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E/과거 거쳐갔던 스타들 r433 RAW 2022-06-22 10:38:13에 w2에서 r433판 포크됨[목차] == 개요 == 여기 수록된 것 외에도 무지무지하게 많다. 정확히 알고 싶다면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WWE_alumni|여기를 참조할 것.]] WWE에선 활동한적 없는 스타들중 WCW에서만 활동한 스타는 이름옆에 ★을, ECW에서만 활동한 스타는 이름옆에 ♥를 붙일것, 이건 WCW와 ECW가 WWE에 인수합병된만큼 저작권이 WWE에 있기때문. 단, 2000년대에 WWE내에서 잠시 부활했던 ECW 브랜드에서만 활동했을경우엔 로우나 스맥다운처럼 WWE내의 브랜드인만큼 WWE를 거쳐간것으로 부류되므로 이름옆에 ♥를 붙이지 않는다. == 목록 == * [[AJ 리]] * [[AOP]] * [[아캄#s-8]] * [[레자#s-4]] * [[쥬스 로빈슨|CJ 파커]] - NXT에서 핵심 자버(...)로 활약했으나 2015년 NXT를 떠나 제이슨 알버트의 주선으로 현재는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쥬스 로빈슨]]이라는 이름으로 활동 중이다. * [[CM 펑크]] * [[스티브 루윙턴|DJ 가브리엘]] * [[EC3]] - 2013년까지 데릭 베이트먼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다가 그해 8월 방출된 후 임팩트 레슬링에서 이덴 카터 3세로 기믹을 바꾼 후 탑스타로 활약했다. * [[어윈 R. 샤이스터|I.R.S.]] (어윈 R 샤익스터 / Irwin R. Schyster) - 세금 공무원 기믹으로 활약했고 달러맨 [[테드 디비아시]]와 태그팀 챔피언을 지내기도 했다. [[브레이 와이어트]]와 [[보 댈러스]]의 아버지이다. * [[KUSHIDA]] - ''''Time Spliter''''. [[타지리]]의 제자로 신일본 주니어 헤비급 디비전의 강자로 이름을 날렸다. * [[TJP]] - [[WWE 더 크루저웨이트 클래식]]에 우승하면서 초대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에 등극하였던 필리핀계 미국인 레슬러. * 가렛 딜런 - 영화배우이자 가수인 [[크리스 크리스토퍼슨]]의 아들. * [[갓파더(프로레슬러)|갓파더]] - 파파 샹고, 카마 무스타파라는 기믹으로도 활동했다. * [[강그렐#s-2|강그렐]] * [[거너 스캇]] * [[게일 킴]] * [[더스틴 로즈|골더스트]] * [[그란 메탈릭]] * [[그레고리 헴즈]] - WWE에서는 슈퍼히어로 허리케인 기믹으로 활동했다. * [[그레이트 칼리]] - 빅 쇼보다도 더 큰 인도태생의 최장신 거인레슬러. * 그렉 해밀턴 - 스맥다운에서 활동했던 남성 인터뷰어 겸 링 아나운서. ~~원 폴이 찰지다~~ 2019년 들어선 커미셔너 셰인 맥맨의 갑질에 매주 곤욕을 치루고 있다가 2021년 말에 퇴사한다. * [[내쉬 카터]] - '''재커리 웬츠'''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한 선수. * [[PAC|네빌]] - 전형적인 하이플라이어 레슬러로, '레드 애로우'라는 기계체조에서나 볼 수 있는 공중 회전 피니쉬를 구사하며, '중력을 거스르는 자'라는 별명을 얻고 있다. 하지만 자신에 대한 회사의 태도에 불만을 가지고 방출을 신청했으나 회사는 받아들이지 않던 끝에 계약 기간 만료로 WWE를 나왔다고 한다. * [[네이선 존스]] * [[넬슨 프레지어]] - 메이블, 비세라, 빅 대디 V 등의 닉네임으로 활약했다. * [[노 웨이 호세]] - 파티광 기믹의 히스패닉 레슬러. 한국에서 어학원 강사로 일했던 손꼽히는 이색 이력의 소유자. * [[눈지오]] * [[뉴 에이지 아웃로즈]] * [[빌리 건]] * 로드 독 * [[니디아]] * [[니콜 배스]] * [[다니엘 퓨더]] * 다샤 푸엔테스 * [[다코타 카이]] - 뉴질랜드 출신으로 인디 계에선 '''이비'''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 [[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 * 대니 도링 * [[대니 버치]] * [[브라이언 대니얼슨|대니얼 브라이언]] - 실력과 스타성을 모두 갖춘 YES 무브먼트의 탑페이스. 한때 뇌진탕으로 선수생활을 중단하고 스맥다운의 단장으로 활동한 적도 있었다. * 더 군 - 하키 선수 기믹으로 활동했던 레슬러. 레슬매니아 17 기믹 배틀로얄에도 참가했었다. * [[더들리 보이즈]] * [[버버 레이 더들리]] * [[디본 더들리]] * [[드웨인 존슨|더 락]] * [[TMD|K더 마이티]] * 쉐인 쏜 * 닉 밀러 * [[더 캣]] * 더 패트리어트 - 90년대 중후반에 활동했던 성조기 바탕의 마스크를 쓰고 활동한 애국자 기믹이엇으며 커트 앵글의 테마를 앵글보다 먼저 사용했다. * [[더스티 로즈]] - [[더스틴 로즈|골더스트]]와 [[코디(프로레슬러)|코디 로즈]]의 아버지[* 2015년 6월 11일 사망.] * [[던 마리]] * [[데몰리션(프로레슬링)|데몰리션]] - WWE 역사상 최장기간 태그팀 챔피언을 지낸 락 그룹 [[KISS]]와 유사한 기믹의 전설의 태그팀. 원래는 Ax, Smash 두 명으로 데뷔했으나 Crush가 들어오면서 얼마 뒤 Ax가 은퇴. * 액스(빌 에디) * 스매쉬(랜디 쿨리 → 배리 다소우) * 데빈 테일러 * [[데미안 샌도우]] - 舊 아이돌 스티븐스, 데미안 미즈도우 * [[데브라 마샬]] * [[데스몬드 트로이]] * [[데이브 테일러]] - WCW & WWE에서 활동한 영국 레슬러. * [[데이비 보이 스미스 주니어|데이빗 하트 스미스]] - 브리티쉬 불독 데이비 보이 스미스의 아들. * [[덱스터 루미스]] - TNA를 포함해 여러 단체에서 '''새뮤얼 쇼'''로 활동한 선수. * [[도리안 막]] * 도미노 * [[도잉크 더 클라운]] * [[듀크 드로즈]] * [[드라코 안소니]] - 부커 T의 제자. * [[드레이크 매버릭]] - 205 라이브의 초대 단장. TNA에서 락스타 스퍼트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었다. 빈스 맥마흔에 의해 2번 방출당했다. * [[드로즈(프로레슬러)|드로즈]] * [[디 어센션]] - 코너와 빅터로 이루어진 태그팀. [[NXT]]에서 태그팀 디비젼의 미래로 불리우며 최장기 태그팀 챔피언으로 군림했던 꽤나 오래된 태그팀이지만 인지도는 낮다. * [[디오나 퍼라조]] * [[딘 말렌코]] - 상당한 테크니션으로 WCW 크루저웨이트 디비전의 핵심이었지만 WWE에서는 큰 활약을 하지는 못했다. * [[딜로 브라운]] * [[존 목슬리|딘 앰브로스]] - 2012년 실드로 데뷔하여, 활동. 이 후 막가파 기믹에 브롤러 경기 방식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막바지 이상한 기믹으로 활동하다가 실패. 그 후 WWE와의 재계약을 거부하고, 2019년 4월 8일부로 탈단함. * 라 레지스탕스 - 멤버마다 각각 싱글로써의 경기력은 좋지만 태그팀쪽 경기력이 최악인 태그팀. * [[실반 그리니어]] * [[르네 듀프리]] * [[랍 콘웨이]] * [[라나(프로레슬러)|라나]] - [[미로(프로레슬러)|루세프]]의 아내로 어린시절 동유럽에 살다 와서인지 동유럽식 억양을 쓴다. * [[라스 설리반]] - ''''Rocky Mountain Monster''''. 포스트 브록 레스너라 불리울 정도의 빅맨 레슬러였지만 여러 구설수에 오르다가 방출된 선수. * [[라이백]] * [[제이 브래들리|라이언 브래독]] * [[랍 밴 댐]] * [[랜디 새비지]] * [[랜스 스톰]] * 랜스 캐시디 * [[랜스 케이드]] * 레베카 디피에트로 - ECW 리포터로 활동한 디바서치 출신 3기 참가자. * [[레이븐(프로레슬러)|레이븐]] * [[레이첼 엘러링]] - 폴 엘러링의 딸. * [[레일라(프로레슬러)|레일라]] - 2006년 디바서치 우승자 * [[렉스 루거]] - WCW에서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도 여러 차례 했지만 WWE에서는 잠시 메인이벤터로 올라가긴 했지만 [[브렛 하트]]에 밀려 챔피언을 차지하진 못했다. 브렛 하트와 [[로얄럼블]] 공동 우승자가 되기도 했다. * [[로드니 맥]] - 재즈의 남편. * [[로드킬(프로레슬러)|로드 킬]] * [[로디 파이퍼]] * 로렌 존스 - 스맥다운에서 잠깐 디바로 활동했지만 경기한번 한적 없는 여성. * [[로버트 안소니]] - '''에고티스티코 판타스티코'''로 알려진 레슬러. 제휴단체에서 활동하다 방출되었지만 NXT(2017년) & RAW(2018년)에 잠깐 출연한 적이 있다. * [[로사 멘데스]] - 디바서치 출신으로 저질 경기력에 급료도둑으로 있다 나가버린 여성. * [[로지(프로레슬러)|로지]] * 로첼 로웬 * [[로코 락]] * [[론 시몬스]] * [[롭 그롱카우스키]] * [[루나 버숀]] * [[루비 라이엇]] - 여러 인디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하이디 러브레이스라는 이름으로 유명하다. * [[미로(프로레슬러)|루세프]] - ''''Bulgarian Brute''''. [[리키시]]와 [[강그렐#s-2]]의 제자. [[불가리아]] 출신 최초로 북미 프로레슬링에 입성한 기록을 세웠다. 반미 기믹으로 활동하며 한때 러시아인 기믹이기도 했다. * [[루써 레인즈]] * [[루크 갤로우스]] * [[브로디 리|루크 하퍼]] - 브로디 리라는 링네임으로 인디단체를 돌아다니며 활동했다. * [[르네 영]] - 백스테이지 인터뷰어 및 WWE 내 각종 방송의 호스트로 활동했으며, 2018년 하반기에는 RAW 최초의 여성 풀 타임 아나운서로 발탁, 중계 테이블에 안착하게 되었다. 입사 초기부터 [[ESPN]]에서 러브콜을 보냈을 정도로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아나운서. * [[리게로]] - 커다란 뿔이 달린 복면을 쓰고 활동하는 루차도르이다. 인디에서는 엘 리게로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선수. * 리나 야다 - 스맥다운, ECW에서 리포터로 활동한 일본계 미국인. * [[리바이벌(프로레슬링)|리바이벌]] * 스캇 도슨 * 대쉬 와일더 * [[리오 러쉬]] * [[리온 러프]] * [[리치 스완]] * 리치 브렌넌 - NXT의 아나운서였으나 2016년 5월 퇴사 * [[리치 스팀보트]] - [[리키 스팀보트]]의 아들 * [[리키 오티즈]] * [[리타(프로레슬러)|리타]] * [[헤수스 로드리게스|리카르도 로드리게스]] - [[알베르토 델 리오]]의 전용 스페인어 링 아나운서였다가 델 리오와 틀어져서 랍 밴 댐의 매니저로, 그 이후 스패니쉬 해설진에 참여했다. 수련단체에서는 "엘 로칼"이란 링 네임으로 본업인 루차도르 프로레슬러로도 활동.[* 생긴것과는 다르게 엄청 무서운곳에서 레슬링을 했다. 초 하드코어 레슬링을 했던 선수] * 리코 콘스탄티노 - 경호원 출신으로 38살에 레슬러로 데뷔한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 딱 8경기 뛰고 WWE에 스카우트 되었을 정도로 재능 하나는 확실했고 데뷔 후 보여준 경기력이나 기믹수행도 나무랄게 없었으나 나이가 아쉬웠던 케이스. 2002년 척&빌리[* 척 팔롬보와 빌리 건.] 태그팀 매니저로 데뷔했고 이 후 결성한 첫 스테이블 쓰리 미닛 위닝 시기에는 욕을 무진장 먹었으나 호모 기믹의 솔로로 전향한 후 매니저로 미스 재키를 동행하고 꽤 인기몰이를 했다. 이후 로스터 드래프트로 스맥다운으로 이적하고 [[찰리 하스]]와 WWE 태그팀 챔피언에 오르고 반응도 메인이벤터들 못지 않았으나 2005년 방출. 은퇴 후 경찰학교에 입학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후 경찰이 되어 현재도 근무 중. 호모 기믹전에는 엄청 터프한 스타일이었고 실제 살아온 인생도 파란만장했다.[* 경호원 시절 이름만 말하면 알만한 유명인사들을 경호하며 세계를 돌아다녔는데 수만명 군중이 난동을 일으키거나 요인의 식사에서 독극물이 검출되는 등 영화에서 나올법한 일들을 겪었다고 한다.] 