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310 r127 RAW 2022-06-22 10:40:11에 w2에서 r127판 포크됨[include(틀:에어버스의 항공기)] [include(틀:에어버스의 민항기 역사)] || [[파일:a312.jpg|width=100%]] || || '''[[KLM 네덜란드 항공|KLM Royal Dutch Airlines]], A310-200''' || || [[파일:a313.jpg|width=100%]] || || '''[[에미레이트 항공|EMIRATES]], A310-300'''[* 지금은 대형 광동체 천국이지만 2000년대 중반까진 에미레이트가 지금처럼 유명하지 않았기에 작은 기체가 많았다.] || '''Airbus A310''' [목차] == 개요 == [[에어버스]]에서 개발한 중, 단거리용 광동체 [[여객기]]. [[A300]]를 단축하여 항속거리를 늘린 파생형으로, 1982년 4월에 초도 비행을 하였고, 이듬해인 1983년 4월에 상업운항을 시작하여 1998년에 단종되었다. 총 255대가 생산되어 2020년 현재 38대(15%)가 운용되고 있다. 기본형인 -200 외에 화물기종 -200C와 중량증가형 -300이 있다. 광동체라는 것이 전혀 믿기지 않을 정도의 짧고 뚱뚱한 외형이 특색이다.[* 그도 그럴것이 길이는 [[협동체]]인 [[A321]] 정도밖에 안되는데 동체 폭은 [[A330]]과 완전히 똑같은 2-4-2 배열의 광동체이기 때문이다.][* A320 패밀리 중 가장 긴 A321의 전장은 44.51m로 A310과 2m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참고로 과거에 판매되었던 협동체기 중 가장 긴 [[DC-8|DC-8-61/63/71/73]]은 [[A330|A330-200]]에 맞먹는 57.1m이며, 현재 운용되는 기체 중에서는 [[보잉 757|보잉 757-300]]의 전장이 54.4m로 A310보다 길다.] [[A300]]과 같이 당대의 경쟁 기종([[보잉 747]], [[맥도넬 더글라스]] [[DC-10]] 등)에 비해 비교적 작은 크기로 중거리 국제 노선을 운항할 수 있어 주로 유럽이나 제3세계 항공사들에게 잘 팔렸다. 특이하게 미국의 [[팬 아메리칸 항공|팬암]]도 18대를 구입했다. 현재는 서방 제재로 신조 기체를 구매하지 못하는 [[이란]]의 마한 항공이 최대 운용사이다. 보잉의 [[보잉 767|B767-200]]과 경쟁했다. 수송량 측면에서 두 기종은 매우 비슷했기 때문이다. 두 기종은 모두 경쟁에서 호각을 이루었다. A310이 255대, B762가 기본형/ER 포함 249대가 팔렸다. 다만 762에는 2011년 사업이 개시된 파생 공중급유기인 [[KC-46]]을 포함하지 않는다. 여객기로 운용된 후 [[FedEx]]에서 주력 중형 화물기로 운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거의 모든 기체가 퇴역한 상태로, 이 외에도 [[벨기에]], [[프랑스]], [[캐나다]] 등에서는 군용 항공기로 운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 루프트바페의 [[A310 MRTT]], 캐나다 공군의 CC-150 Polaris가 있다. A310의 포지션은 이후 직접 계승하는 대체 기종이 없으나, 대륙간 노선이 운항 가능한 광동체 기종으로서는 [[A330]]-200이 가깝다. 반대로 중거리 소규모 노선 운항 목적으로는 최대 좌석수가 240석까지 늘어난 [[A320neo 패밀리|A321neo LR]]로 대체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캐나다의 [[에어 트란셋]](Air Transat)은 보유하고 있던 A310을 모두 A321neo LR로 교체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기체로 대서양 횡단 노선까지 운항하고 있다.] 만약 [[A321neo|A321XLR]]까지 출시된다면 1:1 대체가 가능할 전망이다. 추가로 현재는 경쟁사 보잉이 과거 A310과 767이 차지했던 자리를 노리고 신형 중형기 [[보잉 797|NMA]]를 구상중이다. [[에어버스]] 기종 중, [[사이드스틱]]형 조종간이 아닌 [[요크#s-3]]형 조종간이 장착되어 있는 기종은 [[A300]]과 이 기종 뿐이다. 