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736PA r37 RAW 2022-06-22 10:22:20에 w2에서 r37판 포크됨||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283442.jpg|width=100%]] || || 1975년 7월 17일에 런던 히스로 공항에서 촬영. || || [[파일:3456723512355773463554574576456474579823562665836277862349641178161613116164145.jpg|width=100%]] || || 사고 1개월 전인 1977년 2월에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에서 촬영. || [목차] == 개요 == N736PA는 [[팬 아메리칸 항공]]이 보유하고 있던 전체 보잉 747 중 11번째로 제작된 [[보잉 747-100]]이다.[* N736PA 이전에 제작된 보잉 747 [[프로토타입]] 10기는 중 최초의 [[보잉 747]]인 [[N7470]]을 제외하고는 전부 팬암과 [[TWA]]로 팔려갔다.] 그리고 후술하듯 이 기체는 '''세계 최초로 상업 운항을 한 보잉 747'''이기도 하지만, 후술할 불의의 참사로 파괴되는 비극을 맞이했다. == 상세 == [[1969년]] [[12월 24일]]에 [[보잉]]의 에버렛 공장, 페인 필드에서 첫 비행을 하였다. 이후 다음 해인 [[1970년]] [[1월 20일]] [[팬 아메리칸 항공]]으로 인도되었으며 이후 ''Clipper Victor''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다.[* Clipper는 팬암의 콜사인으로 19세기에 주로 고가의 화물을 장거리 수송하던 쾌속 범선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각 항공기의 애칭에 반드시 들어가고 서비스 이름에도 붙여지던, 팬암의 브랜드를 담은 단어였다. 그리고 Victor는 승리, 승리자라는 뜻이다.] 당시 [[보잉 747]] 엔진 옵션은 하나 뿐이었기에 [[프랫 & 휘트니]]의 [[프랫 & 휘트니 JT9D|JT9D-3A]] 엔진을 탑재하여 도입되었다. 이후 개량형 JT9D-7A로 개조된다. 그리고 동년 [[1월 22일]], [[뉴욕시|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 [[런던]] [[히스로 공항]]간 첫 상업 비행이자 보잉 747 첫 상업 비행을 하게 된다. || [[파일:Pan-Am-747-e1353788183596.jpg|width=100%]] || || 최초 비행 당시 모습 || || [youtube(ia46urwE9OI)] || || [[보잉 747]] 최초 비행 기념 영상 || 사실 숨겨진 사실이 있는데, 원래는 같은 747인 N735PA[* Clipper Young America 후에 Clipper spark of the Ocean 로 개명]가 이 비행을 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그 N735PA가 초기 엔진 [[프랫 & 휘트니 JT9D]]의 고질스러운 결함[* 정확히는 파이핑 및 [[터빈]] 블레이드 케이싱 문제.]으로 인해 비행을 할 수 없게 되자, 이 [[N736PA]]를 등록번호, 기체 이름까지 모두 N735PA와 같게 하고 3시간 후 비행을 하게 된 것. 첫번째 상업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한동안 별 탈 없이 운용되었다. 1970년 8월에는 [[쿠바]]에서 납치되기도 하였으나[* 이것이 747 최초의 [[하이재킹]]이었다고 한다.] 원래 이름으로 돌아가면서 영업에 복귀하였다. '''그러나....''' == 끔찍한 최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테네리페 참사)] || [[파일:external/ic.tweakimg.net/?url=http%3A%2F%2Fwww.museosdetenerife.org%2Fassets%2Fimages%2Fcc%2F06974710.jpg|width=300]] ||||[[파일:external/m.smedata.sk/207254_1200x.jpg|width=300]] || || '''사고 당일날''' 촬영된 N736PA. 앞에 있는 엔진과 후부 동체만 보이는 비행기가 바로 PH-BUF다.[* KLM기의 카나리아인 사진사 승객이 찍은 사진으로, 그는 이 외에도 사고 직전의 모습을 담은 귀중하지만 비통한 사진 자료들을 남갔다.] |||| 충돌 후 불길에 휩싸인 모습 || '''[[1977년]] [[3월 27일]], 이 의미있는 기체는 팬암 1736편으로 운항 중 [[테네리페 섬]]에서 [[KLM 네덜란드 항공]] 4805편 PH-BUF(747-200B)와 충돌하며 전소되고 말았다.''' 