우연히 리코와 차를 얻어타고 가다 그의 경호원 시절 에피소드를 들은 [[타지리]]는 자신은 너무 편하게 살아온 거 같다는 술회를 남겼다. 한편 릭 플레어에게 승리를 얻어낸적도... * [[리키 스팀보트]] * [[리키쉬]] * [[릭 루드]] * [[릭 마텔]] * [[릭 플레어]] * [[린세 도라도]] * [[릴리안 가르시아]] - WWE에서 15년간 활약했던 여성 링 아나운서. [[레슬매니아]] 같은 빅 이벤트나 독립기념일 주간에 미국 국가나 애국노래를 부르는 가수역할도 소화한다. 2016년 계약이 만료되어 퇴사. * [[아파 아노아이 주니어|마누]] - 아파 아노아이의 아들. * [[마리나 샤피르]] - 론다 로우지 & 셰이나 베이즐러 & 제사민 듀크의 친구이자 [[로데릭 스트롱]]의 아내다. * [[마리아 카넬리스]] * [[마우로 라날로]] - 스맥다운, NXT 해설자로 활동한 캐나다인. * [[마이크 녹스]] * 마이크 맥거크 - WWF 최초의 여성 링 아나운서. * [[마이크 카넬리스]] - 마리아 커넬리스의 실제 남편으로 '마이크 베넷'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 마이클 헤이즈 * 마커스 루이스 - 프랑스 출신 선수. [[웨이드 바렛]] & [[드류 맥킨타이어]]와는 절친이다. * [[마커스 코어 본]] - 몬티 브라운으로 활약한 선수. * [[마크 메로]] - [[세이블]]의 전 남편. * [[마크 진드락]] * [[마크 헨리]] * [[마티 자네티]] - [[숀 마이클스]]와 함께 태그팀 [[락커즈]]로 상당기간 활동했고 이후 숀 마이클스의 배신으로 팀이 해체된 뒤 한동안 서로 대립하였고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에도 올랐다. * 말콤 비븐스 - 인디단체에서 '''스토켈리 해서웨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흑인선수로 WWE에 입성하면서 선수가 아닌 매니저 역할로 활동했다.. * [[매 영]] - 1939년부터 활동한 전설적인 디바 * [[맥신]] * [[맷 모건]] * [[맷 블룸]] - 현 WWE 퍼포먼스 센터의 코치. 선수 시절엔 알버트, A-트레인, 로드 텐사이로 활동했다. * [[맷 스트라이커]] - 전직 교사 출신 레슬러이자 해설자. * [[머피(프로레슬러)|머피]] * [[메르세데스 마르티네즈]] * [[메이븐(프로레슬러)|메이븐]] * [[메이슨 라이언]] - 웨일즈 출신의 슈퍼스타. 데뷔 당시, 한때 짭티스타라는 별명과 동시에 큰 임펙트를 남긴 뉴 넥서스 멤버였지만 [[랜디 오턴]]의 활약과 잦은 부상으로 묻혀 NXT로 강등당해 '웨일즈의 바티스타'란 별명으로 재포장되었지만 데뷔한 지 약 3년만에 방출. 인디 레슬러로 활약하다가 현재는 태양의 서커스에 취직했다고 한다. * [[멜리나]] * 멕시쿨스 * [[후벤투드 게레라]] * [[사이코시스]] * [[수퍼 크레이지]] * [[모조 롤리]] * [[몰리 할리]] * [[무하마드 핫산]] * [[미셸 맥쿨]] - 디바서치 출신으로 [[언더테이커]]의 부인. 다수 여성레슬러들의 몰락의 원인제공자. * [[미스터 앤더슨|미스터 케네디]] * [[미스터 퍼펙트]] (커트 헤닉) * [[미시 하이엇]] * [[미아 임]] - [[한국계 미국인]] 레슬러로 TNA에서 제이드로 활동한 선수. WWE 입성 후 커리오조차 못만들고 메인입성 후 레트리뷰션에 포함되는 최악의 상황까지 이어지며 빈스로 인해 활용되지 않다가 방출당한다. * [[미키 제임스]] * [[믹 폴리]] * [[MJ 젠킨스]] * [[바네사 본]] * [[바비 피쉬]] * [[바비 이튼]] * [[데이브 바티스타|바티스타]] - 브록 레스너의 계보를 잇는 WWE의 파워하우스 레슬러'''였'''다. * 바샴 브라더스 * [[대니 바샴]] * [[더그 바샴]] * [[바바리안(프로레슬러)|바바리안]] * [[발 비너스]] - 본명 숀 몰리. 특유의 끈쩍한 테마와 수건 돌리기가 유명하다. * 발리우드 보이즈 - 인도계 캐나다인 형제 태그팀으로 쌍둥이 기믹이지만 실제론 수니르가 두 살 형이다. 그러나 현실은 자버로 WWE의 불필요한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한 부품.~~WWE에 있으나마나인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스테이블~~ * [[수니르 싱]] * [[사미르 싱]] * [[밥 백런드]] * [[밥 오턴 주니어]] - 랜디 오턴의 아버지. * [[밥캣(프로레슬러)|밥캣]] - 갓 파더의 여자들중 한명. * [[배드 뉴스 브라운]] * [[배리 윈드햄]] - 블랙잭 윈드햄, 스토커 * [[배리 호로위츠]] * [[배스천 부거]] * [[랜스 아처|밴스 아처]] - TNA에서 랜스 호잇으로 활동. * 뱀 닐리 - 차보 게레로와 다니다가 싱글로 활동한 빅맨. * [[뱀뱀 비겔로우]] * 바니 - 애덤 로즈가 대리고 다니던 마스코트 * [[버디 란델]] * [[버디 로즈]] * [[버사 페이]] * [[버서커(프로레슬러)|버서커]] * [[버질(프로레슬러)|버질]] * [[버프 배그웰]] * 베로니카 레인 * [[베스 피닉스]] * [[베어캣 리]] - 체격과 안맞게 화려한 기술을 구사하는 파워풀한 흑인 거구 선수. * [[베이더]] * [[벨라 트윈스]] * [[브리 벨라]] * [[니키 벨라]] * [[벨베틴 드림]] - [[CZW]] 등지에서 활동하기도 했으며 [[터프 이너프]] 2016시즌에 출연한 이력이 있다. 과거 '래비싱' [[릭 루드]]를 연상하게 할 정도로 자의식 과잉 나르시스트 연기력이 출중한 흑인 프로레슬러였지만 스피킹아웃이 터지면서 기믹이 실제 성격과도 같아 위상이 땅에 떨어지면서 인성문제가 심각해 메인로스터에서 활동하지도 못한채 방출된다. * [[벨벳 맥킨타이어]] * [[보 댈러스]] - 'I.R.S' 마이크 로툰다의 차남이자 [[브레이 와이어트]]의 친동생. * [[보리스 주코브]] * [[볼스 마호니]] * [[부기맨(프로레슬러)|부기맨]] * [[부치 리드]] * [[불 나카노]] * [[불 뷰캐넌]] * [[불 제임스|불 뎀프시]] * [[뷸라 맥길리커티|뷸라]] - 타미 드리머의 아내. * [[브라이언 켄드릭]] * [[브라이언 필먼]] - 풋볼 선수 출신으로 하트 던전을 거쳐 WCW,ECW를 거쳐 WWE에서는 브렛, 오웬, 데이비 보이 스미스, 짐 니드하트와 함께 하트 패밀리의 일원으로 활약하였고 [[스티브 오스틴]]과도 퓨드를 맺었다. 1997년 10월 활발한 활동 도중 PPV 경기를 앞두고 심장마비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 [[몬트리올 스크류잡]]이 일어나 하트 패밀리가 해체하기 한 달 전이다.] * [[브라이언 클락]] * [[라이언 네메스|브라일리 피어스]] - 돌프 지글러의 동생. * 브래드 매덕스 - 2013년 7월 RAW 단장으로 승진. 하지만, 어소리티의 바지단장이었고, 결국 해임. 각본상 해고되어 방송에 등장하지 않고 있지만 WWE와의 계약은 남아 있는 상태였지만 잘못된 발언으로 완전 방출 * [[크리스 해리스|브래든 워커]] - TNA에서 크리스 해리스로 일려진 선수. 2008년에 WWE와 계약맺고 ECW에서 활동하지만 1년도 활동 못하고 방출. * [[브레이 와이어트]] - ''''The Fiend''''. IRS의 장남, 前 허스키 해리스. 괴기 기믹 스테이블 [[와이어트 패밀리]]의 리더였던 괴기 기믹계의 계승자. 경기력은 많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대립 형성 능력과 서사, 마이크웤, 프로모 능력, 신선했던 기믹과 수행력 등 준수한 경기 외적 요소들을 바탕으로 5년여간 간간이 찾아오던 커리어적 위기를 헤쳐나가며 불사조 같은 위상을 자랑했으나, 여태까지의 버팀목이었던 기믹의 신선도가 떨어지며 팬들의 반응이 점점 악화되었고 [[딜리터스 오브 더 월드]]로 활동 도중 B팀에게 여태껏 지켜왔던 위상마저 박살나며 진정한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The Fiend'라는 [[소시오패스]] 기믹으로 복귀한 후 호평을 받고 있다. * [[브레이크 비버리]] * [[브렛 하트]] * [[브로더스 클레이]] * [[브론 스트로우먼]] * [[브론슨 리드]] - [[PWG]] 등등의 단체에서 '''조나 락'''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호주 출신의 선수. * [[브루노 삼마르티노]] * [[브룩 애덤스]] - 켈리 켈리, 레일라와 같이 익스트림 익스포제로 활동하다 WWE에서 별 활약을 못하고 TNA에 가서 활약한 여성. * [[브룩클린 브롤러]] - 자버 중에서 가장 성공한 자버.. 실제로는 프로레슬러라기보다는 운영진이다. 카말라의 매니저로도 활동한적이 있다. 당시 이름은 김치(kimchee) * "더 바버" [[브루투스 비프케익|브루투스 비프케이크]] - [[헐크 호건]] 시절 초창기에 활약한 대표적 미드카더. 또한 호건의 어릴적 친구이다. * 브리스코 브라더스 * 잭 브리스코 * [[제럴드 브리스코]] * [[브리장고]] * [[판당고]] * [[타일러 브리즈]] * [[브리티시 불독]] (데이비 보이 스미스) - 영국 출신의 파워형 레슬러로 브렛 하트의 여동생과 결혼한 하트 패밀리의 일원이다.[* 2000년에 이혼했다.] 미드카더 급에서 좋은 활약을 했지만 2002년 심장마비로 사망. * [[블라디미르 코즐로프]] -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2014-15년의 [[미로(프로레슬러)|루세프]]와 비슷한 이미지로 초반 급푸쉬를 받았으나 실패하고 버로우. * [[블루 미니]] * [[리바 베이츠|블루 팬츠]] * [[비키 게레로]] - 前 스맥다운 단장. [[에디 게레로]]의 미망인으로 지금은 WWE를 떠나 레슬링 외의 업계에 종사할 * [[빅 비토]] * [[빅 쇼]] * [[빅 보스 맨]] (레이 트레일러) * [[caZXL|빅 캐스]] * [[빅토리아(프로레슬러)|빅토리아]] * [[빌 디못]] - 은퇴 후 WWE 트레이너로 재직했다가 여러 문제를 일으켜 퇴사. * [[빌리 잭 하인즈]] * [[빌리 케이]] * [[빌리 키드먼]] - 토리 윌슨의 전 남편으로도 유명하며, WCW 시절에는 경량급 디비전의 대표적 선수 중 한명이기도 한 슈팅 스타 프레스의 대가. 현재는 WWE의 프로듀서로 일하고 있다. * [[사라 로건]] - 인디단체에서는 크레이지 메리 돕슨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여성 레슬러. * [[사리나 산두]] - ''''The Warrior Princess''''. 인디단체에서 '''사마라'''로 활동한 인도계 미국인 여성레슬러. * [[사모아 조]] - ''''The Samoan Submission Machine''''. 안티 WWE 세력의 거물이었으나 NXT를 통해 WWE에 입성하면서 메인로스터로 이적했지만 빈스 맥마흔으로 인해 뜨지도 못하고 부상도 당해 해설로 활동하다가 방출당한 후 빈스를 제외한 트리플H & 수뇌부들이 재영입하면서 선수가 아닌 윌리엄 리갈을 보조하는 조력자 포지션으로 활동하다가 캐리언 크로스와의 대립 이후 통산 3회 NXT 챔피언에 등극하나 바숭 후 트레이너로 활동도중 빈스 맥마흔 및 그의 측근들로 인해 2번째로 방출당한다. * 사반나 - ECW에서 리포터로 활동한 중국계 캐나다인. * [[사이먼 고치]] * [[사이먼 딘|사이먼 딘/노바]] * [[사부(프로레슬러)|사부]] * 사카모토 * [[사이코 시드]] - [[사이코 시드|시드 비셔스]]를 포함 여러 가지 별칭으로 불렸던, 골드버그 이전의 대표적인 빅맨 레슬러다. [[레슬매니아]] 메인 이벤트도 두 번 치른 적이 있지만 아직 명예의 전당에 가입하지는 못한 상태. * 사코다 * [[산타나 개럿]] - TNA에서 브리태니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여성레슬러. 2세대 레슬러로 TNT 케니 G의 딸이다. 메인로스터 콜업을 앞두고 있었지만 빈스 맥매흔이 콜업을 막으면서 메인로스터에서 활약도 못해 해고러쉬로 방출당한다. * [[산티노 마렐라]] - RAW 각본진 수장으로 활동한 브라이언 거위츠의 적극적인 사랑을 받아 푸쉬를 받은 선수로, 다수 선수들을 망쳐놓고 가버린 선수. * [[샤니카]] - 본명은 린다 마일즈. 터프 이너프 시즌 2 공동우승자. 