이후 개발된 기종은 모두 사이드스틱을 적용한다. 2022년 6월 기준으로 민간에서는 총 20대가 운항중이다. [[https://www.planespotters.net/operators/Airbus/A310|참고자료]] == 제원 == 출처 : [[https://www.airbus.com/content/dam/corporate-topics/publications/backgrounders/techdata/aircraft_characteristics/Airbus-Commercial-Aircraft-AC-A310-Dec-2009.pdf|A310 AIRPLANE CHARACTERISTICS FOR AIRPORT PLANNING]], [[https://www.easa.europa.eu/sites/default/files/dfu/EASA_TCDS_EASA.A.172_Issue4_11-03-2019.pdf|EASA Type Certificate Data Sheet]][* 중량은 기본 생산분인 WV000 기준으로, 실제 기체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 ||<:> '''A310-200''' ||<:> '''A310-300''' || ||||<:> '''운항승무원''' ||||<:> 2 |||| ||||<:> '''표준좌석수''' ||<:> 237[* 단일 클래스 배치 기준.] ||<:> 243[* 단일 클래스 배치 기준.] || ||||<:> '''최대좌석수''' ||||<:> 275 |||| ||||<:> '''길이''' ||||<:> 46.66 m |||| ||||<:> '''폭''' ||||<:> 43.90m |||| ||||<:> '''날개면적''' ||||<:> 219 m² |||| ||||<:> '''높이''' ||||<:> 15.80 m |||| ||||<:> '''동체폭''' ||||<:> 5.64 m |||| ||||<:> '''최대연료탑재량''' ||<:> 55,100 L ||<:> 61,090 L[* 환산시 16,132 미국 갤런, 47,940 kg.] |||| ||||<:> '''자체중량'''[* Operational empty weight. 기체 자중 외에 운항시 필수적인 시설과 소모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치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기내식 카트, 화장실 정화수에 조종사용 매뉴얼까지 들어간다.] ||<:> 79,207 kg(CF6), 79,166 kg(JT9D) ||<:> 79,207 kg(CF6), 77,397 kg(JT9D), [br] 79,166 kg(PW4000) || ||||<:> '''최대이륙중량''' ||<:> 132,000 kg[* WV011 144,000 kg.] ||<:> 150,000 kg[* WV013 164,000 kg.] || ||||<:> '''항속거리''' ||<:> 2,600nmi[*4,800km][* MTOW 132t, 237명 탑승 기준.][br]3,500nmi[*6,500km][* MTOW 142t, 237명 탑승 기준.] ||<:> 4,200 nmi[*7,800km][* MTOW 150t, 243명 탑승 기준.][br]5,150nmi [*9,540km][* MTOW 164t, 240명 탑승 기준.] || ||||<:> '''최대순항속도''' ||||<:> 마하 0.84(1,029km/h) |||| ||<:><|3> '''엔진 x2''' ||<:> '''[[GE]]''' ||<:> [[CF6]]-80 (45,800~48,000 lb)[* 세부형식별로는 -203/203C (-80A3), -204 (-80C2A2).] ||<:> CF6-80C2 (48,000 lb)[* -304 (-C2A2), -308 (-C2A2 또는 -C2A8).] || ||<:> '''[[P&W]]''' ||<:> [[JT9D]]-7R4 (45,800~47,500 lb)[* -221 (-7R4D1), -222 (-7R4E1).] ||<:> JT9D-7R4E1 (47,500 lb)[* -322.][br][[PW4000]] (49,200 lb)[* -324 (PW4152), -325 (PW4156A).] || == 베리에이션 == === A310-200 (A310) === [[파일:N805PA.jpg|width=100%]] '''[[팬 아메리칸 항공|PAN AM]], N805PA''' 초기 양산형으로, 단거리 형식이다. 초기형에는 윙팁 펜스가 없었으나, 1985년부터 윙팁 펜스가 붙는다. 