다.]를 거쳐 [[리츠메이칸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대학 졸업 후에는 [[후쿠야마 데쓰로]] 의원의 비서로 취직했다. 2000년, [[밀레니엄 총선]]에 [[교토부 제3구]]에서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공천을 받아 출마했으나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의 오쿠야마 시게히코에 겨뤘고 패배했는데, 비례대표 중복 입후보도 했으나 구원도 못 받고 낙선했다. 하지만 2003년 [[매니페스토 총선]]에서 지난번에 패배했던 오쿠야마를 꺾고 초선했다. 이후 연달아 당선되고 2009월 출범한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에서 내각부대신 정무관으로 취임해 [[간 나오토]] 내각에서도 역임한다. 허나 2012년 12월 민주당이 대패한 [[가미카제 총선]]에서 자민당의 미야자키 겐스케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 하지만 석패율제로 긴키 비례블록에서 부활했다. 역시 2014년 12월의 [[제2차 소비세 총선]]에서도 다시 미야자키에 패배했으나 비례대표로 부활했다. 2015년 1월에 열린 민주당 대표 선거에서는 [[호소노 고시]]의 추천인이 되었다. 2016년 4월 미야자키 의원의 불륜 사건으로 교토 3구가 공석이 되자 실시된 교토부 제3구 보궐선거에 [[민진당(일본)|민진당]] 공천으로 출마하게 된다. 비례에서 자동 탈퇴하고 그의 자리는 기타가미 게이로가 앞당겨 당선되고 그는 교토부 제3구에서 당선된다. 2017년 10월 3일에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에 공천을 신청했고, [[교토부 제5구]]에 배정된 [[이노우에 가즈노리]]와 함께 교토 신청자를 끝냈다. 그렇게 [[국난 돌파 총선]]에서 당선, 희망의 당 국회대책위원장에 취임했다. 2018년 5월 7일 민진당과 희망의 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에 입당하여 국회대책위원장을 역임하게 되고, 9월 11일부터 당 정무조사회장에 임명된다. 이즈미 의원은 11일,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가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과의 합류 신당 불참을 표명한 것을 두고 우리와 함께 행동할 수 있도록 설득하고 싶다라고 번의를 재촉할 생각을 나타냈다.[[https://headlines.yahoo.co.jp/hl?a=20200811-00427732-kyt-l26|#]] 이를 볼 때 이즈미는 신당에 참가하는 듯하다. 그리고 신당 대표 출마도 가진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00903/k10012599051000.html?utm_int=news-new_contents_list-items_001|#]] 하지만 [[에다노 유키오]]에게 패배했다. 이후, 정조회장에 임명되었다. [[하타 유이치로]]의 사망 후 "어찌 이런 일이.... 며칠 전에도 만났습니다. 완전히 믿을 수 없습니다....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고 밝혔다.[[https://mobile.twitter.com/office50824963?ref_src=twsrc%5Egoogle%7Ctwcamp%5Eserp%7Ctwgr%5Eauthor|#]] === 입헌민주당 대표 시절 === [[2021년 입헌민주당 대표 선거]]에 1년전 통합신당 대표선거에 이어 다시 한번 출마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11117/k10013350921000.html|#]] 이번에는 결선투표 끝에 [[오사카 세이지]] 후보를 꺾고 제2대 입헌민주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국민민주당(2018년)|舊 국민민주당]] 출신이라 그 보수 성향에 대한 당 일각에 우려가 있었음에도 승리한 것은 그만큼 의원을 비롯해 평당원 및 지지층에 이르기까지 총선 참패 이후 당에 대한 변화 요구가 크게 표출된 것으로 분석된다.[[https://nordot.app/838297901957054464?c=39546741839462401|#]] 선출 직후 자신과 대표 선거에서 다퉜던 [[오사카 세이지]] 의원을 대표대행으로, [[니시무라 지나미]] 의원을 간사장으로, [[오가와 준야]] 의원을 정무조사회장으로 지명하면서 빠르게 계파를 안배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11201/k10013369721000.html|#]] 남은 당 지도부 인사는 12월 6일, 임시국회 소집 이전까지 결정하겠다고 밝혔다.[[https://www.asahi.com/articles/ASPD16QKGPD1UTFK00Z.html|#]] 그리고 당초 공약대로 집행 임원 12명 중 절반이 여성으로 구성되게 임명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11206/k10013376431000.html|#]] 다만 신 지도부 출범 이후로 입헌민주당 지지율이 다시 하락세를 그리고 있는데 오히려 에다노란 야권의 나름 거물이 퇴장하면서 그나마 있던 여론의 관심을 벗어나기도 했고, 신 지도부가 딱히 새로운 존재감을 보여주지도 못하고 있기 때문. 4월 17일에는 원래 자민당에 우호적인 언론들까지 나서 이즈미 대표를 비롯한 야당 지도부들을 향해 투쟁심을 가지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실제로 같은 달 7일에 기시다 총리의 대표 정책 중 하나인 경제안전보장추진법안에 스스로 찬성표를 던지는 아연실색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64061|#]][* 오죽하면 기시다 총리에게 별로 인기가 없지만 아베 총리 이상으로 야당 복이 넘친다면서 비아냥거리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다.] [[2022년]] [[6월 8일]], [[인플레이션]] 대처 미흡 등을 이유로 [[제2차 기시다 내각]]에 대한 불신임안을 대표 발의했다. 물론 자민-공명 연립여당이 중의원 과반을 훨씬 넘게 확보하고 있는만큼 부결되겠지만 7월에 있을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를 앞두고 여당과의 투쟁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08_0001900093&cID=10101&pID=10100|#]] 6월 9일, 내각 불신임안이 부결된 후 본격적인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정국이 되자, 생활안전보장(生活安全保障)을 내세우며 일본에도 찾아온 고물가에도 금리 인상 등 정책적 대응을 하지 않고 있는 기시다 내각을 비판[* 특히 물가 문제와 관련하여 '기시다 인플레'라고 부르며 맹공을 펼치고 있다. 닛케이 여론조사에서도 기시다 총리를 향한 안정적인 지지율에도 불구 물가 상승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https://www.yna.co.kr/view/AKR20220622033200073|64%]]로 과반을 훌쩍 넘겼다.]