배샴 브라더스의 매니저로 활동하다가 남성 못지않은 괴력을 가진 흑인여성. * [[샤멜]] - [[부커 T]]의 아내. * [[샌드맨(프로레슬러)|샌드맨]] * [[서전 슬로터]] * [[세레나 딥]] * [[세이블]] * [[마리케이트|세이지 베켓]] - 더들리 보이즈의 제자. TNA 넉아웃 출신 여성으로 활동 초기엔 뚱녀였지만 부상으로 인해 체중감량을 했다가, WWE 입성후로 다시 체중증가로 방출당했다. * [[세자로]] - 큰 피지컬, 강력한 파워, 지칠줄 모르는 체력, 뛰어난 운동능력을 겸비하여 스위스 슈퍼맨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세자르 보노니]] * [[센세이셔널 셰리]] * [[션 무니]] * [[션 오헤어]] * [[셰넌 무어]] * [[셰인 더글라스]] - 딘 더글라스 * [[매드맨 풀턴|소이어 풀턴]] - [[SAnitY]] 전 멤버. * [[이벨리스 벨레즈|소피아 코르테즈]] - 터프 이너프 참가자. 과거 NXT에서 활동한 디바. * [[새미 캘러핸|솔로몬 크로우]] - 인디에서 새미 켈러핸이란 이름으로 활약한 선수. 한때 [[딘 앰브로스]](당시 링네임은 존 목슬리)와 스위치블레이드 컨스피러시(Switchblade Conspiracy)라는 태그팀으로 활동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서바이버 시리즈 당일 갑작스럽게 방출 * [[소니 시아키]] * [[숀 마이클스]] * [[숀 스테이시악]] * [[스니츠키]] - 활동 초기엔 '''진 스니츠키'''였다가 스니츠키로 활동하게 된 빅맨. * [[스즈키 히데키]] - 홋카이도 출신의 베테랑 레슬러. * [[브랜디 로렌|스카일러 스토리]] - 임팩트 레슬링 넉아웃으로 활동한 적이 있는 여성. WWE와 계약을 맺었으나 활용되지 않은 끝에 방출당했다. * [[콜트 카바나|스카티 골드만]] - 콜트 카바나로 유명한 선수로 WWE에선 대표적인 자버로 활동한 선수. * [[스캇 홀]] (레이저 라몬) * [[스칼렛(프로레슬러)|스칼렛]] - '''스칼렛 보르도'''로 유명한 여성레슬러로 [[캐리언 크로스]] 의 여자친구. * 스타이너 브라더스 - 릭과 스캇 스타이너 형제로 이루어진 태그팀. 동생인 스캇 스타이너의 독립 이후로 쪼개져 버렸다. * [[릭 스타이너]] - [[스캇 스타이너]]의 형으로 함께 태그팀으로 여러 번 활동했다. * [[스캇 스타이너]] * [[스탄 레인]] * [[스테이시 키블러]] * [[스티브 오스틴]] * [[스티브 코리노]] - 현재 WWE NXT 트레이너 * [[스티븐 던]] * [[스티비 리차드|스티븐 리차드]] * 스티비 레이★ * [[스팅(프로레슬러)|스팅]] - WWE의 언더테이커와 비견되는 WCW의 레전드. 2016년 은퇴. * [[더들리 보이즈#s-2.3|스파이크 더들리]] * 실버스터 르포트 * [[실베스터 터케이]] * [[신 카라]] - 루차 리브레 레슬러로 칼리스토와 루차 드래곤스로 활동하다가 브랜드 분리와 함께 해체, 싱글 레슬러로 복귀했다. 2명의 신 카라가 있으며 현재 활동중인 선수는 2대 신 카라인 우니코. * [[살바토리 신시어]] * 심 스누카 - 지미 스누카의 양아들. 타미나의 의붓오빠. 초창기엔 듀스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했다. * [[써니(프로레슬러)|써니]] * [[써머 래]] - LFL 출신의 여성. 메인에서 판당고의 댄스 파트너로 등장하다가 싱글로 전환 후 루세프의 매니저로도 활동했으나 다시 싱글로 활동하다 방출되었다. * 아나스타샤 로즈 - 2007년에 스맥다운 리포터로 활동한 흑인여성 * 아드난 버크 - 부상으로 해설을 맡던 사모아 조가 레슬매니아 37 이후로 방출되면서 새롭게 합류한 해설이었지만, 사모아 조 만큼 해설을 못해서 활동 7주만에 퇴사한다. * [[아르만도 에스트라다]] * [[아리 스털링]] - [[켄터키 주]] 렉싱턴 출신으로 '''알렉스 제인'''으로 유명한 86년생 선수. 인디에서 촉망받았던 하이플라이어이자 ROH와 GCW, 신일본에서 활동한 레슬러 * [[아리야 디바리]] * [[아미르 조던]] - 파키스탄계 영국인 레슬러. * [[아이보리(프로레슬러)|아이보리]] * 아이언 마이크 샤프 * [[아쟈 콩]] * [[안드라데(프로레슬러)|안드라데]] * [[알 스노우]] * [[알렉산더 울프]] * [[알렉스 라일리]] - 과거 리얼리티 쇼 버전 NXT에서 미즈의 멘티로 나온 선수. 부상이후 한동안 NXT의 해설 팀으로 일했다가 케빈 오웬스의 괴롭힘에 다시 선수 복귀했지만 곧바로 다시 부상을 당했다가 2016년 다시 복귀. 짬밥으로만 따지면 8년차로 NXT 인원들 가운데 가장 오래 WWE에 있었다. * [[알렉스 셸리]] - 정식 소속은 아닌 쿠시다의 파트너로 NXT에 1회성 출연했다. * 알렉스 푸르퇴 * [[알렌 펑크]] * [[알베르토 델 리오]] * [[악사나]] * [[알레이스터 블랙]] * [[알리샤 폭스]] - 모델 출신의 프로레슬러. 선역이 야유받는것 보다 치명적이라는 '''"무반응 선수"'''의 대표주자이자 없다시피한 기믹 + 방해녀 밖에 못하는 삼위일체 시너지를 이뤄 반응 자체인 디바. * [[아투로 루아스]] - 터프 이너프에 잠시 보인적도 있는 레바논계 브라질인 아마추어 레슬러이자 카포에라 달인. 브라질 시장 공략을 위해 영입된 선수인데, 문제는 네임벨류가 높은 선수들과 경기를 가져도 싱글경기에서 지루한 경기만 만든다는 것이 단점. * [[압둘라 더 부처]]♥ - 하드코어한 경기를 치루던 선수이다. * [[앙드레 더 자이언트]] * [[애덤 로즈]] - 과거 레오 크루거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선수로 남아공 출신이다. 파티광이라는 설정이라서 등장음악 같은 것이 꽤 흥이 난다. * [[애덤 콜]] - NXT를 대표하는 인물중 1명으로 언디스퓨티드 에라 리더로 활동했던 ROH 출신 선수. * [[셸리 마르티네즈|애리얼]] - 케빈 쏜의 매니지로 활동한 여성레슬러. * [[애셔 헤일]] - '''안소니 헨리'''로 활동한 선수로, 이볼브, FIP에서 활동한 베테랑 레슬러. * [[애쉴리 마사로]] - 2005년 디바서치 우승자. * 앨리스 애쉬턴 - NXT & 스맥다운에서 백스테이지 인터뷰어로 활동한 여성. * [[어거스트 그레이]] - 본명은 안소니 그린. 인디단체를 오가며 활동한 선수. * 어네스트 밀러 * [[어스퀘이크(프로레슬러)|어스퀘이크]] * [[언더테이커(프로레슬러)|언더테이커]] - ''''The Phenom''''. 30년간 이적 없이 WWE에서만 활동해온 전설 중의 전설. [[서바이버 시리즈 2020]]을 끝으로 은퇴했다. * [[메두사(프로레슬러)|얼룬드라 블레이즈]] * [[얼티밋 워리어]] * [[에디 게레로]] * [[에릭 로완]] * [[에릭 에스코바]] - 스맥다운에서 잠시 활동한적 있는 레슬러. * [[에릭 영]] * [[테닐 대시우드|에마]] * [[에바 마리]] * [[맷 사이달|에반 본]] * 에반 카라기아스★ * [[3.0|에버 라이즈]] * 체이스 파커 * 맷 마텔 * [[킴버 리|에비 레이스]] * 에사 리오스 * [[에이든 잉글리쉬]] - [[에디 게레로]]의 사위. 뮤지컬 배우 출신이라는 점을 살려 [[보드빌런스]]의 일원으로 활동했었고 루세프 데이의 인기몰이에 기여했으나 루세프와의 결별 이후 위상이 급락했었다. * 에이미 웨버 * [[에이프릴 헌터]]★ * [[엑스팍]] * [[엔조 아모레]] * 엘릭스 스키퍼★ * 엘 토리토 - 로스 마타도레스와 같이 나와 투우 퍼포먼스에 소 역할을 하는 소 캐릭터였지만 로스 마타도레스에게 배신 당해 독립. 로프 넘나드는 재주를 보면 알겠지만 멕시코 루차 단체인 AAA에서 Mascarita Dorada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프로레슬러이다. * [[엠버 문]] - [[부커 T]]의 제자. 인디계에선 아테나(Athena)라는 이름으로 유명하며, 트리플H가 상당히 신경쓴 여성레슬러중 1명으로 사기적인 실력을 과시했으나 빈스 맥마흔과 그의 측근들의 지나친 외모와 몸매 차별로 푸쉬를 못받은 안타까운 인재. * [[오니 로컨]] * [[오드리 마리]] - NXT에서 활동했던 디바로, 타일러 브리즈의 아내. * [[오스틴 에리즈]] * [[오웬 하트]] * [[올랜도 조던]] * [[조엘 레드만|올리버 그레이]] * [[요코주나]] - 요코주나 기믹을 맡았지만 실제로는 사모아 출신으로 아노아이 가문의 [[로만 레인즈]], [[더 락]], 리키쉬 등과 친척 관계다. 레슬매니아 메인이벤터로서 [[헐크 호건]], [[브렛 하트]] 등과도 대립했다. * [[요시 타츠]] * [[우마가]] * [[유진(프로레슬러)|유진]] * [[웬디 릭터]] * [[이든 스타일즈]] * [[이브 토레스 그레이시|이브 토레스]] - 2007년 디바서치 우승자 * [[이지키엘 잭슨]] * [[일라이자 버크]] * [[윌리엄 리갈]] - 영국 출신의 베테랑 레슬러. 은퇴 후 NXT 해설자로 활동하다 NXT 단장직을 겸하며 후배양성 및 인디의 유명레슬러들을 시카웃하는데 큰 공을 세우면 트리플 H & 스테파니 맥마흔을 도왔으나 빈스 맥마흔에 의해 버림받아 방출된다. * [[자이언트 곤잘레스]] -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WWE 역대 최대의 거체이자 기네스북 최장신 프로레슬러 부문 보유자. 2010년 사망. * 자이언트 잔지어 - 인도 출신 빅맨 * [[쟈니 가르가노]] - ''''Johnny Wrestling', 'Ultimate Underdog''''. * [[쟈니 스템볼리]] * [[쟈니 스윙어|쟈니 페리시/조 도건]] - 토니 페리시의 조카. * [[재즈(프로레슬러)|재즈]] * [[재지 개버트]] - 독일 출신의 장신의 괴력 여성 레슬러로 매 영 클래식에 참가한 적이 있는 여성으로 [[쵸노 마사히로]]가 그녀의 양부이다. * 젭 콜터 - 前 리얼 아메리칸스(잭 스웨거, 세자로), 잭 스웨거, [[알베르토 델 리오]]의 매니저.[* 과거에는 '엉클 제베카이야'라는 이름으로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저스틴 호크 브래드쇼]]와 해리스 형제로 더 잘 알려진 제이콥/일라이 블루 형제 등의 매니저를 맡기도 했다.]하지만 현재 방출리스트에 오른상태 * [[잭 갤러허]] * [[재클린(프로레슬러)|재클린]] * [[재키 게이다]] - 테프 이너프 시즌 2 공동 우승자이자 찰리 하스의 전 부인. 경기력은 최악수준으로 WWE외에도 TNA에서도 활약한적이 있다. * [[잭 고웬]] * [[잭 라이더]] * [[제이크 헤이거|잭 스웨거]] * [[저스틴 가브리엘]] - NXT와 WWE의 하위 프로그램을 전전하고 있다. 메인 방송이나 PPV에서는 가끔 로얄럼블식 매치에 출전하기도 했다. 2015년 1월 24일자로 퇴사를 선언한다. * [[저스틴 로버츠]] - 전 RAW의 링 아나운서. * [[저스틴 크레더블]] * [[제다 장]] - 중국계 미국인 레슬러. * [[제리 린]] * 제사민 듀크 - [[론다 로우지]] & [[셰이나 베이즐러]] & [[마리나 샤피르]]의 친구. * [[슬램 마스터 J|제시 / 슬램 마스터 J]] - 테리 고디의 아들. * [[제시 바]] - WWE에서 지미 잭 펑크로 활동 * [[제시 카메아]] * [[제우스]] * [[제이다 라미어]] - 부커 T의 제자로 인디에서는 '''AQA'''로 활약한 흑인 여성레슬러. * [[제이미 노블]] * [[제이크 아틀라스]] - 캘리포니아 주 출신의 동성애자 하이플라이어 레슬러로 기량이 뛰어나다. * [[제이크 카터]] - [[베이더]]의 아들 * [[제임스 메이슨(프로레슬러)|제임스 메이슨]] - WWE에서 1회성으로 MVP를 상대로 이긴 비계약 레슬러. * [[제임스 브론슨]] - 자버로 시작해 수련생 계약을 맺었으나 허리부상으로 방출당한 선수. * [[제임스 스톰]] - TNA에서 활동 중 잠시 NXT에 2번 출연했으나 WWE에서 제시한 터무니없는 계약금 제시로 인해 계약을 하지 않았다. * [[제프 제럿]] * [[조나단 코치맨]] * [[조던 마일스]] - 인디에서 ACH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하던 선수. 각종 인디단체 경험이 풍부한 베테랑이다. 티셔츠 관련 사태로 논란이 벌어지면서 퇴사한다. * 조슈아 윌리엄스 - 유튜브 등지에서 'Wrestleflow'로 WWE 테마를 리믹스해 화제가 된 인물. 2019년 4월에 WWE에 합류해 WWE 소속 호스트가 되었으며, 2019년 6월 테이크오버 때, 애덤 콜의 등장신에서 직접 래핑을 한 바 있다. 