추가 파생형으로 화물기형인 -200F와 화물-여객 전환이 가능한 -200C형이 있다. === A310-300 (A310) === [[파일:D-AHLA.jpg]]'''[[TUI fly|HAPAG-LLOYD]], D-AHLA''' 최대이륙중량과 항속거리가 증가한 장거리 형식이다. 윙팁 펜스가 존재한다. 추가 파생형으로 화물기형 -300F가 있다. === [[A310 MRTT]] === [[파일:A310 MRTT.jpg]] '''[[독일 공군|LUFTWAFFE]], 10+27''' 군용 다목적 [[공중급유기]]. [[EADS]]의 제안으로 중고 A310을 개조했다. 캐나다 공군과 독일 공군이 각각 2대와 4대를 보유하고 있다. == 사건/ 사고 == 2021년 현재 A310의 동체 손실 사고는 총 12건이다. 아래에 열거한 사고 중 기체 결함으로 발생한 사고는 없고, 거의 100% 조종사 과실이다. * 1992년 7월 31일, [[타이항공 311편 추락 사고]], 탑승자 113명 전원 사망. * 1994년 3월 23일, [[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사고]][* 어린아이가 조종간을 건드리고, 러시아 조종사들이 서방제 기종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이 더해져 일어난 사고다. 자세한 건 본 문서로.], 탑승자 75명 전원 사망. * 1995년 3월 31일, [[타롬항공 371편 추락 사고]], 탑승자 60명 전원 사망. * 1998년 12월 11일, 타이항공 261편 추락사고, 탑승자 146명 중 101명 사망, 45명 생존. * 2000년 1월 30일, 케냐 항공 431편 추락사고, 탑승자 179명 중 169명 사망, 10명 생존. * 2000년 7월 12일, Hapag-Lloyd 항공 3378편 착륙 사고. 탑승자 151명 전원 생존. * 2006년 7월 9일, [[S7 항공 778편 활주로 이탈 사고]], 탑승자 203명 중 125명 사망, 78명 생존. * 2007년 3월 12일,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6편 이륙 사고, 탑승자 250명 전원 생존. * 2008년 6월 10일, 수단 항공 109편 추락사고, 탑승자 214명 중 30명 사망, 184명 생존. * 2009년 6월 30일, [[예메니아 항공 626편 추락 사고]][* 조종사의 공간감각 상실로 인해 혼란 속에서 실속해 바다로 추락. 참고로 [[에어프랑스 447편 추락 사고|에어 프랑스 447편]]이 대서양에 추락한 지 한 달도 안 되어 또 다시 에어버스사의 비행기가 추락해 이때 에어버스가 상당히 이미지를 많이 까먹혔다.], 탑승자 153명 중 152명 사망, '''1명 생존.''' [* 유일한 생존자는 13세의 여자아이였다. 생존자 수색 중 잔해더미에서 탈진해 있는 상태로 발견되어 구조되었다.] * 2010년 10월 31일, 터키항공 6417편 활주로 이탈 사고, 탑승자 전원 생존.[* 정확한 탑승인원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화물기였기에 2명이 탑승했을것으로 추측된다.] * 2019년 10월 18일, 캐나다 공군 CC-150[* [[A310 MRTT]]의 캐나다 공군 버전으로 총 5대가 인도되었다.] 지상충돌 사고, 탑승자 없음. == 여담 == * 항공사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인 [[에어타이쿤 시리즈]]에서는 A310-200F, -300F와 동급의 항속거리와 적재량을 갖춘 항공기가 없어 단종 후엔 많은 유저들을 빡가게 한다. * 에어버스에서 만든 민항기 중 제일 인지도가 낮다.[* 보잉에서는 [[B717]]이 이와 비슷한 상황이지만, 문서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B717은 애초에서 보잉에서 개발했다고 보기 힘들다.] * 이슬람권에서 유난히 인기가 있는지 전술한 현역 A310 20대 중 단 2대를 빼면 모두 이슬람권 국가에서 운용중이고, 특히 [[이란]] 한 국가에서만 무려 13대의 A310이 현역이다. == 참고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C%96%B4%EB%B2%84%EC%8A%A4_A310|(한국어 위키백과) 에어버스 A310]] * [[https://en.wikipedia.org/wiki/Airbus_A310|(영문 위키백과) Airbus A310]] [[분류:에어버스]] [[분류:항공기]][[분류:1982년 공개]][[분류:1983년 출시]][[분류:1998년 단종]]보낼 