양쪽 기체 모두 전손되었으며, 총 583명이 사망하여 최악의 항공 사고의 주인공이 되고 말았다. == 기타 == * 테네리페 참사 14년 전인 1963년에는 최초로 팬암에 인도된 [[보잉 707]]인 N709PA이 [[번개]]를 직격으로 맞아 파괴되었다. [[팬 아메리칸 항공 214편 추락 사고]] 항목 참고. [[분류:보잉]][[분류:팬 아메리칸 항공]] [[분류:없어진 존재]]보낼 RAW||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283442.jpg|width=100%]] || || 1975년 7월 17일에 런던 히스로 공항에서 촬영. || || [[파일:3456723512355773463554574576456474579823562665836277862349641178161613116164145.jpg|width=100%]] || || 사고 1개월 전인 1977년 2월에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에서 촬영. || [목차] == 개요 == N736PA는 [[팬 아메리칸 항공]]이 보유하고 있던 전체 보잉 747 중 11번째로 제작된 [[보잉 747-100]]이다.[* N736PA 이전에 제작된 보잉 747 [[프로토타입]] 10기는 중 최초의 [[보잉 747]]인 [[N7470]]을 제외하고는 전부 팬암과 [[TWA]]로 팔려갔다.] 그리고 후술하듯 이 기체는 '''세계 최초로 상업 운항을 한 보잉 747'''이기도 하지만, 후술할 불의의 참사로 파괴되는 비극을 맞이했다. == 상세 == [[1969년]] [[12월 24일]]에 [[보잉]]의 에버렛 공장, 페인 필드에서 첫 비행을 하였다. 이후 다음 해인 [[1970년]] [[1월 20일]] [[팬 아메리칸 항공]]으로 인도되었으며 이후 ''Clipper Victor''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다.[* Clipper는 팬암의 콜사인으로 19세기에 주로 고가의 화물을 장거리 수송하던 쾌속 범선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각 항공기의 애칭에 반드시 들어가고 서비스 이름에도 붙여지던, 팬암의 브랜드를 담은 단어였다. 그리고 Victor는 승리, 승리자라는 뜻이다.] 당시 [[보잉 747]] 엔진 옵션은 하나 뿐이었기에 [[프랫 & 휘트니]]의 [[프랫 & 휘트니 JT9D|JT9D-3A]] 엔진을 탑재하여 도입되었다. 이후 개량형 JT9D-7A로 개조된다. 그리고 동년 [[1월 22일]], [[뉴욕시|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 [[런던]] [[히스로 공항]]간 첫 상업 비행이자 보잉 747 첫 상업 비행을 하게 된다. || [[파일:Pan-Am-747-e1353788183596.jpg|width=100%]] || || 최초 비행 당시 모습 || || [youtube(ia46urwE9OI)] || || [[보잉 747]] 최초 비행 기념 영상 || 사실 숨겨진 사실이 있는데, 원래는 같은 747인 N735PA[* Clipper Young America 후에 Clipper spark of the Ocean 로 개명]가 이 비행을 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그 N735PA가 초기 엔진 [[프랫 & 휘트니 JT9D]]의 고질스러운 결함[* 정확히는 파이핑 및 [[터빈]] 블레이드 케이싱 문제.]으로 인해 비행을 할 수 없게 되자, 이 [[N736PA]]를 등록번호, 기체 이름까지 모두 N735PA와 같게 하고 3시간 후 비행을 하게 된 것. 첫번째 상업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한동안 별 탈 없이 운용되었다. 1970년 8월에는 [[쿠바]]에서 납치되기도 하였으나[* 이것이 747 최초의 [[하이재킹]]이었다고 한다.] 원래 이름으로 돌아가면서 영업에 복귀하였다. '''그러나....''' == 끔찍한 최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테네리페 참사)] || [[파일:external/ic.tweakimg.net/?url=http%3A%2F%2Fwww.museosdetenerife.org%2Fassets%2Fimages%2Fcc%2F06974710.jpg|width=300]] ||||[[파일:external/m.smedata.sk/207254_1200x.jpg|width=300]] || || '''사고 당일날''' 촬영된 N736PA. 앞에 있는 엔진과 후부 동체만 보이는 비행기가 바로 PH-BUF다.[* KLM기의 카나리아인 사진사 승객이 찍은 사진으로, 그는 이 외에도 사고 직전의 모습을 담은 귀중하지만 비통한 사진 자료들을 남갔다.] |||| 충돌 후 불길에 휩싸인 모습 || '''[[1977년]] [[3월 27일]], 이 의미있는 기체는 팬암 1736편으로 운항 중 [[테네리페 섬]]에서 [[KLM 네덜란드 항공]] 4805편 PH-BUF(747-200B)와 충돌하며 전소되고 말았다.''' 양쪽 기체 모두 전손되었으며, 총 583명이 사망하여 최악의 항공 사고의 주인공이 되고 말았다. == 기타 == * 테네리페 참사 14년 전인 1963년에는 최초로 팬암에 인도된 [[보잉 707]]인 N709PA이 [[번개]]를 직격으로 맞아 파괴되었다. [[팬 아메리칸 항공 214편 추락 사고]] 항목 참고. [[분류:보잉]][[분류:팬 아메리칸 항공]] [[분류:없어진 존재]] [include(틀:포크됨, title=N736PA, version=37)]더위키에 나무위키판으로 포크됨