하반기부터는 백스테이지 인터뷰어로도 활동을 시작했지만 NXT가 빈스 맥마흔 체제로 변하면서 소리소문없이 그만둔다. * 조쉬 매튜스 - 스맥다운 중계팀 아나운서, 터프 이너프 참가자 출신 * [[조쉬 우즈]] * [[조이 머큐리]] * [[조이 스타일스]] * [[조이 지오바니]] * [[조조(WWE)|조조]] * [[조니 그룬지]] * [[존 라우리나이티스]] - 쟈니 에이스로 유명한 인물로 WWE 내에서 악명이 높은 인물. * [[존 모리슨]] - 스타일리쉬하면서도 화려한 기술 방식으로 접수 능력 조차도 출중한 실력을 보여줬던 스턴트맨급 선수. *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 [[지미 왕 양]] - '아키오'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다 카우보이 기믹으로 활동했던 선수. * [[지트 라마]] * [[짐 더간]] * [[짐 나이드하트|짐 "앤빌" 네이드하트]] - 하트 패밀리의 일원으로 [[브렛 하트]]의 누나와 결혼했다. 초창기 브렛 하트와 함께 태그팀 하트 파운데이션으로 활동했고 브렛 하트가 메인이벤터일 때는 하트 패밀리의 일원이었다. 디바 [[나탈리아 네이드하트]]의 아버지. * [[짐 로스]] -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이자 전 해설자 * [[질리언 홀]] * [[차보 게레로]] - [[에디 게레로]]의 조카. * [[차이나(프로레슬러)|차이나]] - 엄청난 근육질에 남성들과 더 경기를 많이 한 독보적인 여성 레슬러였으나 이후 안습 행보를 걷다가 2016년 4월 20일 사망. * [[찰리 카루소]] - RAW의 백스테이지 인터뷰어로 활동하면서, NXT와 병행하다가 2019년부터 RAW 전속이 됐지만, 지각 등으로 인해 2021년에 퇴사한다. * [[찰리 하스]] * [[채드 콜리어]] - 여러단체에서 뛴 적 있는 레슬러. WWE와 계약을 맺었으나 방출당하고, 그 후로 WWE가 틈만나면 자버로 써먹으려고 불렀다. * [[척 팔럼보]] * [[체리(프로레슬러)|체리]] * [[첼시 그린]] - 랜스 스톰의 제자로 WWE 터프 이너프에 참가한적 있던 캐나다 출신 여성레슬러. WWE에 입성하면서 늦장 활용 및 제대로 활용을 안한 WWE로 인해 큰 피해를 본 선수. * [[어썸 콩|카르마]] * 카마초 - [[하쿠]]의 아들 * [[카말라]](제임스 해리스) - 우간다의 거인이란 기믹을 가진 선수로 언더테이커랑 캐스킷 매치를 한적이 있다. * [[카메론(프로레슬러)|카메론]] * [[로우 키|카발]] - 로우 키. 북미 인디 레슬링의 최강자. [[NXT]] 시즌 2 우승자. * 카비타 데비 - 그레이트 칼리의 제자. 유부녀로 하우스쇼에서 부상을 당하면서 2년넘게 등장을 안하는 것 뿐만 아니라 미국에 체류하는 날도 길지 않아 거의 급료도둑이다. * [[카이리 세인]] - 일본 여성 인디단체인 '스타덤'에서 활약한 '호조 카이리'. * 카일 에드워즈 - NXT의 주요 소식을 정리해서 알려주는 방송팀 일원이었으나 2016년 5월 퇴사. * [[카일 오 라일리]] - 바비 피쉬와 함께 ReDragon으로 활동했으며 [[ROH 월드 챔피언십|ROH 월드 챔피언]]도 차지했던 캐나다 출신 깐족 만렙 레슬러. * [[카트리나 코르테즈]] * [[칼 앤더슨]] * [[칼리스토(프로레슬러)|칼리스토]] * [[캐리언 크로스]] - 인디단체에서 '''킬러 크로스'''로 유명한 선수. 트리플H의 많은 관심을 받아 승승장구 했지만 빈스 맥마흔으로 인해 나락을 겪게되면서 방출당한다. * 캐시 켈리 - 백스테이지 인터뷰어이며, [[멘사]]의 현 활동 회원이기도 하다. 소소한 에피소드와 가십 등을 전하는 WWE 네트워크의 브레이킹 뉴스의 진행도 하고 있다가 2020년 NXT 테이크오버 포틀랜드를 끝으로 퇴사. * [[캐시어스 오노]] - 크리스 히어로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CZW, PWG, ROH등에서 활동한 인디 베테랑 프로레슬러. * [[캔디스 르래이]] - [[쟈니 가르가노]]의 아내. * [[캔디스 미셸]] * [[커트 스텔리언]] * [[커트 앵글]] * [[커트 호킨스]] * [[커트니 테일러]] - ECW에서 잠시 리포터로 활동한 여성이자 FCW수련생. * [[커티스 액슬]] - '미스터 퍼펙트' [[커트 헤닉]]의 아들. * 커티스 휴즈 - 미스터 휴즈로도 불렸으며, 탐정 기믹이었다. 90년대 초중반에 활동했던 빅맨인 흑인 선수. * [[톰 라티머|케네스 카메론]] - 샬럿 플레어의 두번째 전남편. * [[케빈 내시]] (디젤) * [[케빈 쏜]]/모데카이 * [[케이틀린(프로레슬러)|케이틀린]] * [[케이티 리]] * [[케인 벨라스케즈]] * [[켄 샴락]] - 앵클 락의 원조. [[UFC]]의 전설적인 격투기 선수. * 켄조 스즈키 * [[켈리 켈리]] * [[코나 리브스]] * 코퍼럴 커쉬너 * [[프리모 앤드 에피코|콜론즈]] * [[칼리토(프로레슬러)|칼리토]] * [[프리모(프로레슬러)|프리모]] * [[에피코]] * 퀘베커스 * [[마운티|자크]] - 기마경관 마운티로 활동 * [[PCO|피에르]] * 크라임 타임 * [[JTG(프로레슬러)|JTG]] * 셰드 개스퍼드 * [[크리스 노윈스키]] * [[크리스 매스터스]] * --[[크리스 벤와]]--[* 가족 살해 건으로 WWE에 의해 사실상 기록 말소. 허나 일부 기록은 암묵적으로 인정되는 듯 하다.] * [[크리스 제리코]] * [[크리스찬(프로레슬러)|크리스찬]] - 찬사마. 기량에 비해 대우가 영 좋지 못해 생애 첫 챔프도 이틀만에 빼앗겼을 정도 * 크리스티 세인트 클라우드 - NXT 링 아나운서 및 백 스테이지 인터뷰어로 활동한 여성. 2018년에 퇴사했다. * [[크리스티 헤미]] - 2004년 디바서치 우승자 * [[크리스탈 마샬]] - 바비 래쉴리의 전 여자친구이자 문제만 일으키고 나간 흑인 여성. * 크리시 베인 - 디 어센션의 코너의 아내. 2007년 중순에 스맥다운에 데뷔해 토리 윌슨을 공격하고 딱 2번만 출연하고 그만둔 여성레슬러. * [[키드 로미오]]★ * [[키드 캐시]] - TNA에서 활약하다 WWE로 온 선수. * 키자니 * [[킬러 켈리]] - 포르투갈 출신으로 유명한 독일의 인디 단체 wXw의 초대 위민스 챔피언이다. * [[킬리언 데인]] - 아일랜드 출신 레슬러. [[니키 크로스]]의 남편 * [[킹 콩 번디]] * [[브로디 스틸|킹맨]] * [[쇼크마스터|터그보트, 타이푼]] - 선원 기믹인 터그보트로 활동하고 어스퀘이크와 함께 태그팀으로도 활동했지만 WCW 시절에 역대급 장면을 만들어냈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 [[타지리]] - 일본 출신이면서도 영어가 상당한 수준으로 WWE에서 제일 성공적인 일본인 레슬러였다. * [[타미 드리머]] * [[타이 딜린저]] - 숀 마이클스 제자 중 한명. * 타이거 알리 싱 * 타이거 청 리 - 본명은 김덕, 김일의 양자이며 제일교포출신이고, WWE 역사상 최초의 한국인선수, 194Cm의 큰키였고, 1982년부터 1987년까지 WWE에서 미드카더,자버로 활동했다. 게다가 링 위에서와 달리 실제론 현피강자중 한명이다. * [[타이나라 콘티]] * [[톰코(프로레슬러)|타이슨 톰코]] - 크리스찬 & 트리쉬의 보디가드 및 스니츠키와 같이 팀으로 다닌 빅맨. * [[타일러 러스트]] * [[타일러 렉스]] - 본래 남자지만, 2021년에 여자로 성전환한 인물. * [[타카 미치노쿠]] - 현재는 주로 신일본에서 '스즈키 팀'의 일원으로 활동 중이다. * [[타탕카(프로레슬러)|타탕카]] * [[터커(프로레슬러)|터커]] * [[테간 녹스]] - 닉슨 뉴웰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영국 웨일스 출신 선수. * [[테드 디비아시]] - 현역 시절 "밀리언 달러 맨"으로 유명한 프로레슬러이자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의 아버지. *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 - 밀리언 달러 맨 [[테드 디비아시]]의 아들. * [[테리 러널스]] * [[테리 펑크]] * [[앤드류 마틴|테스트]] * [[토니 마말룩]] * 토니 게리아 * [[토니 니스]] * [[토니 스톰]] * 토드 그리샴 - 2004~2011년까지 해설 및 인터뷰어로 활약했다. 현재는 ESPN에서 활동중. * [[토리(프로레슬러)|토리]] * [[토리 윌슨]] * [[톰 필립스]] - WWE에서 캐스터 및 아나운서로 활동해왔지만 빈스 맥마흔으로 인해 2021년에 방출당했다. * [[투 쿨]] - 2인조로 이루어진 개그 자버팀. 한때 리키쉬가 참여했지만 로얄럼블을 끝으로 갈라선다. * [[그랜드 마스터 섹세이]] * [[스카티 투 하티]] * [[투 콜드 스콜피오]] * [[트레버 머독]] * [[트레이 백스터]] - '''블레이크 크리스찬'''으로 알려진 레슬러. * [[트리쉬 스트래터스]] * [[트래비스 뱅크스]] - 뉴질랜드 출신의 레슬러 * [[닥 드레이퍼|트래비스 타일러]] * [[트로이 도노반]] - 인디에서 '''콜 카터'''로 활동한 인디레슬러로, AEW 다크에 출연한 적이 있다. * [[트리니티(프로레슬러)|트리니티]] - TNA에서 활동한 적이 있는 ECW에서 활동한 디바. * TL 호퍼/ 엉클 클레터스 * [[티노 사바텔리]] * [[티모시 대처]] * 티안 빙 - 레슬매니아 33에서 벌어진 앙드레 더 자이엔트 배틀로얄에 참가한 중국인 출신 수련생. * [[태린 테럴|티파니]] - [[드류 맥킨타이어]]의 전처. 2010년 11월 20일 WWE에서 방출 * 판타시오 * [[퍼시 왓슨]] - 2009년 WWE의 산하 단체인 FCW를 통해 데뷔하여 2013년까지 NXT에 활동하다 2014년부터 인디에서 활동중인 프로레슬러. 2016년 11월부터 NXT 중계진으로 합류했다가 2019년에 떠났다. * [[퍼시아 피로타]] - '''스테프 드 랜더'''로 활약한 호주 출신의 여성레슬러. * [[팻 패터슨]] * [[페드로 모랄레스]] * [[페뷸러스 물라]] * [[페이튼 로이스]] * [[포가튼 선즈]] * [[잭슨 라이커]] * [[웨슬리 블레이크]] * [[스티브 커틀러]] * [[폴 런던]] * [[폴 버칠]] * [[폴 베어러]] - 괴기스러운 기믹과 연기로 유명했던 언더테이커와 케인의 전 매니저 * [[프랜신 푸르니에]] * [[프랭키 모넷]] - [[존 모리슨]]의 아내. '''타야 발키리'''로 유명한 캐나다 출신 여성레슬러. * [[프랭키 카자리안]] - TNA에서 온 선수. 2005년에 WWE와 계약맺고 스맥다운에서 활동하지만 1년도 활동 못하고 방출. * [[핀레이]] * [[하드코어 할리]] * [[하디 보이즈]] * [[매트 하디]] - 전설의 태그팀 하디 보이즈중에 형. * [[제프 하디]] - ''''The Charismatic Enigma''''. 전설적인 태그팀 [[하디 보이즈]] 중에 동생. 한때는 존 시나에 필적하는 엄청난 스타성도 있었다. * [[하이든라히]] * 하이랜더스 * 로비 맥알리스터 * 로리 맥알리스터 * [[하쿠(프로레슬러)|하쿠]] - 기믹은 강하지 않았지만 실전 실력으로 유명했던 프로레슬러. 싸우다가 상대의 안구를 터뜨린 적도 있다(...). * 하트 드롭스 - WWE에서 활동했던 몇 안되는 개그 자버 스테이블. * 로미오 * 안토니오 * 헤수스 * [[할랜드]] - 본명은 파커 부드로. 브록 레스너와 모습이 닮은 풋볼 경력이 있는 인물로 보고 데려왔으나 빈스 맥마흔에 의해 이상한 기믹으로 활동하며 의미없잉 활동만 하다가 방출당했다. * [[할리 레이스]] * [[헐크 호건]] * 호호 룬 * [[혼스워글]] - 난쟁이 레슬러로 보기 드물게 WWE에서 롱런하며 왜소증 등 성장장애를 앓는 사람들의 영웅이 되었다. * [[홍키 통크 맨]] * [[KENTA|히데오 이타미]] - KENTA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일본인 레슬러. * 히로코 스즈키 - 켄조 스즈키의 아내. * [[히스 슬레이터]] - 과거 WWE의 대표 자버. * [[히트 로우]] * [[아이재이아 스캇]] * [[아샨티 아도니스]] * [[탑 달러]] * [[B-팹]] [각주] [[분류:WWE]]보낼 RAW[목차] == 개요 == 여기 수록된 것 외에도 무지무지하게 많다. 