RAW[include(틀:에어버스의 항공기)] [include(틀:에어버스의 민항기 역사)] || [[파일:a312.jpg|width=100%]] || || '''[[KLM 네덜란드 항공|KLM Royal Dutch Airlines]], A310-200''' || || [[파일:a313.jpg|width=100%]] || || '''[[에미레이트 항공|EMIRATES]], A310-300'''[* 지금은 대형 광동체 천국이지만 2000년대 중반까진 에미레이트가 지금처럼 유명하지 않았기에 작은 기체가 많았다.] || '''Airbus A310''' [목차] == 개요 == [[에어버스]]에서 개발한 중, 단거리용 광동체 [[여객기]]. [[A300]]를 단축하여 항속거리를 늘린 파생형으로, 1982년 4월에 초도 비행을 하였고, 이듬해인 1983년 4월에 상업운항을 시작하여 1998년에 단종되었다. 총 255대가 생산되어 2020년 현재 38대(15%)가 운용되고 있다. 기본형인 -200 외에 화물기종 -200C와 중량증가형 -300이 있다. 광동체라는 것이 전혀 믿기지 않을 정도의 짧고 뚱뚱한 외형이 특색이다.[* 그도 그럴것이 길이는 [[협동체]]인 [[A321]] 정도밖에 안되는데 동체 폭은 [[A330]]과 완전히 똑같은 2-4-2 배열의 광동체이기 때문이다.][* A320 패밀리 중 가장 긴 A321의 전장은 44.51m로 A310과 2m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참고로 과거에 판매되었던 협동체기 중 가장 긴 [[DC-8|DC-8-61/63/71/73]]은 [[A330|A330-200]]에 맞먹는 57.1m이며, 현재 운용되는 기체 중에서는 [[보잉 757|보잉 757-300]]의 전장이 54.4m로 A310보다 길다.] [[A300]]과 같이 당대의 경쟁 기종([[보잉 747]], [[맥도넬 더글라스]] [[DC-10]] 등)에 비해 비교적 작은 크기로 중거리 국제 노선을 운항할 수 있어 주로 유럽이나 제3세계 항공사들에게 잘 팔렸다. 특이하게 미국의 [[팬 아메리칸 항공|팬암]]도 18대를 구입했다. 현재는 서방 제재로 신조 기체를 구매하지 못하는 [[이란]]의 마한 항공이 최대 운용사이다. 보잉의 [[보잉 767|B767-200]]과 경쟁했다. 수송량 측면에서 두 기종은 매우 비슷했기 때문이다. 두 기종은 모두 경쟁에서 호각을 이루었다. A310이 255대, B762가 기본형/ER 포함 249대가 팔렸다. 다만 762에는 2011년 사업이 개시된 파생 공중급유기인 [[KC-46]]을 포함하지 않는다. 여객기로 운용된 후 [[FedEx]]에서 주력 중형 화물기로 운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거의 모든 기체가 퇴역한 상태로, 이 외에도 [[벨기에]], [[프랑스]], [[캐나다]] 등에서는 군용 항공기로 운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 루프트바페의 [[A310 MRTT]], 캐나다 공군의 CC-150 Polaris가 있다. A310의 포지션은 이후 직접 계승하는 대체 기종이 없으나, 대륙간 노선이 운항 가능한 광동체 기종으로서는 [[A330]]-200이 가깝다. 반대로 중거리 소규모 노선 운항 목적으로는 최대 좌석수가 240석까지 늘어난 [[A320neo 패밀리|A321neo LR]]로 대체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캐나다의 [[에어 트란셋]](Air Transat)은 보유하고 있던 A310을 모두 A321neo LR로 교체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기체로 대서양 횡단 노선까지 운항하고 있다.] 만약 [[A321neo|A321XLR]]까지 출시된다면 1:1 대체가 가능할 전망이다. 추가로 현재는 경쟁사 보잉이 과거 A310과 767이 차지했던 자리를 노리고 신형 중형기 [[보잉 797|NMA]]를 구상중이다. [[에어버스]] 기종 중, [[사이드스틱]]형 조종간이 아닌 [[요크#s-3]]형 조종간이 장착되어 있는 기종은 [[A300]]과 이 기종 뿐이다. 