하고 물가 안정, 교육 무상화 등 민생 이슈를 전면으로 세웠다. 2012년 [[아베 신조]] 2차 내각 출범 이후 이후 주로 [[평화헌법]] 수호를 명분으로 내세웠던 앞선 참원선 선거운동과는 대비되는 모습. 참원선 이후 패배를 이유로 [[에다노 유키오]] 전 대표를 비롯해 [[오카다 가쓰야]] 전 부총리, [[노다 요시히코]] 전 총리 등 당 원로들이 지도부 교체를 고려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어,[* 당대표 선출 이후 반짝했던 지지율이 이후 이즈미 지도부의 갈지자 행보에 실망해 빠지면서 관서 지역정당인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와 2위 경쟁을 펼치고 있는 [[안습]]한 상황이 되었기 때문.] 이즈미 대표로서는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사활을 걸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정치 성향 == 舊 민주당 시절에는 [[마에하라 세이지]]가 이끄는 료운카이에 속한 당내 대표적인 보수파 정치인으로 [[일본국 헌법]] 개정도 찬성하는 입장이었지만, 2021년 10월에 열린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9회 중원선]]을 앞두고 열린 앙게이트 조사에 따르면 호헌파로 선회했다. 그 외 핵무장에도 반대하며, 선택적 부부별성 제도 도입과 동성혼 합법화, 여성 덴노제, 탈원전 등에 찬성 입장을 밝혔다. 한국 관련해선 '재일 한국인을 비롯한 영주 외국인 주민의 법적 지위 향상을 추진하는 의원 연맹'에 가입되어 있으며, [[외국인 참정권]]도 찬성하는 입장이다. [[집단적 자위권]]을 반대하는 입장이어서 [[다마키 유이치로]], [[쓰지모토 기요미]]와 함께 플래카드를 들고 반대하기도 했다. == 소속 정당 == || '''{{{#ffffff 소속}}}''' || '''{{{#ffffff 기간}}}''' || '''{{{#ffffff 비고}}}'''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000 - 2016 || 정계 입문 || || [include(틀:민진당(일본))] || 2016 - 2017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희망의 당 합류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2017 - 2018 || 창당 || ||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 2018 - 2020 || 합당[* [[민진당(일본)|민진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020 - || 합당[*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과 신설 합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0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 [[교토 3구]] ||<|6> [include(틀:민주당(일본))] || 57,536 (31.54%) || 낙선 (2위) || || || 2003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4,052 (46.79%)''' ||<|3> '''당선 (1위)''' || '''초선''' || || 2005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92,249 (42.72%)''' || '''재선''' || || 2009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21,834 (54.58%)''' || '''3선''' || || 2012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8,735 (31.52%)''' ||<|2> 낙선 (2위)[br]'''석패율제 당선''' || '''4선''' || || 2014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4,900 (33.11%)''' ||<|2> '''5선'''[* 2016.04.12 사퇴 (중원선 보궐선거 출마)] || || 2016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 || [include(틀:민진당(일본))] || '''65,051 (65.43%)''' ||<|3> '''당선 (1위)''' || || 2017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63,013 (38.30%)''' || '''6선''' || || 2021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89,259 (48.19%)''' || '''7선''' || == 기타 == *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의 유튜브에 출연했다.[[https://youtu.be/7gk2pxEgPW8|#]] == 둘러보기 == [include(틀:일본의 원내정당대표)] [include(틀:일본 제49대 중의원 의원/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일본 제48대 중의원 의원/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민주당(일본)의 계파 분류)] [include(틀:민진당(일본)의 계파 분류)]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의 계파 분류)]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의 계파 분류)] [include(틀:입헌민주당의 계파 분류)] [include(틀:긴키 지방의 국회의원)] [[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당 대표/일본]][[분류: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민진당(일본) 국회의원]][[분류:희망의 당(2017년) 국회의원]][[분류:국민민주당(2018년) 국회의원]][[분류:입헌민주당(2020년) 국회의원]][[분류:제43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4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5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6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7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8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9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1974년 출생]][[분류:키타구(삿포로시) 출신 인물]][[분류:홋카이도 삿포로카이세이 고등학교 출신]][[분류:리츠메이칸대학 출신]][[분류:일본의 정치인 자녀]][[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 [include(틀:포크됨, title=이즈미 겐타, version=127)]더위키에 나무위키판으로 포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