정확히 알고 싶다면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WWE_alumni|여기를 참조할 것.]] WWE에선 활동한적 없는 스타들중 WCW에서만 활동한 스타는 이름옆에 ★을, ECW에서만 활동한 스타는 이름옆에 ♥를 붙일것, 이건 WCW와 ECW가 WWE에 인수합병된만큼 저작권이 WWE에 있기때문. 단, 2000년대에 WWE내에서 잠시 부활했던 ECW 브랜드에서만 활동했을경우엔 로우나 스맥다운처럼 WWE내의 브랜드인만큼 WWE를 거쳐간것으로 부류되므로 이름옆에 ♥를 붙이지 않는다. == 목록 == * [[AJ 리]] * [[AOP]] * [[아캄#s-8]] * [[레자#s-4]] * [[쥬스 로빈슨|CJ 파커]] - NXT에서 핵심 자버(...)로 활약했으나 2015년 NXT를 떠나 제이슨 알버트의 주선으로 현재는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쥬스 로빈슨]]이라는 이름으로 활동 중이다. * [[CM 펑크]] * [[스티브 루윙턴|DJ 가브리엘]] * [[EC3]] - 2013년까지 데릭 베이트먼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다가 그해 8월 방출된 후 임팩트 레슬링에서 이덴 카터 3세로 기믹을 바꾼 후 탑스타로 활약했다. * [[어윈 R. 샤이스터|I.R.S.]] (어윈 R 샤익스터 / Irwin R. Schyster) - 세금 공무원 기믹으로 활약했고 달러맨 [[테드 디비아시]]와 태그팀 챔피언을 지내기도 했다. [[브레이 와이어트]]와 [[보 댈러스]]의 아버지이다. * [[KUSHIDA]] - ''''Time Spliter''''. [[타지리]]의 제자로 신일본 주니어 헤비급 디비전의 강자로 이름을 날렸다. * [[TJP]] - [[WWE 더 크루저웨이트 클래식]]에 우승하면서 초대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에 등극하였던 필리핀계 미국인 레슬러. * 가렛 딜런 - 영화배우이자 가수인 [[크리스 크리스토퍼슨]]의 아들. * [[갓파더(프로레슬러)|갓파더]] - 파파 샹고, 카마 무스타파라는 기믹으로도 활동했다. * [[강그렐#s-2|강그렐]] * [[거너 스캇]] * [[게일 킴]] * [[더스틴 로즈|골더스트]] * [[그란 메탈릭]] * [[그레고리 헴즈]] - WWE에서는 슈퍼히어로 허리케인 기믹으로 활동했다. * [[그레이트 칼리]] - 빅 쇼보다도 더 큰 인도태생의 최장신 거인레슬러. * 그렉 해밀턴 - 스맥다운에서 활동했던 남성 인터뷰어 겸 링 아나운서. ~~원 폴이 찰지다~~ 2019년 들어선 커미셔너 셰인 맥맨의 갑질에 매주 곤욕을 치루고 있다가 2021년 말에 퇴사한다. * [[내쉬 카터]] - '''재커리 웬츠'''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한 선수. * [[PAC|네빌]] - 전형적인 하이플라이어 레슬러로, '레드 애로우'라는 기계체조에서나 볼 수 있는 공중 회전 피니쉬를 구사하며, '중력을 거스르는 자'라는 별명을 얻고 있다. 하지만 자신에 대한 회사의 태도에 불만을 가지고 방출을 신청했으나 회사는 받아들이지 않던 끝에 계약 기간 만료로 WWE를 나왔다고 한다. * [[네이선 존스]] * [[넬슨 프레지어]] - 메이블, 비세라, 빅 대디 V 등의 닉네임으로 활약했다. * [[노 웨이 호세]] - 파티광 기믹의 히스패닉 레슬러. 한국에서 어학원 강사로 일했던 손꼽히는 이색 이력의 소유자. * [[눈지오]] * [[뉴 에이지 아웃로즈]] * [[빌리 건]] * 로드 독 * [[니디아]] * [[니콜 배스]] * [[다니엘 퓨더]] * 다샤 푸엔테스 * [[다코타 카이]] - 뉴질랜드 출신으로 인디 계에선 '''이비'''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 [[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 * 대니 도링 * [[대니 버치]] * [[브라이언 대니얼슨|대니얼 브라이언]] - 실력과 스타성을 모두 갖춘 YES 무브먼트의 탑페이스. 한때 뇌진탕으로 선수생활을 중단하고 스맥다운의 단장으로 활동한 적도 있었다. * 더 군 - 하키 선수 기믹으로 활동했던 레슬러. 레슬매니아 17 기믹 배틀로얄에도 참가했었다. * [[더들리 보이즈]] * [[버버 레이 더들리]] * [[디본 더들리]] * [[드웨인 존슨|더 락]] * [[TMD|K더 마이티]] * 쉐인 쏜 * 닉 밀러 * [[더 캣]] * 더 패트리어트 - 90년대 중후반에 활동했던 성조기 바탕의 마스크를 쓰고 활동한 애국자 기믹이엇으며 커트 앵글의 테마를 앵글보다 먼저 사용했다. * [[더스티 로즈]] - [[더스틴 로즈|골더스트]]와 [[코디(프로레슬러)|코디 로즈]]의 아버지[* 2015년 6월 11일 사망.] * [[던 마리]] * [[데몰리션(프로레슬링)|데몰리션]] - WWE 역사상 최장기간 태그팀 챔피언을 지낸 락 그룹 [[KISS]]와 유사한 기믹의 전설의 태그팀. 원래는 Ax, Smash 두 명으로 데뷔했으나 Crush가 들어오면서 얼마 뒤 Ax가 은퇴. * 액스(빌 에디) * 스매쉬(랜디 쿨리 → 배리 다소우) * 데빈 테일러 * [[데미안 샌도우]] - 舊 아이돌 스티븐스, 데미안 미즈도우 * [[데브라 마샬]] * [[데스몬드 트로이]] * [[데이브 테일러]] - WCW & WWE에서 활동한 영국 레슬러. * [[데이비 보이 스미스 주니어|데이빗 하트 스미스]] - 브리티쉬 불독 데이비 보이 스미스의 아들. * [[덱스터 루미스]] - TNA를 포함해 여러 단체에서 '''새뮤얼 쇼'''로 활동한 선수. * [[도리안 막]] * 도미노 * [[도잉크 더 클라운]] * [[듀크 드로즈]] * [[드라코 안소니]] - 부커 T의 제자. * [[드레이크 매버릭]] - 205 라이브의 초대 단장. TNA에서 락스타 스퍼트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었다. 빈스 맥마흔에 의해 2번 방출당했다. * [[드로즈(프로레슬러)|드로즈]] * [[디 어센션]] - 코너와 빅터로 이루어진 태그팀. [[NXT]]에서 태그팀 디비젼의 미래로 불리우며 최장기 태그팀 챔피언으로 군림했던 꽤나 오래된 태그팀이지만 인지도는 낮다. * [[디오나 퍼라조]] * [[딘 말렌코]] - 상당한 테크니션으로 WCW 크루저웨이트 디비전의 핵심이었지만 WWE에서는 큰 활약을 하지는 못했다. * [[딜로 브라운]] * [[존 목슬리|딘 앰브로스]] - 2012년 실드로 데뷔하여, 활동. 이 후 막가파 기믹에 브롤러 경기 방식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막바지 이상한 기믹으로 활동하다가 실패. 그 후 WWE와의 재계약을 거부하고, 2019년 4월 8일부로 탈단함. * 라 레지스탕스 - 멤버마다 각각 싱글로써의 경기력은 좋지만 태그팀쪽 경기력이 최악인 태그팀. * [[실반 그리니어]] * [[르네 듀프리]] * [[랍 콘웨이]] * [[라나(프로레슬러)|라나]] - [[미로(프로레슬러)|루세프]]의 아내로 어린시절 동유럽에 살다 와서인지 동유럽식 억양을 쓴다. * [[라스 설리반]] - ''''Rocky Mountain Monster''''. 포스트 브록 레스너라 불리울 정도의 빅맨 레슬러였지만 여러 구설수에 오르다가 방출된 선수. * [[라이백]] * [[제이 브래들리|라이언 브래독]] * [[랍 밴 댐]] * [[랜디 새비지]] * [[랜스 스톰]] * 랜스 캐시디 * [[랜스 케이드]] * 레베카 디피에트로 - ECW 리포터로 활동한 디바서치 출신 3기 참가자. * [[레이븐(프로레슬러)|레이븐]] * [[레이첼 엘러링]] - 폴 엘러링의 딸. * [[레일라(프로레슬러)|레일라]] - 2006년 디바서치 우승자 * [[렉스 루거]] - WCW에서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도 여러 차례 했지만 WWE에서는 잠시 메인이벤터로 올라가긴 했지만 [[브렛 하트]]에 밀려 챔피언을 차지하진 못했다. 브렛 하트와 [[로얄럼블]] 공동 우승자가 되기도 했다. * [[로드니 맥]] - 재즈의 남편. * [[로드킬(프로레슬러)|로드 킬]] * [[로디 파이퍼]] * 로렌 존스 - 스맥다운에서 잠깐 디바로 활동했지만 경기한번 한적 없는 여성. * [[로버트 안소니]] - '''에고티스티코 판타스티코'''로 알려진 레슬러. 제휴단체에서 활동하다 방출되었지만 NXT(2017년) & RAW(2018년)에 잠깐 출연한 적이 있다. * [[로사 멘데스]] - 디바서치 출신으로 저질 경기력에 급료도둑으로 있다 나가버린 여성. * [[로지(프로레슬러)|로지]] * 로첼 로웬 * [[로코 락]] * [[론 시몬스]] * [[롭 그롱카우스키]] * [[루나 버숀]] * [[루비 라이엇]] - 여러 인디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하이디 러브레이스라는 이름으로 유명하다. * [[미로(프로레슬러)|루세프]] - ''''Bulgarian Brute''''. [[리키시]]와 [[강그렐#s-2]]의 제자. [[불가리아]] 출신 최초로 북미 프로레슬링에 입성한 기록을 세웠다. 반미 기믹으로 활동하며 한때 러시아인 기믹이기도 했다. * [[루써 레인즈]] * [[루크 갤로우스]] * [[브로디 리|루크 하퍼]] - 브로디 리라는 링네임으로 인디단체를 돌아다니며 활동했다. * [[르네 영]] - 백스테이지 인터뷰어 및 WWE 내 각종 방송의 호스트로 활동했으며, 2018년 하반기에는 RAW 최초의 여성 풀 타임 아나운서로 발탁, 중계 테이블에 안착하게 되었다. 입사 초기부터 [[ESPN]]에서 러브콜을 보냈을 정도로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아나운서. * [[리게로]] - 커다란 뿔이 달린 복면을 쓰고 활동하는 루차도르이다. 인디에서는 엘 리게로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선수. * 리나 야다 - 스맥다운, ECW에서 리포터로 활동한 일본계 미국인. * [[리바이벌(프로레슬링)|리바이벌]] * 스캇 도슨 * 대쉬 와일더 * [[리오 러쉬]] * [[리온 러프]] * [[리치 스완]] * 리치 브렌넌 - NXT의 아나운서였으나 2016년 5월 퇴사 * [[리치 스팀보트]] - [[리키 스팀보트]]의 아들 * [[리키 오티즈]] * [[리타(프로레슬러)|리타]] * [[헤수스 로드리게스|리카르도 로드리게스]] - [[알베르토 델 리오]]의 전용 스페인어 링 아나운서였다가 델 리오와 틀어져서 랍 밴 댐의 매니저로, 그 이후 스패니쉬 해설진에 참여했다. 수련단체에서는 "엘 로칼"이란 링 네임으로 본업인 루차도르 프로레슬러로도 활동.[* 생긴것과는 다르게 엄청 무서운곳에서 레슬링을 했다. 초 하드코어 레슬링을 했던 선수] * 리코 콘스탄티노 - 경호원 출신으로 38살에 레슬러로 데뷔한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 딱 8경기 뛰고 WWE에 스카우트 되었을 정도로 재능 하나는 확실했고 데뷔 후 보여준 경기력이나 기믹수행도 나무랄게 없었으나 나이가 아쉬웠던 케이스. 2002년 척&빌리[* 척 팔롬보와 빌리 건.] 태그팀 매니저로 데뷔했고 이 후 결성한 첫 스테이블 쓰리 미닛 위닝 시기에는 욕을 무진장 먹었으나 호모 기믹의 솔로로 전향한 후 매니저로 미스 재키를 동행하고 꽤 인기몰이를 했다. 이후 로스터 드래프트로 스맥다운으로 이적하고 [[찰리 하스]]와 WWE 태그팀 챔피언에 오르고 반응도 메인이벤터들 못지 않았으나 2005년 방출. 은퇴 후 경찰학교에 입학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후 경찰이 되어 현재도 근무 중. 호모 기믹전에는 엄청 터프한 스타일이었고 실제 살아온 인생도 파란만장했다.[* 경호원 시절 이름만 말하면 알만한 유명인사들을 경호하며 세계를 돌아다녔는데 수만명 군중이 난동을 일으키거나 요인의 식사에서 독극물이 검출되는 등 영화에서 나올법한 일들을 겪었다고 한다.] 우연히 리코와 차를 얻어타고 가다 그의 경호원 시절 에피소드를 들은 [[타지리]]는 자신은 너무 편하게 살아온 거 같다는 술회를 남겼다. 