이후 개발된 기종은 모두 사이드스틱을 적용한다. 2022년 6월 기준으로 민간에서는 총 20대가 운항중이다. [[https://www.planespotters.net/operators/Airbus/A310|참고자료]] == 제원 == 출처 : [[https://www.airbus.com/content/dam/corporate-topics/publications/backgrounders/techdata/aircraft_characteristics/Airbus-Commercial-Aircraft-AC-A310-Dec-2009.pdf|A310 AIRPLANE CHARACTERISTICS FOR AIRPORT PLANNING]], [[https://www.easa.europa.eu/sites/default/files/dfu/EASA_TCDS_EASA.A.172_Issue4_11-03-2019.pdf|EASA Type Certificate Data Sheet]][* 중량은 기본 생산분인 WV000 기준으로, 실제 기체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 ||<:> '''A310-200''' ||<:> '''A310-300''' || ||||<:> '''운항승무원''' ||||<:> 2 |||| ||||<:> '''표준좌석수''' ||<:> 237[* 단일 클래스 배치 기준.] ||<:> 243[* 단일 클래스 배치 기준.] || ||||<:> '''최대좌석수''' ||||<:> 275 |||| ||||<:> '''길이''' ||||<:> 46.66 m |||| ||||<:> '''폭''' ||||<:> 43.90m |||| ||||<:> '''날개면적''' ||||<:> 219 m² |||| ||||<:> '''높이''' ||||<:> 15.80 m |||| ||||<:> '''동체폭''' ||||<:> 5.64 m |||| ||||<:> '''최대연료탑재량''' ||<:> 55,100 L ||<:> 61,090 L[* 환산시 16,132 미국 갤런, 47,940 kg.] |||| ||||<:> '''자체중량'''[* Operational empty weight. 기체 자중 외에 운항시 필수적인 시설과 소모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치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기내식 카트, 화장실 정화수에 조종사용 매뉴얼까지 들어간다.] ||<:> 79,207 kg(CF6), 79,166 kg(JT9D) ||<:> 79,207 kg(CF6), 77,397 kg(JT9D), [br] 79,166 kg(PW4000) || ||||<:> '''최대이륙중량''' ||<:> 132,000 kg[* WV011 144,000 kg.] ||<:> 150,000 kg[* WV013 164,000 kg.] || ||||<:> '''항속거리''' ||<:> 2,600nmi[*4,800km][* MTOW 132t, 237명 탑승 기준.][br]3,500nmi[*6,500km][* MTOW 142t, 237명 탑승 기준.] ||<:> 4,200 nmi[*7,800km][* MTOW 150t, 243명 탑승 기준.][br]5,150nmi [*9,540km][* MTOW 164t, 240명 탑승 기준.] || ||||<:> '''최대순항속도''' ||||<:> 마하 0.84(1,029km/h) |||| ||<:><|3> '''엔진 x2''' ||<:> '''[[GE]]''' ||<:> [[CF6]]-80 (45,800~48,000 lb)[* 세부형식별로는 -203/203C (-80A3), -204 (-80C2A2).] ||<:> CF6-80C2 (48,000 lb)[* -304 (-C2A2), -308 (-C2A2 또는 -C2A8).] || ||<:> '''[[P&W]]''' ||<:> [[JT9D]]-7R4 (45,800~47,500 lb)[* -221 (-7R4D1), -222 (-7R4E1).] ||<:> JT9D-7R4E1 (47,500 lb)[* -322.][br][[PW4000]] (49,200 lb)[* -324 (PW4152), -325 (PW4156A).] || == 베리에이션 == === A310-200 (A310) === [[파일:N805PA.jpg|width=100%]] '''[[팬 아메리칸 항공|PAN AM]], N805PA''' 초기 양산형으로, 단거리 형식이다. 초기형에는 윙팁 펜스가 없었으나, 1985년부터 윙팁 펜스가 붙는다. 추가 파생형으로 화물기형인 -200F와 화물-여객 전환이 가능한 -200C형이 있다. === A310-300 (A310) === [[파일:D-AHLA.jpg]]'''[[TUI fly|HAPAG-LLOYD]], D-AHLA''' 최대이륙중량과 항속거리가 증가한 장거리 형식이다. 윙팁 펜스가 존재한다. 