한편 릭 플레어에게 승리를 얻어낸적도... * [[리키 스팀보트]] * [[리키쉬]] * [[릭 루드]] * [[릭 마텔]] * [[릭 플레어]] * [[린세 도라도]] * [[릴리안 가르시아]] - WWE에서 15년간 활약했던 여성 링 아나운서. [[레슬매니아]] 같은 빅 이벤트나 독립기념일 주간에 미국 국가나 애국노래를 부르는 가수역할도 소화한다. 2016년 계약이 만료되어 퇴사. * [[아파 아노아이 주니어|마누]] - 아파 아노아이의 아들. * [[마리나 샤피르]] - 론다 로우지 & 셰이나 베이즐러 & 제사민 듀크의 친구이자 [[로데릭 스트롱]]의 아내다. * [[마리아 카넬리스]] * [[마우로 라날로]] - 스맥다운, NXT 해설자로 활동한 캐나다인. * [[마이크 녹스]] * 마이크 맥거크 - WWF 최초의 여성 링 아나운서. * [[마이크 카넬리스]] - 마리아 커넬리스의 실제 남편으로 '마이크 베넷'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 마이클 헤이즈 * 마커스 루이스 - 프랑스 출신 선수. [[웨이드 바렛]] & [[드류 맥킨타이어]]와는 절친이다. * [[마커스 코어 본]] - 몬티 브라운으로 활약한 선수. * [[마크 메로]] - [[세이블]]의 전 남편. * [[마크 진드락]] * [[마크 헨리]] * [[마티 자네티]] - [[숀 마이클스]]와 함께 태그팀 [[락커즈]]로 상당기간 활동했고 이후 숀 마이클스의 배신으로 팀이 해체된 뒤 한동안 서로 대립하였고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에도 올랐다. * 말콤 비븐스 - 인디단체에서 '''스토켈리 해서웨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흑인선수로 WWE에 입성하면서 선수가 아닌 매니저 역할로 활동했다.. * [[매 영]] - 1939년부터 활동한 전설적인 디바 * [[맥신]] * [[맷 모건]] * [[맷 블룸]] - 현 WWE 퍼포먼스 센터의 코치. 선수 시절엔 알버트, A-트레인, 로드 텐사이로 활동했다. * [[맷 스트라이커]] - 전직 교사 출신 레슬러이자 해설자. * [[머피(프로레슬러)|머피]] * [[메르세데스 마르티네즈]] * [[메이븐(프로레슬러)|메이븐]] * [[메이슨 라이언]] - 웨일즈 출신의 슈퍼스타. 데뷔 당시, 한때 짭티스타라는 별명과 동시에 큰 임펙트를 남긴 뉴 넥서스 멤버였지만 [[랜디 오턴]]의 활약과 잦은 부상으로 묻혀 NXT로 강등당해 '웨일즈의 바티스타'란 별명으로 재포장되었지만 데뷔한 지 약 3년만에 방출. 인디 레슬러로 활약하다가 현재는 태양의 서커스에 취직했다고 한다. * [[멜리나]] * 멕시쿨스 * [[후벤투드 게레라]] * [[사이코시스]] * [[수퍼 크레이지]] * [[모조 롤리]] * [[몰리 할리]] * [[무하마드 핫산]] * [[미셸 맥쿨]] - 디바서치 출신으로 [[언더테이커]]의 부인. 다수 여성레슬러들의 몰락의 원인제공자. * [[미스터 앤더슨|미스터 케네디]] * [[미스터 퍼펙트]] (커트 헤닉) * [[미시 하이엇]] * [[미아 임]] - [[한국계 미국인]] 레슬러로 TNA에서 제이드로 활동한 선수. WWE 입성 후 커리오조차 못만들고 메인입성 후 레트리뷰션에 포함되는 최악의 상황까지 이어지며 빈스로 인해 활용되지 않다가 방출당한다. * [[미키 제임스]] * [[믹 폴리]] * [[MJ 젠킨스]] * [[바네사 본]] * [[바비 피쉬]] * [[바비 이튼]] * [[데이브 바티스타|바티스타]] - 브록 레스너의 계보를 잇는 WWE의 파워하우스 레슬러'''였'''다. * 바샴 브라더스 * [[대니 바샴]] * [[더그 바샴]] * [[바바리안(프로레슬러)|바바리안]] * [[발 비너스]] - 본명 숀 몰리. 특유의 끈쩍한 테마와 수건 돌리기가 유명하다. * 발리우드 보이즈 - 인도계 캐나다인 형제 태그팀으로 쌍둥이 기믹이지만 실제론 수니르가 두 살 형이다. 그러나 현실은 자버로 WWE의 불필요한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한 부품.~~WWE에 있으나마나인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스테이블~~ * [[수니르 싱]] * [[사미르 싱]] * [[밥 백런드]] * [[밥 오턴 주니어]] - 랜디 오턴의 아버지. * [[밥캣(프로레슬러)|밥캣]] - 갓 파더의 여자들중 한명. * [[배드 뉴스 브라운]] * [[배리 윈드햄]] - 블랙잭 윈드햄, 스토커 * [[배리 호로위츠]] * [[배스천 부거]] * [[랜스 아처|밴스 아처]] - TNA에서 랜스 호잇으로 활동. * 뱀 닐리 - 차보 게레로와 다니다가 싱글로 활동한 빅맨. * [[뱀뱀 비겔로우]] * 바니 - 애덤 로즈가 대리고 다니던 마스코트 * [[버디 란델]] * [[버디 로즈]] * [[버사 페이]] * [[버서커(프로레슬러)|버서커]] * [[버질(프로레슬러)|버질]] * [[버프 배그웰]] * 베로니카 레인 * [[베스 피닉스]] * [[베어캣 리]] - 체격과 안맞게 화려한 기술을 구사하는 파워풀한 흑인 거구 선수. * [[베이더]] * [[벨라 트윈스]] * [[브리 벨라]] * [[니키 벨라]] * [[벨베틴 드림]] - [[CZW]] 등지에서 활동하기도 했으며 [[터프 이너프]] 2016시즌에 출연한 이력이 있다. 과거 '래비싱' [[릭 루드]]를 연상하게 할 정도로 자의식 과잉 나르시스트 연기력이 출중한 흑인 프로레슬러였지만 스피킹아웃이 터지면서 기믹이 실제 성격과도 같아 위상이 땅에 떨어지면서 인성문제가 심각해 메인로스터에서 활동하지도 못한채 방출된다. * [[벨벳 맥킨타이어]] * [[보 댈러스]] - 'I.R.S' 마이크 로툰다의 차남이자 [[브레이 와이어트]]의 친동생. * [[보리스 주코브]] * [[볼스 마호니]] * [[부기맨(프로레슬러)|부기맨]] * [[부치 리드]] * [[불 나카노]] * [[불 뷰캐넌]] * [[불 제임스|불 뎀프시]] * [[뷸라 맥길리커티|뷸라]] - 타미 드리머의 아내. * [[브라이언 켄드릭]] * [[브라이언 필먼]] - 풋볼 선수 출신으로 하트 던전을 거쳐 WCW,ECW를 거쳐 WWE에서는 브렛, 오웬, 데이비 보이 스미스, 짐 니드하트와 함께 하트 패밀리의 일원으로 활약하였고 [[스티브 오스틴]]과도 퓨드를 맺었다. 1997년 10월 활발한 활동 도중 PPV 경기를 앞두고 심장마비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 [[몬트리올 스크류잡]]이 일어나 하트 패밀리가 해체하기 한 달 전이다.] * [[브라이언 클락]] * [[라이언 네메스|브라일리 피어스]] - 돌프 지글러의 동생. * 브래드 매덕스 - 2013년 7월 RAW 단장으로 승진. 하지만, 어소리티의 바지단장이었고, 결국 해임. 각본상 해고되어 방송에 등장하지 않고 있지만 WWE와의 계약은 남아 있는 상태였지만 잘못된 발언으로 완전 방출 * [[크리스 해리스|브래든 워커]] - TNA에서 크리스 해리스로 일려진 선수. 2008년에 WWE와 계약맺고 ECW에서 활동하지만 1년도 활동 못하고 방출. * [[브레이 와이어트]] - ''''The Fiend''''. IRS의 장남, 前 허스키 해리스. 괴기 기믹 스테이블 [[와이어트 패밀리]]의 리더였던 괴기 기믹계의 계승자. 경기력은 많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대립 형성 능력과 서사, 마이크웤, 프로모 능력, 신선했던 기믹과 수행력 등 준수한 경기 외적 요소들을 바탕으로 5년여간 간간이 찾아오던 커리어적 위기를 헤쳐나가며 불사조 같은 위상을 자랑했으나, 여태까지의 버팀목이었던 기믹의 신선도가 떨어지며 팬들의 반응이 점점 악화되었고 [[딜리터스 오브 더 월드]]로 활동 도중 B팀에게 여태껏 지켜왔던 위상마저 박살나며 진정한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The Fiend'라는 [[소시오패스]] 기믹으로 복귀한 후 호평을 받고 있다. * [[브레이크 비버리]] * [[브렛 하트]] * [[브로더스 클레이]] * [[브론 스트로우먼]] * [[브론슨 리드]] - [[PWG]] 등등의 단체에서 '''조나 락'''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호주 출신의 선수. * [[브루노 삼마르티노]] * [[브룩 애덤스]] - 켈리 켈리, 레일라와 같이 익스트림 익스포제로 활동하다 WWE에서 별 활약을 못하고 TNA에 가서 활약한 여성. * [[브룩클린 브롤러]] - 자버 중에서 가장 성공한 자버.. 실제로는 프로레슬러라기보다는 운영진이다. 카말라의 매니저로도 활동한적이 있다. 당시 이름은 김치(kimchee) * "더 바버" [[브루투스 비프케익|브루투스 비프케이크]] - [[헐크 호건]] 시절 초창기에 활약한 대표적 미드카더. 또한 호건의 어릴적 친구이다. * 브리스코 브라더스 * 잭 브리스코 * [[제럴드 브리스코]] * [[브리장고]] * [[판당고]] * [[타일러 브리즈]] * [[브리티시 불독]] (데이비 보이 스미스) - 영국 출신의 파워형 레슬러로 브렛 하트의 여동생과 결혼한 하트 패밀리의 일원이다.[* 2000년에 이혼했다.] 미드카더 급에서 좋은 활약을 했지만 2002년 심장마비로 사망. * [[블라디미르 코즐로프]] -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2014-15년의 [[미로(프로레슬러)|루세프]]와 비슷한 이미지로 초반 급푸쉬를 받았으나 실패하고 버로우. * [[블루 미니]] * [[리바 베이츠|블루 팬츠]] * [[비키 게레로]] - 前 스맥다운 단장. [[에디 게레로]]의 미망인으로 지금은 WWE를 떠나 레슬링 외의 업계에 종사할 * [[빅 비토]] * [[빅 쇼]] * [[빅 보스 맨]] (레이 트레일러) * [[caZXL|빅 캐스]] * [[빅토리아(프로레슬러)|빅토리아]] * [[빌 디못]] - 은퇴 후 WWE 트레이너로 재직했다가 여러 문제를 일으켜 퇴사. * [[빌리 잭 하인즈]] * [[빌리 케이]] * [[빌리 키드먼]] - 토리 윌슨의 전 남편으로도 유명하며, WCW 시절에는 경량급 디비전의 대표적 선수 중 한명이기도 한 슈팅 스타 프레스의 대가. 현재는 WWE의 프로듀서로 일하고 있다. * [[사라 로건]] - 인디단체에서는 크레이지 메리 돕슨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여성 레슬러. * [[사리나 산두]] - ''''The Warrior Princess''''. 인디단체에서 '''사마라'''로 활동한 인도계 미국인 여성레슬러. * [[사모아 조]] - ''''The Samoan Submission Machine''''. 안티 WWE 세력의 거물이었으나 NXT를 통해 WWE에 입성하면서 메인로스터로 이적했지만 빈스 맥마흔으로 인해 뜨지도 못하고 부상도 당해 해설로 활동하다가 방출당한 후 빈스를 제외한 트리플H & 수뇌부들이 재영입하면서 선수가 아닌 윌리엄 리갈을 보조하는 조력자 포지션으로 활동하다가 캐리언 크로스와의 대립 이후 통산 3회 NXT 챔피언에 등극하나 바숭 후 트레이너로 활동도중 빈스 맥마흔 및 그의 측근들로 인해 2번째로 방출당한다. * 사반나 - ECW에서 리포터로 활동한 중국계 캐나다인. * [[사이먼 고치]] * [[사이먼 딘|사이먼 딘/노바]] * [[사부(프로레슬러)|사부]] * 사카모토 * [[사이코 시드]] - [[사이코 시드|시드 비셔스]]를 포함 여러 가지 별칭으로 불렸던, 골드버그 이전의 대표적인 빅맨 레슬러다. [[레슬매니아]] 메인 이벤트도 두 번 치른 적이 있지만 아직 명예의 전당에 가입하지는 못한 상태. * 사코다 * [[산타나 개럿]] - TNA에서 브리태니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여성레슬러. 2세대 레슬러로 TNT 케니 G의 딸이다. 메인로스터 콜업을 앞두고 있었지만 빈스 맥매흔이 콜업을 막으면서 메인로스터에서 활약도 못해 해고러쉬로 방출당한다. * [[산티노 마렐라]] - RAW 각본진 수장으로 활동한 브라이언 거위츠의 적극적인 사랑을 받아 푸쉬를 받은 선수로, 다수 선수들을 망쳐놓고 가버린 선수. * [[샤니카]] - 본명은 린다 마일즈. 터프 이너프 시즌 2 공동우승자. 배샴 브라더스의 매니저로 활동하다가 남성 못지않은 괴력을 가진 흑인여성. * [[샤멜]] - [[부커 T]]의 아내. * [[샌드맨(프로레슬러)|샌드맨]] * [[서전 슬로터]] * [[세레나 딥]] * [[세이블]] * [[마리케이트|세이지 베켓]] - 더들리 보이즈의 제자. TNA 넉아웃 출신 여성으로 활동 초기엔 뚱녀였지만 부상으로 인해 체중감량을 했다가, WWE 입성후로 다시 체중증가로 방출당했다. * [[세자로]] - 큰 피지컬, 강력한 파워, 지칠줄 모르는 체력, 뛰어난 운동능력을 겸비하여 스위스 슈퍼맨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세자르 보노니]] * [[센세이셔널 셰리]] * [[션 무니]] * [[션 오헤어]] * [[셰넌 무어]] * [[셰인 더글라스]] - 딘 더글라스 * [[매드맨 풀턴|소이어 풀턴]] - [[SAnitY]] 전 멤버. * [[이벨리스 벨레즈|소피아 코르테즈]] - 터프 이너프 참가자. 과거 NXT에서 활동한 디바. * [[새미 캘러핸|솔로몬 크로우]] - 인디에서 새미 켈러핸이란 이름으로 활약한 선수. 한때 [[딘 앰브로스]](당시 링네임은 존 목슬리)와 스위치블레이드 컨스피러시(Switchblade Conspiracy)라는 태그팀으로 활동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서바이버 시리즈 당일 갑작스럽게 방출 * [[소니 시아키]] * [[숀 마이클스]] * [[숀 스테이시악]] * [[스니츠키]] - 활동 초기엔 '''진 스니츠키'''였다가 스니츠키로 활동하게 된 빅맨. * [[스즈키 히데키]] - 홋카이도 출신의 베테랑 레슬러. * [[브랜디 로렌|스카일러 스토리]] - 임팩트 레슬링 넉아웃으로 활동한 적이 있는 여성. WWE와 계약을 맺었으나 활용되지 않은 끝에 방출당했다. * [[콜트 카바나|스카티 골드만]] - 콜트 카바나로 유명한 선수로 WWE에선 대표적인 자버로 활동한 선수. * [[스캇 홀]] (레이저 라몬) * [[스칼렛(프로레슬러)|스칼렛]] - '''스칼렛 보르도'''로 유명한 여성레슬러로 [[캐리언 크로스]] 의 여자친구. * 스타이너 브라더스 - 릭과 스캇 스타이너 형제로 이루어진 태그팀. 동생인 스캇 스타이너의 독립 이후로 쪼개져 버렸다. * [[릭 스타이너]] - [[스캇 스타이너]]의 형으로 함께 태그팀으로 여러 번 활동했다. * [[스캇 스타이너]] * [[스탄 레인]] * [[스테이시 키블러]] * [[스티브 오스틴]] * [[스티브 코리노]] - 현재 WWE NXT 트레이너 * [[스티븐 던]] * [[스티비 리차드|스티븐 리차드]] * 스티비 레이★ * [[스팅(프로레슬러)|스팅]] - WWE의 언더테이커와 비견되는 WCW의 레전드. 2016년 은퇴. * [[더들리 보이즈#s-2.3|스파이크 더들리]] * 실버스터 르포트 * [[실베스터 터케이]] * [[신 카라]] - 루차 리브레 레슬러로 칼리스토와 루차 드래곤스로 활동하다가 브랜드 분리와 함께 해체, 싱글 레슬러로 복귀했다. 2명의 신 카라가 있으며 현재 활동중인 선수는 2대 신 카라인 우니코. * [[살바토리 신시어]] * 심 스누카 - 지미 스누카의 양아들. 타미나의 의붓오빠. 초창기엔 듀스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했다. * [[써니(프로레슬러)|써니]] * [[써머 래]] - LFL 출신의 여성. 메인에서 판당고의 댄스 파트너로 등장하다가 싱글로 전환 후 루세프의 매니저로도 활동했으나 다시 싱글로 활동하다 방출되었다. * 아나스타샤 로즈 - 2007년에 스맥다운 리포터로 활동한 흑인여성 * 아드난 버크 - 부상으로 해설을 맡던 사모아 조가 레슬매니아 37 이후로 방출되면서 새롭게 합류한 해설이었지만, 사모아 조 만큼 해설을 못해서 활동 7주만에 퇴사한다. * [[아르만도 에스트라다]] * [[아리 스털링]] - [[켄터키 주]] 렉싱턴 출신으로 '''알렉스 제인'''으로 유명한 86년생 선수. 인디에서 촉망받았던 하이플라이어이자 ROH와 GCW, 신일본에서 활동한 레슬러 * [[아리야 디바리]] * [[아미르 조던]] - 파키스탄계 영국인 레슬러. * [[아이보리(프로레슬러)|아이보리]] * 아이언 마이크 샤프 * [[아쟈 콩]] * [[안드라데(프로레슬러)|안드라데]] * [[알 스노우]] * [[알렉산더 울프]] * [[알렉스 라일리]] - 과거 리얼리티 쇼 버전 NXT에서 미즈의 멘티로 나온 선수. 부상이후 한동안 NXT의 해설 팀으로 일했다가 케빈 오웬스의 괴롭힘에 다시 선수 복귀했지만 곧바로 다시 부상을 당했다가 2016년 다시 복귀. 짬밥으로만 따지면 8년차로 NXT 인원들 가운데 가장 오래 WWE에 있었다. * [[알렉스 셸리]] - 정식 소속은 아닌 쿠시다의 파트너로 NXT에 1회성 출연했다. * 알렉스 푸르퇴 * [[알렌 펑크]] * [[알베르토 델 리오]] * [[악사나]] * [[알레이스터 블랙]] * [[알리샤 폭스]] - 모델 출신의 프로레슬러. 선역이 야유받는것 보다 치명적이라는 '''"무반응 선수"'''의 대표주자이자 없다시피한 기믹 + 방해녀 밖에 못하는 삼위일체 시너지를 이뤄 반응 자체인 디바. * [[아투로 루아스]] - 터프 이너프에 잠시 보인적도 있는 레바논계 브라질인 아마추어 레슬러이자 카포에라 달인. 브라질 시장 공략을 위해 영입된 선수인데, 문제는 네임벨류가 높은 선수들과 경기를 가져도 싱글경기에서 지루한 경기만 만든다는 것이 단점. * [[압둘라 더 부처]]♥ - 하드코어한 경기를 치루던 선수이다. * [[앙드레 더 자이언트]] * [[애덤 로즈]] - 과거 레오 크루거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선수로 남아공 출신이다. 파티광이라는 설정이라서 등장음악 같은 것이 꽤 흥이 난다. * [[애덤 콜]] - NXT를 대표하는 인물중 1명으로 언디스퓨티드 에라 리더로 활동했던 ROH 출신 선수. * [[셸리 마르티네즈|애리얼]] - 케빈 쏜의 매니지로 활동한 여성레슬러. * [[애셔 헤일]] - '''안소니 헨리'''로 활동한 선수로, 이볼브, FIP에서 활동한 베테랑 레슬러. * [[애쉴리 마사로]] - 2005년 디바서치 우승자. * 앨리스 애쉬턴 - NXT & 스맥다운에서 백스테이지 인터뷰어로 활동한 여성. * [[어거스트 그레이]] - 본명은 안소니 그린. 인디단체를 오가며 활동한 선수. * 어네스트 밀러 * [[어스퀘이크(프로레슬러)|어스퀘이크]] * [[언더테이커(프로레슬러)|언더테이커]] - ''''The Phenom''''. 30년간 이적 없이 WWE에서만 활동해온 전설 중의 전설. [[서바이버 시리즈 2020]]을 끝으로 은퇴했다. * [[메두사(프로레슬러)|얼룬드라 블레이즈]] * [[얼티밋 워리어]] * [[에디 게레로]] * [[에릭 로완]] * [[에릭 에스코바]] - 스맥다운에서 잠시 활동한적 있는 레슬러. * [[에릭 영]] * [[테닐 대시우드|에마]] * [[에바 마리]] * [[맷 사이달|에반 본]] * 에반 카라기아스★ * [[3.0|에버 라이즈]] * 체이스 파커 * 맷 마텔 * [[킴버 리|에비 레이스]] * 에사 리오스 * [[에이든 잉글리쉬]] - [[에디 게레로]]의 사위. 뮤지컬 배우 출신이라는 점을 살려 [[보드빌런스]]의 일원으로 활동했었고 루세프 데이의 인기몰이에 기여했으나 루세프와의 결별 이후 위상이 급락했었다. * 에이미 웨버 * [[에이프릴 헌터]]★ * [[엑스팍]] * [[엔조 아모레]] * 엘릭스 스키퍼★ * 엘 토리토 - 로스 마타도레스와 같이 나와 투우 퍼포먼스에 소 역할을 하는 소 캐릭터였지만 로스 마타도레스에게 배신 당해 독립. 로프 넘나드는 재주를 보면 알겠지만 멕시코 루차 단체인 AAA에서 Mascarita Dorada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프로레슬러이다. * [[엠버 문]] - [[부커 T]]의 제자. 인디계에선 아테나(Athena)라는 이름으로 유명하며, 트리플H가 상당히 신경쓴 여성레슬러중 1명으로 사기적인 실력을 과시했으나 빈스 맥마흔과 그의 측근들의 지나친 외모와 몸매 차별로 푸쉬를 못받은 안타까운 인재. * [[오니 로컨]] * [[오드리 마리]] - NXT에서 활동했던 디바로, 타일러 브리즈의 아내. * [[오스틴 에리즈]] * [[오웬 하트]] * [[올랜도 조던]] * [[조엘 레드만|올리버 그레이]] * [[요코주나]] - 요코주나 기믹을 맡았지만 실제로는 사모아 출신으로 아노아이 가문의 [[로만 레인즈]], [[더 락]], 리키쉬 등과 친척 관계다. 레슬매니아 메인이벤터로서 [[헐크 호건]], [[브렛 하트]] 등과도 대립했다. * [[요시 타츠]] * [[우마가]] * [[유진(프로레슬러)|유진]] * [[웬디 릭터]] * [[이든 스타일즈]] * [[이브 토레스 그레이시|이브 토레스]] - 2007년 디바서치 우승자 * [[이지키엘 잭슨]] * [[일라이자 버크]] * [[윌리엄 리갈]] - 영국 출신의 베테랑 레슬러. 은퇴 후 NXT 해설자로 활동하다 NXT 단장직을 겸하며 후배양성 및 인디의 유명레슬러들을 시카웃하는데 큰 공을 세우면 트리플 H & 스테파니 맥마흔을 도왔으나 빈스 맥마흔에 의해 버림받아 방출된다. * [[자이언트 곤잘레스]] -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WWE 역대 최대의 거체이자 기네스북 최장신 프로레슬러 부문 보유자. 2010년 사망. * 자이언트 잔지어 - 인도 출신 빅맨 * [[쟈니 가르가노]] - ''''Johnny Wrestling', 'Ultimate Underdog''''. * [[쟈니 스템볼리]] * [[쟈니 스윙어|쟈니 페리시/조 도건]] - 토니 페리시의 조카. * [[재즈(프로레슬러)|재즈]] * [[재지 개버트]] - 독일 출신의 장신의 괴력 여성 레슬러로 매 영 클래식에 참가한 적이 있는 여성으로 [[쵸노 마사히로]]가 그녀의 양부이다. * 젭 콜터 - 前 리얼 아메리칸스(잭 스웨거, 세자로), 잭 스웨거, [[알베르토 델 리오]]의 매니저.[* 과거에는 '엉클 제베카이야'라는 이름으로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저스틴 호크 브래드쇼]]와 해리스 형제로 더 잘 알려진 제이콥/일라이 블루 형제 등의 매니저를 맡기도 했다.]하지만 현재 방출리스트에 오른상태 * [[잭 갤러허]] * [[재클린(프로레슬러)|재클린]] * [[재키 게이다]] - 테프 이너프 시즌 2 공동 우승자이자 찰리 하스의 전 부인. 경기력은 최악수준으로 WWE외에도 TNA에서도 활약한적이 있다. * [[잭 고웬]] * [[잭 라이더]] * [[제이크 헤이거|잭 스웨거]] * [[저스틴 가브리엘]] - NXT와 WWE의 하위 프로그램을 전전하고 있다. 메인 방송이나 PPV에서는 가끔 로얄럼블식 매치에 출전하기도 했다. 2015년 1월 24일자로 퇴사를 선언한다. * [[저스틴 로버츠]] - 전 RAW의 링 아나운서. * [[저스틴 크레더블]] * [[제다 장]] - 중국계 미국인 레슬러. * [[제리 린]] * 제사민 듀크 - [[론다 로우지]] & [[셰이나 베이즐러]] & [[마리나 샤피르]]의 친구. * [[슬램 마스터 J|제시 / 슬램 마스터 J]] - 테리 고디의 아들. * [[제시 바]] - WWE에서 지미 잭 펑크로 활동 * [[제시 카메아]] * [[제우스]] * [[제이다 라미어]] - 부커 T의 제자로 인디에서는 '''AQA'''로 활약한 흑인 여성레슬러. * [[제이미 노블]] * [[제이크 아틀라스]] - 캘리포니아 주 출신의 동성애자 하이플라이어 레슬러로 기량이 뛰어나다. * [[제이크 카터]] - [[베이더]]의 아들 * [[제임스 메이슨(프로레슬러)|제임스 메이슨]] - WWE에서 1회성으로 MVP를 상대로 이긴 비계약 레슬러. * [[제임스 브론슨]] - 자버로 시작해 수련생 계약을 맺었으나 허리부상으로 방출당한 선수. * [[제임스 스톰]] - TNA에서 활동 중 잠시 NXT에 2번 출연했으나 WWE에서 제시한 터무니없는 계약금 제시로 인해 계약을 하지 않았다. * [[제프 제럿]] * [[조나단 코치맨]] * [[조던 마일스]] - 인디에서 ACH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하던 선수. 각종 인디단체 경험이 풍부한 베테랑이다. 티셔츠 관련 사태로 논란이 벌어지면서 퇴사한다. * 조슈아 윌리엄스 - 유튜브 등지에서 'Wrestleflow'로 WWE 테마를 리믹스해 화제가 된 인물. 2019년 4월에 WWE에 합류해 WWE 소속 호스트가 되었으며, 2019년 6월 테이크오버 때, 애덤 콜의 등장신에서 직접 래핑을 한 바 있다. 