추가 파생형으로 화물기형 -300F가 있다. === [[A310 MRTT]] === [[파일:A310 MRTT.jpg]] '''[[독일 공군|LUFTWAFFE]], 10+27''' 군용 다목적 [[공중급유기]]. [[EADS]]의 제안으로 중고 A310을 개조했다. 캐나다 공군과 독일 공군이 각각 2대와 4대를 보유하고 있다. == 사건/ 사고 == 2021년 현재 A310의 동체 손실 사고는 총 12건이다. 아래에 열거한 사고 중 기체 결함으로 발생한 사고는 없고, 거의 100% 조종사 과실이다. * 1992년 7월 31일, [[타이항공 311편 추락 사고]], 탑승자 113명 전원 사망. * 1994년 3월 23일, [[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사고]][* 어린아이가 조종간을 건드리고, 러시아 조종사들이 서방제 기종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이 더해져 일어난 사고다. 자세한 건 본 문서로.], 탑승자 75명 전원 사망. * 1995년 3월 31일, [[타롬항공 371편 추락 사고]], 탑승자 60명 전원 사망. * 1998년 12월 11일, 타이항공 261편 추락사고, 탑승자 146명 중 101명 사망, 45명 생존. * 2000년 1월 30일, 케냐 항공 431편 추락사고, 탑승자 179명 중 169명 사망, 10명 생존. * 2000년 7월 12일, Hapag-Lloyd 항공 3378편 착륙 사고. 탑승자 151명 전원 생존. * 2006년 7월 9일, [[S7 항공 778편 활주로 이탈 사고]], 탑승자 203명 중 125명 사망, 78명 생존. * 2007년 3월 12일,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6편 이륙 사고, 탑승자 250명 전원 생존. * 2008년 6월 10일, 수단 항공 109편 추락사고, 탑승자 214명 중 30명 사망, 184명 생존. * 2009년 6월 30일, [[예메니아 항공 626편 추락 사고]][* 조종사의 공간감각 상실로 인해 혼란 속에서 실속해 바다로 추락. 참고로 [[에어프랑스 447편 추락 사고|에어 프랑스 447편]]이 대서양에 추락한 지 한 달도 안 되어 또 다시 에어버스사의 비행기가 추락해 이때 에어버스가 상당히 이미지를 많이 까먹혔다.], 탑승자 153명 중 152명 사망, '''1명 생존.''' [* 유일한 생존자는 13세의 여자아이였다. 생존자 수색 중 잔해더미에서 탈진해 있는 상태로 발견되어 구조되었다.] * 2010년 10월 31일, 터키항공 6417편 활주로 이탈 사고, 탑승자 전원 생존.[* 정확한 탑승인원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화물기였기에 2명이 탑승했을것으로 추측된다.] * 2019년 10월 18일, 캐나다 공군 CC-150[* [[A310 MRTT]]의 캐나다 공군 버전으로 총 5대가 인도되었다.] 지상충돌 사고, 탑승자 없음. == 여담 == * 항공사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인 [[에어타이쿤 시리즈]]에서는 A310-200F, -300F와 동급의 항속거리와 적재량을 갖춘 항공기가 없어 단종 후엔 많은 유저들을 빡가게 한다. * 에어버스에서 만든 민항기 중 제일 인지도가 낮다.[* 보잉에서는 [[B717]]이 이와 비슷한 상황이지만, 문서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B717은 애초에서 보잉에서 개발했다고 보기 힘들다.] * 이슬람권에서 유난히 인기가 있는지 전술한 현역 A310 20대 중 단 2대를 빼면 모두 이슬람권 국가에서 운용중이고, 특히 [[이란]] 한 국가에서만 무려 13대의 A310이 현역이다. == 참고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C%96%B4%EB%B2%84%EC%8A%A4_A310|(한국어 위키백과) 에어버스 A310]] * [[https://en.wikipedia.org/wiki/Airbus_A310|(영문 위키백과) Airbus A310]] [[분류:에어버스]] [[분류:항공기]][[분류:1982년 공개]][[분류:1983년 출시]][[분류:1998년 단종]] [include(틀:포크됨, title=A310, version=127)]더위키에 나무위키판으로 포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