하반기부터는 백스테이지 인터뷰어로도 활동을 시작했지만 NXT가 빈스 맥마흔 체제로 변하면서 소리소문없이 그만둔다. * 조쉬 매튜스 - 스맥다운 중계팀 아나운서, 터프 이너프 참가자 출신 * [[조쉬 우즈]] * [[조이 머큐리]] * [[조이 스타일스]] * [[조이 지오바니]] * [[조조(WWE)|조조]] * [[조니 그룬지]] * [[존 라우리나이티스]] - 쟈니 에이스로 유명한 인물로 WWE 내에서 악명이 높은 인물. * [[존 모리슨]] - 스타일리쉬하면서도 화려한 기술 방식으로 접수 능력 조차도 출중한 실력을 보여줬던 스턴트맨급 선수. *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 [[지미 왕 양]] - '아키오'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다 카우보이 기믹으로 활동했던 선수. * [[지트 라마]] * [[짐 더간]] * [[짐 나이드하트|짐 "앤빌" 네이드하트]] - 하트 패밀리의 일원으로 [[브렛 하트]]의 누나와 결혼했다. 초창기 브렛 하트와 함께 태그팀 하트 파운데이션으로 활동했고 브렛 하트가 메인이벤터일 때는 하트 패밀리의 일원이었다. 디바 [[나탈리아 네이드하트]]의 아버지. * [[짐 로스]] -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이자 전 해설자 * [[질리언 홀]] * [[차보 게레로]] - [[에디 게레로]]의 조카. * [[차이나(프로레슬러)|차이나]] - 엄청난 근육질에 남성들과 더 경기를 많이 한 독보적인 여성 레슬러였으나 이후 안습 행보를 걷다가 2016년 4월 20일 사망. * [[찰리 카루소]] - RAW의 백스테이지 인터뷰어로 활동하면서, NXT와 병행하다가 2019년부터 RAW 전속이 됐지만, 지각 등으로 인해 2021년에 퇴사한다. * [[찰리 하스]] * [[채드 콜리어]] - 여러단체에서 뛴 적 있는 레슬러. WWE와 계약을 맺었으나 방출당하고, 그 후로 WWE가 틈만나면 자버로 써먹으려고 불렀다. * [[척 팔럼보]] * [[체리(프로레슬러)|체리]] * [[첼시 그린]] - 랜스 스톰의 제자로 WWE 터프 이너프에 참가한적 있던 캐나다 출신 여성레슬러. WWE에 입성하면서 늦장 활용 및 제대로 활용을 안한 WWE로 인해 큰 피해를 본 선수. * [[어썸 콩|카르마]] * 카마초 - [[하쿠]]의 아들 * [[카말라]](제임스 해리스) - 우간다의 거인이란 기믹을 가진 선수로 언더테이커랑 캐스킷 매치를 한적이 있다. * [[카메론(프로레슬러)|카메론]] * [[로우 키|카발]] - 로우 키. 북미 인디 레슬링의 최강자. [[NXT]] 시즌 2 우승자. * 카비타 데비 - 그레이트 칼리의 제자. 유부녀로 하우스쇼에서 부상을 당하면서 2년넘게 등장을 안하는 것 뿐만 아니라 미국에 체류하는 날도 길지 않아 거의 급료도둑이다. * [[카이리 세인]] - 일본 여성 인디단체인 '스타덤'에서 활약한 '호조 카이리'. * 카일 에드워즈 - NXT의 주요 소식을 정리해서 알려주는 방송팀 일원이었으나 2016년 5월 퇴사. * [[카일 오 라일리]] - 바비 피쉬와 함께 ReDragon으로 활동했으며 [[ROH 월드 챔피언십|ROH 월드 챔피언]]도 차지했던 캐나다 출신 깐족 만렙 레슬러. * [[카트리나 코르테즈]] * [[칼 앤더슨]] * [[칼리스토(프로레슬러)|칼리스토]] * [[캐리언 크로스]] - 인디단체에서 '''킬러 크로스'''로 유명한 선수. 트리플H의 많은 관심을 받아 승승장구 했지만 빈스 맥마흔으로 인해 나락을 겪게되면서 방출당한다. * 캐시 켈리 - 백스테이지 인터뷰어이며, [[멘사]]의 현 활동 회원이기도 하다. 소소한 에피소드와 가십 등을 전하는 WWE 네트워크의 브레이킹 뉴스의 진행도 하고 있다가 2020년 NXT 테이크오버 포틀랜드를 끝으로 퇴사. * [[캐시어스 오노]] - 크리스 히어로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CZW, PWG, ROH등에서 활동한 인디 베테랑 프로레슬러. * [[캔디스 르래이]] - [[쟈니 가르가노]]의 아내. * [[캔디스 미셸]] * [[커트 스텔리언]] * [[커트 앵글]] * [[커트 호킨스]] * [[커트니 테일러]] - ECW에서 잠시 리포터로 활동한 여성이자 FCW수련생. * [[커티스 액슬]] - '미스터 퍼펙트' [[커트 헤닉]]의 아들. * 커티스 휴즈 - 미스터 휴즈로도 불렸으며, 탐정 기믹이었다. 90년대 초중반에 활동했던 빅맨인 흑인 선수. * [[톰 라티머|케네스 카메론]] - 샬럿 플레어의 두번째 전남편. * [[케빈 내시]] (디젤) * [[케빈 쏜]]/모데카이 * [[케이틀린(프로레슬러)|케이틀린]] * [[케이티 리]] * [[케인 벨라스케즈]] * [[켄 샴락]] - 앵클 락의 원조. [[UFC]]의 전설적인 격투기 선수. * 켄조 스즈키 * [[켈리 켈리]] * [[코나 리브스]] * 코퍼럴 커쉬너 * [[프리모 앤드 에피코|콜론즈]] * [[칼리토(프로레슬러)|칼리토]] * [[프리모(프로레슬러)|프리모]] * [[에피코]] * 퀘베커스 * [[마운티|자크]] - 기마경관 마운티로 활동 * [[PCO|피에르]] * 크라임 타임 * [[JTG(프로레슬러)|JTG]] * 셰드 개스퍼드 * [[크리스 노윈스키]] * [[크리스 매스터스]] * --[[크리스 벤와]]--[* 가족 살해 건으로 WWE에 의해 사실상 기록 말소. 허나 일부 기록은 암묵적으로 인정되는 듯 하다.] * [[크리스 제리코]] * [[크리스찬(프로레슬러)|크리스찬]] - 찬사마. 기량에 비해 대우가 영 좋지 못해 생애 첫 챔프도 이틀만에 빼앗겼을 정도 * 크리스티 세인트 클라우드 - NXT 링 아나운서 및 백 스테이지 인터뷰어로 활동한 여성. 2018년에 퇴사했다. * [[크리스티 헤미]] - 2004년 디바서치 우승자 * [[크리스탈 마샬]] - 바비 래쉴리의 전 여자친구이자 문제만 일으키고 나간 흑인 여성. * 크리시 베인 - 디 어센션의 코너의 아내. 2007년 중순에 스맥다운에 데뷔해 토리 윌슨을 공격하고 딱 2번만 출연하고 그만둔 여성레슬러. * [[키드 로미오]]★ * [[키드 캐시]] - TNA에서 활약하다 WWE로 온 선수. * 키자니 * [[킬러 켈리]] - 포르투갈 출신으로 유명한 독일의 인디 단체 wXw의 초대 위민스 챔피언이다. * [[킬리언 데인]] - 아일랜드 출신 레슬러. [[니키 크로스]]의 남편 * [[킹 콩 번디]] * [[브로디 스틸|킹맨]] * [[쇼크마스터|터그보트, 타이푼]] - 선원 기믹인 터그보트로 활동하고 어스퀘이크와 함께 태그팀으로도 활동했지만 WCW 시절에 역대급 장면을 만들어냈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 [[타지리]] - 일본 출신이면서도 영어가 상당한 수준으로 WWE에서 제일 성공적인 일본인 레슬러였다. * [[타미 드리머]] * [[타이 딜린저]] - 숀 마이클스 제자 중 한명. * 타이거 알리 싱 * 타이거 청 리 - 본명은 김덕, 김일의 양자이며 제일교포출신이고, WWE 역사상 최초의 한국인선수, 194Cm의 큰키였고, 1982년부터 1987년까지 WWE에서 미드카더,자버로 활동했다. 게다가 링 위에서와 달리 실제론 현피강자중 한명이다. * [[타이나라 콘티]] * [[톰코(프로레슬러)|타이슨 톰코]] - 크리스찬 & 트리쉬의 보디가드 및 스니츠키와 같이 팀으로 다닌 빅맨. * [[타일러 러스트]] * [[타일러 렉스]] - 본래 남자지만, 2021년에 여자로 성전환한 인물. * [[타카 미치노쿠]] - 현재는 주로 신일본에서 '스즈키 팀'의 일원으로 활동 중이다. * [[타탕카(프로레슬러)|타탕카]] * [[터커(프로레슬러)|터커]] * [[테간 녹스]] - 닉슨 뉴웰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영국 웨일스 출신 선수. * [[테드 디비아시]] - 현역 시절 "밀리언 달러 맨"으로 유명한 프로레슬러이자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의 아버지. *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 - 밀리언 달러 맨 [[테드 디비아시]]의 아들. * [[테리 러널스]] * [[테리 펑크]] * [[앤드류 마틴|테스트]] * [[토니 마말룩]] * 토니 게리아 * [[토니 니스]] * [[토니 스톰]] * 토드 그리샴 - 2004~2011년까지 해설 및 인터뷰어로 활약했다. 현재는 ESPN에서 활동중. * [[토리(프로레슬러)|토리]] * [[토리 윌슨]] * [[톰 필립스]] - WWE에서 캐스터 및 아나운서로 활동해왔지만 빈스 맥마흔으로 인해 2021년에 방출당했다. * [[투 쿨]] - 2인조로 이루어진 개그 자버팀. 한때 리키쉬가 참여했지만 로얄럼블을 끝으로 갈라선다. * [[그랜드 마스터 섹세이]] * [[스카티 투 하티]] * [[투 콜드 스콜피오]] * [[트레버 머독]] * [[트레이 백스터]] - '''블레이크 크리스찬'''으로 알려진 레슬러. * [[트리쉬 스트래터스]] * [[트래비스 뱅크스]] - 뉴질랜드 출신의 레슬러 * [[닥 드레이퍼|트래비스 타일러]] * [[트로이 도노반]] - 인디에서 '''콜 카터'''로 활동한 인디레슬러로, AEW 다크에 출연한 적이 있다. * [[트리니티(프로레슬러)|트리니티]] - TNA에서 활동한 적이 있는 ECW에서 활동한 디바. * TL 호퍼/ 엉클 클레터스 * [[티노 사바텔리]] * [[티모시 대처]] * 티안 빙 - 레슬매니아 33에서 벌어진 앙드레 더 자이엔트 배틀로얄에 참가한 중국인 출신 수련생. * [[태린 테럴|티파니]] - [[드류 맥킨타이어]]의 전처. 2010년 11월 20일 WWE에서 방출 * 판타시오 * [[퍼시 왓슨]] - 2009년 WWE의 산하 단체인 FCW를 통해 데뷔하여 2013년까지 NXT에 활동하다 2014년부터 인디에서 활동중인 프로레슬러. 2016년 11월부터 NXT 중계진으로 합류했다가 2019년에 떠났다. * [[퍼시아 피로타]] - '''스테프 드 랜더'''로 활약한 호주 출신의 여성레슬러. * [[팻 패터슨]] * [[페드로 모랄레스]] * [[페뷸러스 물라]] * [[페이튼 로이스]] * [[포가튼 선즈]] * [[잭슨 라이커]] * [[웨슬리 블레이크]] * [[스티브 커틀러]] * [[폴 런던]] * [[폴 버칠]] * [[폴 베어러]] - 괴기스러운 기믹과 연기로 유명했던 언더테이커와 케인의 전 매니저 * [[프랜신 푸르니에]] * [[프랭키 모넷]] - [[존 모리슨]]의 아내. '''타야 발키리'''로 유명한 캐나다 출신 여성레슬러. * [[프랭키 카자리안]] - TNA에서 온 선수. 2005년에 WWE와 계약맺고 스맥다운에서 활동하지만 1년도 활동 못하고 방출. * [[핀레이]] * [[하드코어 할리]] * [[하디 보이즈]] * [[매트 하디]] - 전설의 태그팀 하디 보이즈중에 형. * [[제프 하디]] - ''''The Charismatic Enigma''''. 전설적인 태그팀 [[하디 보이즈]] 중에 동생. 한때는 존 시나에 필적하는 엄청난 스타성도 있었다. * [[하이든라히]] * 하이랜더스 * 로비 맥알리스터 * 로리 맥알리스터 * [[하쿠(프로레슬러)|하쿠]] - 기믹은 강하지 않았지만 실전 실력으로 유명했던 프로레슬러. 싸우다가 상대의 안구를 터뜨린 적도 있다(...). * 하트 드롭스 - WWE에서 활동했던 몇 안되는 개그 자버 스테이블. * 로미오 * 안토니오 * 헤수스 * [[할랜드]] - 본명은 파커 부드로. 브록 레스너와 모습이 닮은 풋볼 경력이 있는 인물로 보고 데려왔으나 빈스 맥마흔에 의해 이상한 기믹으로 활동하며 의미없잉 활동만 하다가 방출당했다. * [[할리 레이스]] * [[헐크 호건]] * 호호 룬 * [[혼스워글]] - 난쟁이 레슬러로 보기 드물게 WWE에서 롱런하며 왜소증 등 성장장애를 앓는 사람들의 영웅이 되었다. * [[홍키 통크 맨]] * [[KENTA|히데오 이타미]] - KENTA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일본인 레슬러. * 히로코 스즈키 - 켄조 스즈키의 아내. * [[히스 슬레이터]] - 과거 WWE의 대표 자버. * [[히트 로우]] * [[아이재이아 스캇]] * [[아샨티 아도니스]] * [[탑 달러]] * [[B-팹]] [각주] [[분류:WWE]] [include(틀:포크됨, title=WWE/과거 거쳐갔던 스타들, version=433)]더위키에 나무위키판으로 포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